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재은 金在殷
    1923년 1월 9일 강원도 통천군(通川郡) 고저면(庫底面) 구항리(龜項里)에서 태어났다. 일본군에 강제 징집되었다가 탈출해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였고, OSS 훈련을 받았다. 미군 신분으로 독수리 작전에 참가한 김재훈(미국명 Chester)의 동생이다. 1944년 5월 강제 징집되어 평양 주둔 일본군 제39여단 제42연대에서 훈련...
    출생 :
    1923년 1월 9일, 강원도 통천(通川)
    사망 :
    2019년 11월 4일
    주요활동 :
    1944년 10월 일본군을 탈출해 1945년 5월 광복군 제2지대에 입대하고, OSS와 독수리 작전 훈련 참가
    포상훈격 :
    2002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한국광복군, OSS
  • 박만선 朴晩善
    이르러 이를 실행에 옮겼으나, 순찰하던 일제 경찰이 이를 발견하고 불을 끄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에도 재차 방화 기회를 노렸으며, 광복군의 활동을 담은 전단을 제작하여 뿌리기도 하였다. 또한 1943년 7월 14일 대구 주둔 일본군 부대 탄약고를 폭파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밀정 박천만의 밀고로 일제...
    출생 :
    1924년 3월 11일, 경북 경산(慶山)
    사망 :
    1999년 2월 28일
    주요활동 :
    194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특수 임무를 받아 귀국, 대구에서 비밀결사 조직, 1943년 영천 일본 신사 방화, 대구 주둔 일본군부대 탄약고 폭파 시도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이상설 순오, 李相卨
    직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일본과 동맹을 체결한 러시아의 탄압으로 해체되고 말았기 때문에 구체적 조직과 실상을 이해하기는 어렵다. 대한광복군정부의 비서로 활동한 계봉우(桂奉瑀)의 기록에 의하면, 대한광복군정부 통령은 노령 ・ 북간도 ・ 서간도 3개 군구의 군무(軍務)를 총괄하는 존재였다. 따라서 대한...
    출생 :
    1870년 12월 7일(음력), 충북 진천(鎭川)
    사망 :
    1917년 4월 1일
    관련 사건 :
    13도의군, 헤이그특사
    본관 :
    경주(慶州)
    주요활동 :
    1904년 대한협동회 대표, 1905년 을사늑약 반대상소, 1906년 서전서숙 설립, 1907년 헤이그특사, 1908년 콜로라도주 덴버시 애국동지대표회 참석, 1910년 성명회 선언, 1911년 권업회 설립, 『권업신문』 간행, 1914년 대한광복군정부 정통령, 13도의군 외교대원, 1915년 상하이 신한혁명단 본부장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성명회, 권업회, 대한광복군정부, 신한혁명단
  • 이석영 경학사와 신흥무관학교의 주춧돌을 놓다
    만주에서 광복군을 양성할 것, 3) 비밀단체를 조직할 것, 4) 운동자금을 준비할 것 등이었다. 그리고 중국, 미국, 러시아 등이 일본을 경계하므로 전운이 일어날 때를 기해 조국 광복을 달성하기로 맹세했다. 이때의 계획은 1906년 서전서숙을 세울 때보다 구체적이었으며, 신민회의 전략보다도 실천적인 것이었다. 우당...
    출생 :
    1855년, 서울
    사망 :
    1934년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민족혁명당 활동
    조달의 활동을 하며 기관지 〈민족혁명〉을 발행했다. 기사는 창당 1주년에 즈음해 이를 다룬 것이다. 그러나 민족혁명당은 발족 때부터 김구 중심의 임시정부 고수파가 불참한 데다 당권 문제로 9월엔 조소앙 파가, 1937년엔 이청천 파가 차례로 탈당하여 통일전선정당으로서의 성격이 약화됐다. 결국 남은 세력은...
    간행/발행 :
    조선중앙일보(1936년 05월 28일)
  • 만주에서의 의병 활동 및 독립군 기지 건설
    주된 활동 무대였다. 특히 간도지역은 1712년 백두산 분수령에 청나라와 국경을 정하여 정계비를 세우고 간도에 많은 조선인이 이주하여 개간을 하였다. 이후 1869년 무렵에는 함경도 지방의 대흉년으로 많은 사람들이 두만강과 압록강을 넘어 간도지방으로 들어갔다. 하지만 을사늑약으로 조선의 외교권을 쥐게 된 일제...
