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등 등목(藤木), 藤한다.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으면서 올라간다. 작은 가지는 회색 또는 밤색의 얇은 막으로 덮여 있다. 관상용·사료용·세공재·밀원·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달인 물로 씻는다. 효능 주로 이뇨 작용을 돕는다. 관련질병: 구내염, 변혈증, 소변불통, 악성종양, 자궁근종
- 분류 :
- 낙엽 활엽 덩굴나무
- 학명 :
- Wistaria floribund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과 들의 낮은 지대, 집 근처
- 번식 :
- 씨·접목
- 약효 부위 :
- 줄기·씨·잔가지
- 생약명 :
- 등(藤)
- 키 :
- 10m 정도
- 과 :
- 콩과
- 채취기간 :
- 10월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2~3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박 박덩굴열매의 과육은 식용하는데 박고지·생채·나박김치 등을 만들어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날것으로 쓰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효능 주로 피부과 질환과 사독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간질, 감기, 개창, 관절염(화농성관절염), 발모제, 부종, 산후부종, 소변불통, 수종, 악창, 옹종, 이뇨, 종독, 황달 소아질환: 구루병
- 학명 :
- Lagenaria sicerari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밭에 재배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꽃, 열매
- 생약명 :
- 포로(匏蘆)
- 키 :
- 10~20m
- 과 :
- 박과
- 생활사 :
- 한해살이 덩굴풀
- 채취기간 :
- 8~10월
- 취급요령 :
- 날것으로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꽃, 열매 30~35g
- 주의사항 :
- 많이 먹어도 해롭지 않다.
-
노랑원추리 의남(宜男)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효능 주로 심장·비장·방광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장보호, 대하증, 변혈증, 비뉵혈, 생남약, 소변불통, 소염제, 소종양, 수종, 어혈, 월경불순, 유방염, 유즙분비부전, 음종(남성외음부부종), 이뇨, 출혈, 황달
- 학명 :
- Hemerocallis thunbergii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숲 가장자리, 초원 지대(비교적 건조한 곳)
- 번식 :
- 분주·꺾꽂이·씨
- 약효 부위 :
- 뿌리줄기·잎·어린싹
- 생약명 :
- 훤초근(萱草根)
- 키 :
- 1m 이상
- 과 :
- 백합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4~6g
- 주의사항 :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큰원추리·원추리·애기원추리의 뿌리
-
갯까치수염 해변진주초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효능 주로 비뇨기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여러 외상·종독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구충, 대하증, 보간·청간, 소변불통, 수종, 옹종, 월경불순, 음종(남성외음부부종), 이뇨, 인후염·인후통, 임파선염, 제창, 진통, 타박상, 행혈
- 학명 :
- Lysimachia mauritiana
- 분포지역 :
- 제주도, 울릉도, 남해안, 다도해
- 자생지역 :
- 산기슭의 양지, 바닷가
- 번식 :
- 분주·씨
- 약효 부위 :
- 뿌리·잎·온포기
- 생약명 :
- 진주채(珍珠菜)
- 키 :
- 10~40cm
- 과 :
- 앵초과
- 생활사 :
- 두해살이풀
- 채취기간 :
- 여름~가을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시고 짜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8~20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큰자리수영의 온포기 및 뿌리
-
주목 적백송(赤柏松), 朱木증식하여 택솔을 대량 생산하는 기술이 이미 개발되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술을 담가 사용한다. 효능 주로 비뇨기 질환을 다스리며, 항암제로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당뇨병, 소갈증, 소변불통, 신장병, 암(대장암, 방광암, 식도암, 위암, 유방암, 자궁암, 전립선암, 폐암, 피부암), 유종, 이뇨, 통경
- 분류 :
- 상록 침엽 교목
- 학명 :
- Taxus cuspidat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고산 지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씨·햇순
- 생약명 :
- 주목(朱木)
- 키 :
- 17~22cm
- 과 :
- 주목과
- 채취기간 :
- 7~8월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씨, 햇순 5~10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덩굴팥 홍두(紅豆)길게 자라며 털이 있거나 없다. 팥은 중국 원산이며, 덩굴팥은 인도 원산이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씨를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간경을 다스리며, 비뇨기 질환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감기, 산후부종, 소변불통, 소종양, 수종, 옹종, 중독, 지방간, 행혈, 황달
- 학명 :
- Phaseolus calcaratu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밭에 재배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씨
- 생약명 :
- 적소두(赤小豆)
- 키 :
- 50~80cm
- 과 :
- 콩과
- 생활사 :
- 한해살이 덩굴풀
- 채취기간 :
- 8~9월(열매 성숙기)
