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주이씨 서원군파 묘역 全州李氏 瑞原君派 墓域
    事)를 지냈으며 죽은 후에 이조판서에 증직(贈職: 죽은 후에 벼슬과 품계를 높여 주는 일)된 인물이다. 그의 묘역은 묘표(墓表) · 판석(板石) · 향로석 각 1기와 문인석(文人石: 능 앞에 세운 文官형상의 돌) 2기 그리고 신도비(神道碑) 1기가 있다. 봉분은 부인과 쌍분으로 높이 120㎝에 직경 140㎝이며, 상석(床石...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사회/가족
  • 경주 봉길리 유적 봉길리유적, 慶州 奉吉里 遺蹟
    그 결과 청동기시대 집터 20동과 도랑[溝] 2기가 조사되었다. 아울러 신라시대 덧널무덤[木槨墓] 29기, 돌덧널무덤[石槨墓] 148기, 돌덧널독[石槨甕棺] 1기, 독[甕棺] 3기, 구덩[竪穴] 3기, 돌열유구[石列遺構] 1기, 도랑유구[溝狀遺構] 1기와 통일신라시대 담장 1기, 도랑유구 1기, 가마[窯] 2기, 구덩 7기, 기둥구멍이...
    시대 :
    선사/청동기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논산마전리유적 論山麻田里遺蹟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건설구간에서 확인되었으며 1999년 고려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가 발굴했다. A지구에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2기, 구덩이 17기, 도랑 1기, 원삼국-백제시대 주거지 3기, 구덩이 23기, 조선시대 주거지 1기, 토광묘 1기, 시기미상 구덩이 6기와 와관묘(瓦棺墓) 1기가 있으며, C지구에는 청동기시대...
    성격 :
    복합유적
    유형 :
    유적
    소재지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마전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수내동 한산이씨 묘역 藪內洞 韓山李氏 墓域
    洪鉉輔)가 전액하였다. 이오(李澳)와 이탄(李坦) · 이한(李漢) · 이병건(李秉健) · 이산중(李山重) 등의 묘는 혼유석(魂遊石) 1기, 상석 1기, 향로석 1기, 망주석 1기, 묘표 1기 등을 각각 배열하였다. 이오의 묘액에는 조선 통훈대부 부평부사 이공휘오지묘 숙부인 남양홍씨 부좌 숙부인 죽산안씨 부좌(朝鮮通訓大夫...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사회/가족
  • 평창 수항리사지
    부터는 기록이 보이지 않는 점으로 보아 약 15세기까지는 존속했던 사찰로 추정된다. 유적으로는 부재 일부가 결손 되어 원형을 찾아볼 수 없는 석탑 1기와 건물지의 주초석이 남아 있다. 조선보물조사 연구에 의하면 이곳에 삼층석탑 1기, 석불입상 2구, 석불좌상 1구, 당간지주 1기와 탑의 석조물이 있었으나 6·25 때...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수항절터길 147 수항리 143
  • 대선조선주식회사 大鮮造船株式會社, DAESUN Shipbuilding & Engineer..
    없이 지켜온 보기 드문 부산의 향토기업이다. 1946년 제1상가선대 준공을 시작으로 1949년 제2상가선대, 1965년 제1조선대, 1966년 제2조선대, 1970년 부선거 1기 등을 준공하여 설비를 확충했고, 1970년대에는 기계공장과 산소공장, 철구조물제작공장을 준공했다. 이후 2008넌 제3공장(다대공장)에 600톤 규모의 골리앗...