    시대 :
    20세기
  • 김예호 金禮浩
    軍摠營)을 광복군의 지방사령부로 삼아 활동을 전개하였다. 더불어 임시정부는 1920년 8월 미국 상 ・ 하원 의원단의 한국 방문에 즈음하여 대한광복군총영의 국내 무장활동을 지시하였다. 당시 평안북도 벽동군 대평면 평내동에 거주하면서 1920년 2월 장덕진(張德震) ・ 박태열(朴泰烈)과 더불어 벽동군의 강변에 위치...
    출생 :
    1913년 1월 6일, 평안북도 운산(雲山)
    사망 :
    미상
    주요활동 :
    1920년 평안북도 벽동군의 헌병분견소와 신의주역 습격, 1936년 조선혁명군 소속으로 국내 파견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광복군사령부, 조선혁명군
  • 강치명 강정청, 姜治明
    장쑤성(江蘇省) 우씨현(無錫縣)으로 전속되었고, 이후 부대를 탈출해 광복군 징모처 제3분처 주임 김문호(金文鎬)와 접선하여 광복군에 입대한 후 제3분처 위원으로 활동하였다는 것이다. 세 가지 설 가운데 어느 설이 사실인지의 여부는 현재 확인하기 어렵다. 1941년 4월 29일, 윤봉길(尹奉吉) 의사의 의거 9...
    출생 :
    1911년 3월 5일, 평북 창성(昌盛)
    사망 :
    1950년 7월 10일
    주요활동 :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 징모처 제3분처, 광복군 제2지대원으로 활동.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민영구 閔泳玖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시안판사처[西安辦事處]를 설치하고 전방 각 지대(支隊)를 후원하였다. 잡지 『광복(光復)』을 발간하여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취지 및 활동상황, 광복군의 전투상황 등을 게재하여 항일독립사상을 널리 전파하였다. 1945년 2월 임시정부 재무부 경리국장, 광복군총사령부 상교참모(上校參謀)로 임명...
    시대 :
    근대
    출생 :
    1909년(순종 2)
    사망 :
    1976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正義府 100년, 그곳에 있었던 사람들, 김창환 ・ 이진산 ・ 윤덕보 ・ 김원식 金昌煥 ・ ..
    위한 간부 양성에 매진했다. 1922년 서로군정서를 재조직하고 총지휘관으로 활동하던 중 서로군정서 등 각 독립운동단체들이 모여 남만통일회의(南滿統一會議)를...그해 8월에는 통군부를 기반으로 환인현(桓仁縣)에서 대한광복군총영 등 8단(團) 9회(會)의 대표 71명이 모여 서간도 일대의 통합무장단체의 조직을...
    출생 :
    김창환 1872년이진산 1880년윤덕보 1881년김원식 1889년
    사망 :
    김창환 1937년이진산 미상윤덕보 미상김원식 1940년
    포상훈격 :
    김창환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진산 2014년 건국훈장 독립장윤덕보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김원식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김우전 원경, 金祐銓
    임시정부가 있는 충칭(重慶)으로 떠날 때, 김용민 ・ 한성수(韓聖洙) ・ 윤창호(尹昌浩) ・ 전이호(全履鎬) 등 12명과 함께 푸양에 남았다. 이후 광복군 제3지대에서 활동하였다. 김학규 지대장의 명령으로 린취안에 있는 중국군에 파견되어 연락병의 임무를 맡았다. 1945년 1월 린취안에서 미국 OSS(Office of...
    출생 :
    1922년 2월 12일, 평안북도 정주(定州)
    사망 :
    2019년 2월 20일
    본관 :
    연안
    주요활동 :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일본군으로 복무하다가 탈출, 한국광복군훈련반을 졸업, 광복군 제3지대활동, 중국군에 연락병으로 파견, OSS와 무전훈련을 교섭, OSS본부의 연락장교로 활동, 한글 암호표 작성.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한국광복군훈련반, 광복군 제3지대, OSS 연락장교
  • 강처중 姜處重
    요인으로 활동하다가 공안당국에 체포되어 사형선고를 받았다. 그로 인해 강처중은 남쪽에서 기피인물이 되었고 모든 공식문서에서 삭제되었다. 그 영향으로 학계에서도 민족시인 윤동주의 문학에서 그를 제외함으로써 절름발이 논문을 자초했다. 윤동주가 일제의 탄압으로 이역만리 타국에서 옥사했다면 강처중은 그...

멀티미디어4건

박승유 광복군 활동 보도(『자유신문』 1946. 3. 17)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활동
광복군사령부 부원들의 활동 보도(『동아일보』 1921. 12. 5)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소속으로 활동하던 한국광복군 제2지대 선열 사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