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후경직 Rigor mortis, 死後硬直
    이라는 현상이 일어나 근섬유분절이 원래 길이보다 크게 수축하며 고기가 질겨진다. 이러한 저온수축은 저장된 칼슘이 낮은 온도에 반응하여 근섬유의 근소포체에서 방출된다. 칼슘은 ATP의 도움을 받으면서 강력한 근수축을 일으킨다. 저온수축을 막기 위해 특히 소고기에는 도살과 가죽을 벗기는 과정 후에 전기자극...
    도서 위키백과
  • 세포질 Cytoplasm, 細胞質
    액체 상태이다. 세포질 내부의 비용해성 구성 요소로는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리보솜, 과산화소체와 같은 세포소기관 및 일부 액포, 세포골격 등이 있으며, 소포체나 골지체와 같은 복잡한 세포막 구조 역시 구성 요소의 하나이다. 모든 세포는 세포질을 가지고 있지만, 생물 분류에 따라 그 특성은 매우 다르다. 동물...
    도서 위키백과
  • 매우 긴사슬 지방산 Very long chain fatty acid, 超長鎖脂肪酸
    매우 긴사슬 지방산은 22개 이상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지방산이다. 장쇄지방산(長鎖脂肪酸)이라고도 한다. 매우 긴사슬 지방산의 생합성은 소포체에서 일어난다. 매우 긴사슬 지방산은 세포의 총 지방산 함량의 몇 퍼센트까지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의 지방산들과는 달리, 매우 긴사슬 지방산은 너무 길어서...
    도서 위키백과
  • 세포소기관 Organelle, 細胞小器官
    백색체, 유색체, 유지방체, 아밀로플라스트, 에티오플라스트, 로도플라스트 등 미토콘드리아 그 밖에 세포소기관은 다음과 같다. 첨체 중심소체 섬모/편모 소포체 글라이옥시솜 골지체 리소좀 멜라닌소체 근원섬유 세포핵 괄호체 과산화소체 리보솜 액포 소포 기타 연관성 있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세포액 내막계...
    도서 위키백과
  • 세포체 Soma (biology), 细胞体
    갈라져 나온 주된 부분이며, 여러 가지 세포 소기관이 들어 있다. 세포체의 세포 소기관에는 니슬소체라고 하는 과립이 있다. 니슬소체는 대부분 거친면 소포체이나 유리 상태의 폴리리보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뉴런의 활성이 조절된다. 또한 미세아교세포의 돌기가 세포체와 시냅스하여 지속적으로 뉴런의...
    도서 위키백과
  • 소당류 Oligosaccharide, オリゴ糖
    는 단당류가 2~10개 결합되어 있는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의 구성성분으로서 세포내에서는 주로 생체막에 부착되어 있고, 소포체와 골지체 등의 분비형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다. 일부 기능성 올리고당의 경우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대장으로 내려가 장내 유익균의 영양원이 되어 대장 환경...
    도서 위키백과
  • 단백질 전구체 Protein precursor, 前肽
    이들 단백질의 이름 앞에는 "pre-"라는 접두가사 붙는다. 따라서 이를 프리-프로-단백질 또는 프리-프로-펩타이드라고 한다.서적 인용 신호 펩타이드는 소포체에서 절단된다. 예로는 프리프로인슐린이 있다. 프로-시퀀스는 단백질의 올바른 접힘에 필수적인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단백질이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도서 위키백과
  • 해독 Detoxification, 解毒
    식이요법 "해독" 주장 대부분에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간과 신장은 CYP 효소와 같은 세포내(구체적으로 미토콘드리아의 내막 또는 세포의 소포체)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자연적으로 해독이 가능하다. 신부전의 경우 투석을 통해 신장의 작용을 모방한다. 신장 및 간 이식은 각각 신장 및 간부전에도 사용...
    도서 위키백과
  • 리포솜 Liposome, リポソーム
    주요 성분인 점에서 리포솜을 세포막의 기원이라 여기며, 초기의 리포솜이 유전물질을 포획해 생명체로 진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리포솜은 구형의 작은 인공 소포체로, 적어도 하나의 지질 이중층을 가지고 있다. 생체 적합성, 입자 크기 및 기타 여러 특성으로 인해저널 인용 리포솜은 mRNA 백신 및 DNA 백신의 지질...
    도서 위키백과
  • 글리코실화 Glycosylation, グリコシル化
    글리코실화는 세포(진핵생물)의 단백질 번역 후 과정으로써 소포체, 골지체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다. N-글리코실화와 O-글리코실화로 나뉘는데 이는 붙는 작용기에 따라 다르다. 세포에서 생성된 단백질에 락토스나 푸코스 등의 당이 붙는 과정을 통틀어 '글리코실화'라고 한다. 글리코실화 과정으로 당사슬이 단백질에...
    도서 위키백과
  • 파르네실 피로인산 Farnesyl pyrophosphate, ファルネシル二リン酸
    메발론산 경로 및 비메발론산 경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저널 인용 파르네실 피로인산은 스쿠알렌(스쿠알렌 생성효소를 통해), 디하이드로돌리콜 이인산(소포체 내부로 운반한 단백질을 N-글리코실화 하기 위한 돌리콜의 전구체), 제라닐제라닐 피로인산의 즉각적인 전구체 뿐만 아니라 조효소 Q10(전자전달계의 일부...
    도서 위키백과
  • 디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 Dehydroascorbic acid, デヒドロアスコルビン酸
    chembox 디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은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의 주요 형태)의 산화된 형태에서 볼 수 있다. 포도당 수송체를 통해 세포의 소포체로 활발하게 유입된다. SDA)도 산화된 아스코르브산 그룹에 속한다고 본다. 비타민 C에 대한 나트륨 의존성 수송체가 존재하지만 주로 특수화된 세포에 존재하는 반면 포도당...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11 12 현재페이지13 14 15 16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사진 7〉 근소포체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24000
쥐 시상 성상세포 세포체의 조면소포체 단면에 드러난 폴리리보솜 (화살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