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압력고도 壓力高度, Pressure altitude
    표준 기준 변(Standard Data Plane)으로부터의 고도를 말한다. 표준 기준 변은 공기압력이 29.92 inchHg(15℃)인 경우의 압력면이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baroreceptor 압력수용체 압력수용기, 壓力受容體
    혈압의 감각기관인 장력수용기의 1종. 사람 또는 네발동물의 경동맥동, 대동맥궁, 우심방벽에 존재하며, 혈압 조절기능에 관계한다. 경동맥동과 대동맥궁의 것은 심장 억제중추를 흥분시켜 심장 촉진중추를 억제하고, 우심방의 것은 심장 촉진중추를 흥분시킨다. =pressorecepton
  • 봉입압력 封入壓力, charged pressure
    가스 케이블 용어. 케이블에 충전된 가스가 가스구역으로서 평형상태가 되었을 때의 평균입력을 규정하여 봉입 압력이라 한다. 통상, 20℃에서 58.8kPa(600gf/cm2)가 사용되고 있다.
  • 압력제어장치 pressure controller
    증기터빈 발전기 제어계 용어. 압력제어의 목적으로 설정압력치와 압력피드백 신호에 응답해서 제어기구를 향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품과 제어엘레멘트만으로 이루어진 제어장치
  • 삼투 압력 osmotic pressure
    용매는 통과시키나 용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반투막의 양쪽에 여러 가지 용액과 순수 용매를 둘 때 용매의 일부가 용액 속으로 침투되어 평형에 이른다. 이 양쪽의 압력차를 삼투 압력이라 한다.
  • 매니폴드압력전기계기 manifold-pressure electirc gauge
    항공기엔진의 실린더 내에 들어간 연료증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 주 : 계기에는 수은주인치로 눈금 매겨진 스케일이 부착되어 있다. 자기동기발전기와 모터에 의해 원격표시가 가능하다.
  • 급기 압력 boost pressure
    과급기나 스카벤징 펌프 등으로 가압된 급기의 압력으로 부스트압이라고도 말한다. 부스트란 밀어올림, 승압한다는 의미이고 본래는 가압된 급기에 대해서 사용되지만 과급되지 않은 기관의 흡기 압력(일반적으로 부압이 됨)을 포함해서 부스트압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 게이지 압력 gage pressure, 게이지 壓力
    압력계가 나타내는 압력. 일반적으로 압력계는 그대의 대기압과의 차압을 나타내게 되어 있다. 게이지 압력에 대기압을 더한 것을 절대 압력이라고 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최대 전유량 압력 maximum full flow pressure
    펌프가 임의의 공회전으로 분전하고 있을 경우, 가변토출량제어(variable delivery control)가 작동하기 시작하기 전의 토출 압력. 전유량 최대 압력이라고도 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불활성가스압력시스템 inert gas-pressure system
    전력용변압기 및 배전용변압기 용어. 탱크내부가 명기된 온도이상 즉 단독의 불활성가스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압 범위에 있어서, 대기와 격리된 시스템으로써, 감압밸브를 갖는 시스템
  • 초과압력 超過壓力, overpressure
    보일러, 원자로 등의 압력용기에 있어서 안전보호입장에서 정한 규정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말한다. 또 규정치보다 초과한 압력(pressure excess)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압력제어계 pressure control system
    증기 터빈 발전기 제어계 용어. 지정된 위치에 설정된 검출럼의 압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보통은 압력검출기, 제어장치, 제어기구 및 피제어판(단수 또는 복수)으로 이루어진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9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