    설립 :
    1945년 12월
    국가 :
    대한민국
    기업형태 :
    주식회사
    업종 :
    선박의 건조 및 보수공사, 내연기관의 수리, 무역업, 부동산 임대업
    사이트 :
    http://www.daesunship.co.kr
    본사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나루로 25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
  • 포항제철소 浦項製鐵所
    이어 1969년 12월에는 「포항종합제철건설에 관한 한일간 합의서」가 체결됨으로써 포항제철소 건설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었다. 형성 및 변천 포항제철소 1기 사업은 연산 103만 톤 규모로 1970~1973년에 전개되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역사상 최초로 일관 제철소를 보유하게 되었다. 포항제철소 1기 사업은...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교원 경력평정
    자격을 취득한 자가 있을 때는 그때부터 2월 이내에 정기평정일 현재를 기준으로 하여 평정한다. 경력은 기본경력과 초과경력으로 나뉘며, 이중 기본경력은 제1기와 제2기로 다시 나뉜다. 기본경력은 평정시기로부터 최근 20년간을 평정기간으로 하되, 최근 10년간을 제1기로, 제1기 전 10년간을 제2기로 한다. 초과경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대전궁동유적 大田弓洞遺蹟
    해당한다. 충남대학교박물관이 1999년 발굴하였으며, 청동기시대 전기의 장방형 주거지 3기와 중-후기의 방형 및 원형 주거지 10기, 집석유구 1기, 석관묘 2기, 목관묘 1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원삼국시대 주구토광묘 14기, 토광묘 5기, 백제시대 옹관묘 1기, 횡혈식석실분 3기, 석곽묘 25기, 통일신라시대 석곽묘 1기...
    문화재 지정 :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39호
    성격 :
    복합유적
    유형 :
    유적
    소재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궁동 임242-2번지
    분야 :
    역사/선사문화
  • 공주 옥룡동 유적 公州 玉龍洞 遺蹟
    특히 2호 건물의 규모는 남북 길이 약 520㎝, 동서 너비 약 440㎝로 내부 면적은 9.52㎡ 정도의 규모이다. 옥룡동 418번지 유적은 백제시대 목곽고(木槨庫) 1기, 말목 시설 2기, 건물지 2동, 주거지 4기, 수혈 유구 2기, 구상 유구 1기이며, 고려시대 석곽묘 3기, 수혈 유구 1기, 조선시대 건물지 1동, 회곽묘 1...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포스코 POSCO
    이듬해 3월 창립총회에서 박태준 사장을 선임한 뒤 1968년 4월 포항종합제철(주)이 설립되었다. 1970년 7월 조강 연산 103만 톤 규모의 포항제철소 1기 설비에 이어 1976년 2기, 1978년 3기, 1981년 4기 1차, 1983년 4기 2차 설비를 차례로 준공하면서 조강 연산 910만 톤 규모로 성장했다. 1980년대에는 1985년 3...
    설립 :
    1968-04-01
    국가 :
    대한민국
    설립자 :
    박태준
    그룹사 :
    포스코그룹
    기업형태 :
    주식회사
    업종 :
    1차 금속 제조업
    취급품목 :
    열연코일, 냉연강판, 후판, 선재, 스테인리스 제조
    사이트 :
    http://www.posco.co.kr
    본사 주소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안로 6261 (괴동동)
    종목코드 :
    코스피 005490
    다음금융 URL :
    https://finance.daum.net/quotes/A005490#analysis/main
    도서 기업사전 | 태그 산업 , 기업
  • 창녕 이장곤 묘 석상 昌寧 李長坤 墓 石像
    묘 앞에는 여러 석상이 자리 잡고 있다. 묘 앞에 문인석상 2기, 무인석상(하루방형) 2기가 있는데, 특히 하루방형의 무인석상이 이채롭다. 이 무인석상 2기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묘역에는 석상 이외에 방형 석축분 1기, 망주석 2기, 이장곤 중형(仲兄)의 묘 1기, 묘비 1기, 신도비 등이 있다. 참고문헌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멀티미디어21건

묘지 1기
묘지 1기
개구기 분만 제1기
대한적십자회 제1기 간호원(1919.08)
광복군 훈련반 제1기 졸업기념(1944.10.22)
한국광복군 간부 훈련반 제1기 졸업
한국광복군훈련반 제1기 졸업기념
한국광복군 훈련반 제1기 졸업(1944.10. 22)
전립선암의 국소 병기(T 병기) 1기
한국광복군 훈련반 1기 졸업기념사진
한국광복군 훈련반 제1기 졸업사진
한국광복군훈련반 제1기 졸업 사진(1944.10.22)
한국광복군훈련반 제1기 졸업사진(1944.10.22)
제1기 여성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인 김일엽의 육필
한국광복군훈련반 제1기 졸업 사진(1944. 10. 22)
한국광복군훈련반 제1기 졸업사진(1944. 10. 2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