- 취급요령 :
- 씨만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고 약간 시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10~20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팥의 씨
-
가래 수안판(水案板)곡식에 해를 끼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물고기나 날짐승·길짐승 고기를 먹고 체한 데 효험이 있다.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며, 해독 작용이 뛰어나다. 관련질병: 간염, 건위, 산후체증, 소변불통, 소화불량, 수종, 식체, 안질, 양궐, 주독, 중독, 지방간, 천식, 출혈, 치질, 해열, 허로, 황달
- 학명 :
- Potamogeton distinctu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논·늪·연못
- 번식 :
- 분주(分株)
- 약효 부위 :
- 온포기·뿌리
- 생약명 :
- 안자채(眼子菜)
- 키 :
- 30~70cm
- 과 :
- 가랫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 수생식물
- 채취기간 :
- 7~8월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 4~7g, 뿌리 3~4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방기 석해(石解), 防己청등이라고도 한다. 작은 가지에 털이 없으며 세로줄이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고제·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산수유를 금한다. 효능 주로 신경계의 통증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고혈압, 관절염, 소변불통, 수종, 신경통, 전립선비대증, 진통, 풍, 풍비, 풍습
- 분류 :
- 낙엽 활엽 덩굴나무
- 학명 :
- Sinomenium acutum
- 분포지역 :
- 남부 섬 지방
- 자생지역 :
- 산기슭의 양지
- 번식 :
- 분근
- 약효 부위 :
- 줄기·뿌리
- 생약명 :
- 청등(靑藤)
- 키 :
- 7m 정도
- 과 :
- 방기과(새모래덩굴과)
- 채취기간 :
- 가을(줄기), 연중(뿌리)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쓰다.
- 독성여부 :
- 줄기·뿌리 6~7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긴옥잠화花(옥잠화), 根莖(근경)을 玉簪花根(옥잠화근), 葉(엽)을 玉簪葉(옥잠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玉簪花(옥잠화) ①약효 : 咽喉腫痛(인후종통), 小便不通(소변불통), 瘡毒(창독), 燒傷(소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2.5-3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⑵玉簪花根(옥잠화근) ①성분 : 根...
- 분류 :
- 백합목 > 백합과 > 비비추속
- 꽃색 :
- 백색
- 학명 :
- Hosta plantaginea var. japonica Kikuti & F.Maek.
- 개화기 :
- 8월, 7월, 9월
-
흰진범 진범(蓁范), 흰蓁范곧게 또는 비스듬히 서지만 흰진범은 비스듬히 자라거나 덩굴로 뻗기도 한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운동계와 풍증을 다스리며, 방광 질환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관절염, 근골통, 소변불통, 이뇨, 중풍, 진경, 진정, 진통, 풍, 풍비, 풍습, 황달
- 학명 :
- Aconitum longecassidatum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숲 속
- 번식 :
- 분주·씨
- 약효 부위 :
- 뿌리·꽃
- 생약명 :
- 진교(蓁餃)
- 키 :
- 1m 정도
- 과 :
- 미나리아재빗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쓰다.
- 독성여부 :
- 있다.
- 1회 사용량 :
- 4~6g
- 주의사항 :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를 요한다.
- 동속약초 :
- 진범의 뿌리
-
잔털인동 잔털忍冬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효능 주로 비뇨기·소화기·운동계 질환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각기, 결막염, 관절통, 농혈리, 당뇨, 대상포진, 대장염, 방광염, 소변불통, 요독증, 요통, 위암, 인두염, 종기, 충수염(맹장염), 치조농루, 타박상
- 분류 :
- 반상록 활엽 덩굴 관목
- 학명 :
- Lonicera japonica for. chinensi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과 들
- 번식 :
- 실생·분주·꺾꽂이
- 약효 부위 :
- 줄기잎·꽃
- 생약명 :
- 금은화(金銀花)
- 키 :
- 길이 5m 정도
- 과 :
- 인동과
- 채취기간 :
- 가을~겨울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10~12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인동덩굴의 줄기잎
-
섬대 담죽엽(淡竹葉)밑 부분에 작은 털이 나 있고 잎집의 맥 사이에 돋은 밑을 향한 털은 점차 떨어진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호흡기·신경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구토, 당뇨병, 번갈, 번열, 번조, 불면증, 소갈증, 소변불통, 심장쇠약, 암(췌장암), 이뇨, 정신분열증, 중독, 해수 소아질환: 경풍
- 학명 :
- Sasa borealis var. gracilis
- 분포지역 :
- 전라도(완도·백양산)
- 자생지역 :
- 산기슭
- 번식 :
- 분주
- 약효 부위 :
- 온포기
- 생약명 :
- 죽엽(竹葉)
- 키 :
- 60cm 정도
- 과 :
- 볏과(화본과)
- 생활사 :
- 상록 여러해살이 목본
- 채취기간 :
- 연중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4~8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조릿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