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cholinergic 콜린[작동]성
    아세틸콜린에 의해 자극, 활성화 또는 전달되는.
  • 테트라메틸암모늄 Tetramethylammonium, テトラメチルアンモニウム
    Aue) 등의 논문은 이온반경이 측정되는 방식에 대해 잘 논의하였다. 테트라메틸암모늄에 관한 약학 문헌은 방대하다. 보통 테트라메틸암모늄은 외인성 아세틸콜린(exogenous acetylcholine)으로 생성되는 것들 대부분을 혼합하는 효과가 있는 콜리노미메틱(cholinomimetic)이다. 약학연구에서는 테트라메틸암모늄염 중...
    도서 위키백과
  • 바닥앞뇌 Basal forebrain
    무명질(Substantia innominata) 및 중간 중격핵(medial septal nucleus,MS)이 포함된다. 이러한 주요 구조는 콜린 계열 뇌핵으로 아세틸콜린 생산에 중요하며, 이는 아세틸콜린의 생성으로 뇌 전체에 널리 퍼진다. 바닥앞뇌의 주요핵인 전뇌기저핵(nucleus basalis , 앞뇌바닥핵)은 핵 기저의 출력에 중심을 둔 중추...
    도서 위키백과
  • 아나톡신-a Anatoxin-a
    아나톡신-a에서 아세틸콜린의 경쟁제의 역할을 함으로써 작용하며,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아나톡신-a는 낮은 아세틸콜린 농도를 특징으로하는 질환의 조사에 사용되어 왔다. 맹독성과 식수 내 존재가능성으로 인해 아나톡신-a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에 대한 위협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아나톡신-a는 물 속 또는...
    도서 위키백과
  • 아드레날린성 Adrenergic
    이상의 하위 유형을 차단하는 약물 유형 여기에는 주로 혈압을 낮추는 약물이 포함된다.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를 차단하는 약물의 일종인 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여기에는 항우울제와 ADHD 치료제가 포함된다. 콜린성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아세틸콜린 수용체 아드레날린 수용체
    도서 위키백과
  •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ノルアドレナリン
    페닐글리콜(MOPEG), 바닐릴만델산(vanillylmandelic acid, VMA)등을 COMT와 같은 각각의 작용 효소들의 관여로 이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교감신경계에서는 아세틸콜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함께 길항작용에 관여하는데, 이는 부교감신경계에서 아세틸콜린만이 길항작용에 관여하는 것과 차이나는 점이다. 카테콜아민...
    도서 위키백과
  • 아트로핀 Atropine
    부교감 신경계에 과잉 축적된 아세틸콜린의 결합을 방지하고 일시적 증상을 억제하며 말초 신경계 및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신경 작용제의 해독제.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과 반대 작용을 하기 때문에 군사용으로는 신경 작용제의 중독 증상인 가슴 조임, 경련, 침이나 콧물 흘림, 기관지 분비물 증가 등에 대한...
    분야 :
    방호
  • 길항작용 Antagonism (chemistry), 化学的拮抗薬
    내의 상쇄작용이다. 길항작용의 예로서는 자율 신경계를 이루는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들 수 있다. 교감 신경은 절전 뉴런에서 아세틸콜린, 절후뉴런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 되며, 부교감 신경은 절전뉴런, 절후뉴런 모두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신체를 조절한다. 약물의 길항작용의 예...
    도서 위키백과
  • 촉진신경 Accelerans nerve
    박동한다. 박동은 신경계뿐만 아니라 혈액 안의 호르몬이나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의 양인 정맥환류량에 의해 조절된다. 심장에 작용하는 두 개의 신경은 아세틸콜린을 방출하여 심박수를 낮추는 미주신경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방출하여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하는 촉진신경(accelerans nerve)이다. 심장 박동이 빨라지면...
    도서 위키백과
  • 전환수 Turnover number, ターンオーバー数
    102 s−1 (효소의 경우 103~107 s−1) 범위에 있다. 효소인 카탈레이스는 가장 큰 전환 빈도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값은 최대 4×107 s−1까지 보고되었다.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는 104 s−1보다 큰 촉매 상수를 갖는 세린 가수분해효소이다. 이는 이 효소가 확산 제한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아세틸콜린과 반응한다는...
    도서 위키백과
  • 통선산 通仙散
    정확한 조합 분량은 어떻게 되는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통선산의 현물도 남아있는 것이 없다. 약리학적으로 따져보면 흰독말풀에 함유된 아트로핀은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저해하고, 투구꽃에 포함된 아코니친은 아세틸콜린을 유리하는 작용이 있다. 이 길항작용으로 약효를 제어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아트로핀...
    도서 위키백과
  • 장크롬친화성유사세포 Enterochromaffin-like cell, 類腸嗜鉻細胞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미주신경의 자극을 받아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G세포는 가스트린을 분비해 ECL 세포가 히스타민을 분비하게 만든다. 이 회로는 아세틸콜린(ACh)으로 활성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아트로핀 등을 투여해도 G세포가 미주신경 자극을 받는 것을 막지 못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G세포를 거치지 않고 직접...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11 현재페이지12 13 14 15 16 1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9건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아세틸콜린가수분해효소의 활성부위와 아세틸콜린과의 결합양상
아세틸콜린 생성과 분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아세틸콜린
부완핵 주위의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신경핵들
부완핵 주위의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신경핵들
마이네르트기저핵의 아세틸콜린분비와 피질각성
마이네르트기저핵의 아세틸콜린분비와 피질각성
전뇌기저부 마이네르트 기저핵의 아세틸콜린 신경축삭과 중격해마신경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