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외환전산망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가 주식 ・ 채권시장을 전면 개방하고 외국인직접투자도 전면 허용하는 등 외환거래 자유화조치를 취함에 따라, 국외 여건 변화에 따른 빈번한 외자유출입 등으로 우리경제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 이러한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외환거래 정보를 집중...
-
자본자유화 資本自由化자본자유화는 무역 및 외환자유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다음 개방 경제체제의 마지막 단계로 추진되었다. 그 구체적 내용으로는 기업에 직접 출자하는 직접투자를 비롯해 증권투자를 의미하는 간접투자가 있고, 이외에 부동산 투자, 금융신용 및 대부, 생명보험 등이 있다. 한국의 자본 자유화는정부 수립 이후 1980년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현대사
-
자본이동자유화규약검토하여 자유화를 이행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이미 자유화된 내용에 대해서는 새로운 규제조치를 취할 수 없도록 하고(현상유지 원칙) 있다. 자본이동자유화규약은 국가간 모든 자본거래를 직접투자, 증권 발행 및 매매, 부동산거래 등 16개 분야에 걸친 91개 항목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의무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
현지금융지점 및 현지법인이 외국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외국에서 외화자금을 차입(증권발행에 의한 경우 포함)하거나 지급보증을 받는 것을 말한다. 현지금융은 해외직접투자를 하려는 국내기업, 해외건설업자, 원양어업자 등이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외국에 있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