항목
-
양천구
陽川區
개관 동쪽은 영등포구와 한강, 서쪽은 경기도 부천시, 북쪽은 강서구, 남쪽은 구로구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53'~127°57', 북위 37°31'~37°35'이다. 면적은 17.40㎢이고, 인구는 48만 4532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8개 행정동(3개 법정동)이 있으며, 구청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6동에 있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노량진
노량진(露梁津), 鷺梁津
과천현(果川縣)에 속하였고, 1895년 인천부(仁川府) 과천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시흥군에 속하게 되었다. 1936년 경성부로 편입되어 영등포출장소에 속하였으며, 영등포구역소(永登浦區役所)를 거쳐 1946년 영등포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3년 관악구가 신설되면서 이에 속하였다가, 1980년 관악구에서 분리...
- 성격 :
- 나루터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시흥대로
始興大路
시흥대로는 이 길이 지나는 금천구 시흥동 동명에서 유래되었다. 시흥대로는 영등포구 대림동 948-1번지(강남성심병원)에서 구로교를 거쳐 시흥동 979-2번지(시흥동 시계)에 이르는 폭 50~100m, 길이 6,800m의 10차선 이상 도로이다. 이 길은 1966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고시 제1093호에 의해 한양천도 572주년 기념 및...
-
고척동
高尺洞
소사읍 고척리가 되었다.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2호에 의한 서울시역 확장으로 부천군 소사읍 일부가 서울시역에 편입될 때 고척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고척동이 되었다.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조례 제276호에 의해 동일자로 영등포구에 5개의 출장소를 신설하였는데, 이때 고척동은 梧柳...
-
궁동
宮洞
부천군 소사읍 궁리가 되었다.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2호에 의한 서울시역 확장으로 부천군 소사읍 일부가 서울시역에 편입될 때 궁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궁동이 되었다.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조례 제276호에 의해 동일자로 영등포구에 5개의 출장소를 신설하였는데, 이때 궁동은 오류...
-
영등포동1가
永登浦洞1街
부근(신길동 50번지)의 성황당에서 영등굿을 했기 때문에 영등포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영등포동은 현재 영등포동과 영등포동1가~8가까지 9개 법정동이 있다. 그런데 영등포동이 언제부터 1가~8가까지 분할되었는지 분명하지가 않다. 다만 한 가지 참고할 만한 것은 영등포구에서 영등포동・당산동・양평동...
-
마곡동
麻谷洞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2호에 의한 서울시역 확장으로 김포군의 양동면과 양서면(옛 양천군 지역)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될 때 마곡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마곡동이 되었다.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조례 제276호에 의해 동일자로 영등포구에 5개의 출장소를 신설하였는데, 이때 마곡동은 양동...
-
대방제1동
大方第1洞
조선시대 높은절과 번댕이라는 두 마을로 이루어진 곳으로 番大方里라고 불렸던 데서 유래되었다. 1947년 6월 서울시령 제2호로 동회제도가 실시될 때 영등포구 대방동회가 설치되었다.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行政洞制가 실시되면서 대방동이 설치되어 대방동 일원을 관할하였다. 1970년 5...
-
등촌동
登村洞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2호에 의한 서울시역 확장으로 김포군의 양동면과 양서면(옛 양천군 지역)이 서울시역에 편입될 때 등촌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등촌동이 되었다.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조례 제276호에 의해 동일자로 영등포구에 5개의 출장소를 신설하였는데, 이때 등촌동은 양동...
-
가리봉동
加里峰洞
시흥군 동면 가리봉리로 칭하였다.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2호에 의한 서울시역 확장으로 시흥군의 동면이 서울시역에 편입될 때 가리봉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가리봉동이 되었다.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조례 제276호에 의해 동일자로 영등포구에 5개의 출장소를 신설하였는데, 이때...
-
당산2로
堂山2路
당산2로는 이 길이 지나는 영등포구 당산동 동명에서 유래되었다. 당산2로는 당산동4가 28번지에서 영등포로터리를 거쳐 영등포동3가 487번지 영등포역 앞에 이르는 폭 30m, 길이 1,800m의 6차선 도로였다. 이 길은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에 의해 처음 당산2로로 이름 붙여졌다. 이때 당산2...
-
천왕동
天旺洞
소사읍 천왕리가 되었다.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2호에 의한 서울시역 확장으로 부천군 소사읍 일부가 서울시역에 편입될 때 천왕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천왕동이 되었다.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조례 제276호에 의해 동일자로 영등포구에 5개의 출장소를 신설하였는데, 이때 천왕동은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