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Armenian Soviet Socialist Rep..
    아래 안정화를 겪었다. 공화국의 71년 역사 동안 공화국은 단순한 농업국가에서 소비에트 연방의 주요 공업 생산 거점지로 바뀌었다. 인구 또한 자연적 증가와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의 생존자와 자손들의 이민으로 같은 기간에 1926년의 880,000명에서 1989년에는 330만명으로 거의 4배가 증가했다. 소비에트...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 Armenia
    들었다가, 근대 들어 러시아 제국령과 오스만 제국령으로 분할되었고, 오스만 제국의 말기 (1915년 ~ 1923년)에 오스만 제국령 동부 아나톨리아 지역의 아르메니아인 150만 명이 살해되었다. 이후 이곳에 살던 많은 사람들이 해외로 빠져나가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가 본격화되었다. 1918년 러시아령 아르메니아는...
    도서 위키백과
  • 라츤 Lachin, 拉钦
    라친은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접경지역에 있는 도시이다.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잇는 길목에 위치하며,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쿠르드인 등 여러 민족이 공존하던 도시였다. 이 지역을 차지한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의해 아제리인의 이주가 장려되고 다른 민족들은 박해를...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 (킨디오주) Armenia, Colombia, アルメニア (キンディオ県)
    하였으나 거절당했고 같은 해 11월 30일 아르메니아(Armenia)라는 이름이 투표를 거친 후 승인을 받았다. 1894년부터 1897년까지 오스만 제국에 의해 아르메니아인 30만 명이 살해당한 하미디안 학살 또는 1915년부터 아르메니아인 100만 명 이상이 살해당한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의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붙여진...
    도서 위키백과
  • 예루살렘 총대주교
    가운데 4,500명이 가톨릭교도이다.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는 또한 성묘 기사단의 기사단장을 겸임하고 있다. 아르메니아 정교회에서는 예루살렘의 아르메니아인의 총대주교라 칭하며 예루살렘의 아르메니아인 지역에 총대주교좌를 설치하여 유지하고 있다. 현재 예루살렘의 아르메니아인의 총대주교는 누르앙 마누기앙...
    도서 위키백과
  • 마르가리타 시모냔 Margarita Simonyan, マルガリータ・シモニャン
    인물 정보 마르가리타 시모놉나 시모냔은 러시아의 언론인으로, 영어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 RT 의 편집장이다. 시모냔은 러시아 남부 도시 크라스노다르의 아르메니아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시모냔의 부모는 모두 오스만 제국에서 온 아르메니아 난민의 후손이다. 원래 트라브존 출신인 시모냔의 아버지 가족은 1915년...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의 역사 History of Armenia, アルメニアの歴史
    아르메니아의 역사 아르메니아의 역사는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역사뿐만 아니라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어, 역사적 또는 지리적으로 아르메니아로 간주되는 지역들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아르메니아는 성지로 여겨지는 아라라트산을 둘러싼 고원에 위치하고 있다. 아르메니아인이 자신들의 국가를 불렀던 원래...
    도서 위키백과
  • 가레긴 느주데흐 Garegin Nzhdeh
    혁명 연맹에 가입했지만 1909년 캅카스로 귀환하면서 러시아 제국 당국에 체포되면서 3년 동안 수감 생활을 했다.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아르메니아인 용병들과 함께 불가리아 군대에 가담하면서 오스만 제국 군대를 공격했다. 1914년에는 러시아 제국 당국의 사면 조치를 받았고 아르메니아인 용병들과 함께...
    도서 위키백과
  • 아시리아 집단학살 Sayfo, 亞述人種族大屠殺
    친오스만 쿠르드족에 의해 학살이 자행되었다. 비틀리스 지방에서는 페르시아에서 돌아온 오스만 군대가 현지 쿠르드족 부족과 합류해 현지 기독교인(아르메니아인과 아시리아인)을 학살했다. 오스만 군대와 쿠르드족은 1915년 중반에 아시리아의 하카리 부족을 공격했고, 부족들이 협력적인 군사 방어를 구축했음에도...
    도서 위키백과
  • 아르차흐 공화국 Republic of Artsakh, アルツァフ共和国
    아르차흐 공화국 그리고 그 주변 영토를 지배했다. 한편 이 지역 주민은 거의 대부분이 아르메니아인들이다. 평균 해발고도가 1,097m인 산악 국가였다. 옛 정식 명칭인 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NKR; llang Lernayin Gharabaghi Hanrapetut'yun)이나 나고르노카라바흐로도 알려졌다. 대부분의 국제사회는 아르메니아의...
    도서 위키백과
  • 이반 아이바좁스키 Ivan Aivazovsky, イヴァン・アイヴァゾフスキー
    절반이상을 바다 경치로 구성하였고, 그의 바다 그림은 최고로 유명하다. 아이바좁스키는 러시아 제국의 크림반도에 있는, 페오도시야의 마을에서 가난한 아르메니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의 성씨는 아이바지안(Aivazian)이다. 이 미술가의 작품들중 몇가지는 아르메니아 문자로 서명되어있다. 그 서명은...
    도서 위키백과
  • 남캅카스 특별위원회 Special Transcaucasian Committee
    캅카스방면위원회를 통하여 중앙정부와도 관계를 맺었다. 또한, 캅카스 전역에서 소비에트 세력도 준동하고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충성적인 러시아계 아르메니아인들을 동원하여 티플리스에 영향력 있는 지역지부를 건립하였다. 하콥 자브리에프 OZAKOM의 점령된 지역의 행정법령을 수립하였다. 이 지역은 공식적...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아르메니아인(Armenian)의 전세계 분포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