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왕 모니노(牟尼奴), 禑王왕우의 사부로 임명되었다. 1374년(공민왕 23)에 공민왕은 왕우가 죽은 궁인 한씨(韓氏)의 소생이라 칭하고 한씨의 3대와 외조부를 추증했다. 비(妃)로는 이인임의 조카딸인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이림(李琳)의 딸 근비(謹妃), 최영(崔瑩)의 딸 영비(寧妃) 등이 있다. 주요 활동 1374년 9월, 공민왕이 시해 당하자...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신라 56대 마지막왕, 경순왕 정승공 김부, 敬順王신라의 제56대 왕이자, 신라의 마지막 임금. 성은 김(金), 이름은 부(傅)이다. 문성왕의 6대손으로 아버지는 이찬 효종이며, 어머니는 헌강왕의 딸 계아태후(桂娥太后)이다. 큰아들은 마의태자(麻衣太子)이고 막내아들은 범공(梵空)이다. 9세기말 신라는 국력이 약해져서 지방호족들이 독자세력을 형성하여 각 지방을...
- 출생 :
- 미상
- 사망 :
- 978(경종 3)
- 국적 :
- 통일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927년∼935년
- 능묘 :
- 연천 경순왕릉(漣川 敬順王陵)
-
-
-
세종 원정(元正), 世宗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1408년(태종 8)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지고, 1412년 충녕대군에 진봉(進封)되었으며,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되었다가 같은 해 8월에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세종의 즉위 과정 원래 태종의 뒤를 이을 왕세자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이었다. 그러나 양녕대군이 개와 매[鷹]에...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
조선 22대 왕, 정조 이산, 正祖의 딸 효의왕후(孝懿王后)이다. 즉위 1759년(영조 35) 세손(世孫)에 책봉되고, 1762년 세자인 아버지가 뒤주 속에 갇혀 죽은 뒤 동궁으로 불렸으며, 1764년 2월 어려서 죽은 영조의 맏아들 효장세자(孝章世子 : 뒤의 眞宗)의 후사(後嗣)가 되었다. 1775년 11월 영조가 대리청정을 시키려 하자 홍인한(洪麟漢)이 "동궁은...
- 출생 :
- 1752(영조 28)
- 사망 :
- 1800(정조 24)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재위 :
- 1776년~1800년
- 시호 :
- 문성무열성인장효왕(文成武烈聖仁莊孝王)
- 출생지 :
- 조선 한성부 창경궁 경춘전
- 능묘 :
- 건릉(健陵)
-
-
명종 수렴청정의 그늘에서 시름의 세월을 보내다인종은 죽기 전 경원대군에게 전위한다는 전교를 내렸다. 결국 경원대군을 왕으로 삼고자 했던 문정왕후와 소윤 일파의 꿈은 이루어졌다. 1545년(명종 즉위) 7월...실세로 부상했다. 명종의 비는 인순왕후(仁順王后) 심씨로 심강(沈鋼)의 딸이다. 1542년(중종 37)에 경원대군과 혼인했으며, 명종의 즉위와 함께 왕비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34년(중종 29)
- 사망 :
- 1567년(명종 22)
- 본명 :
- 이환(李峘)
- 본관 :
- 전주(全州)
-
신라 23대 왕, 법흥왕 法興王불교를 공인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기골이 장대했던 아버지 지증왕을 닯아 키가 7척이나 되었으며, 도량이 넓었고 백성을 사랑하는 성품이었다고 전한다. 부인이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의 딸이었는데, 후사가 없었던 소지 마립간이 죽은 다음 사위였던 법흥...
- 출생 :
- 미상
- 사망 :
- 54(법흥왕 27)
- 국적 :
- 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514년∼540년
- 출생지 :
- 신라 금성 탁부
- 능묘 :
- 경주 법흥왕릉(慶州 法興王陵)
-
게르만 시대의 브리튼기스트의 딸인 자신의 부인을 내세워 행기스트와 왕국을 분할하는 조약을 맺음으로써 사태를 수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조약으로 인해 켄트에는 명실상부한 주트족 왕국이 들어서게 된다. 기록에 의하면 보티건은 내부의 반란으로 거주하던 성이 화염에 휩싸이면서 불에 타 죽었다고 전해지며, 행기스트는 켄트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