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영규 曺泳珪
    졸업하고, 1946년 의사시험에 합격하였다. 1948년 제헌국회의원(영광, 한국민주당)에 당선되었다. 1954년의 제3대, 1958년의 제4대, 1960년의 제5대민의원(영광, 민주국민당)에 당선되었다. 이후 신민당중앙상무위원회 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70년에는 신민당 지도위원을 거쳐 내외문제연구소 이사장을 지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출생 :
    1913년
    사망 :
    1986년
    경력 :
    국회의원, 신민당 부의장, 내외문제연구소 이사장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유옥우 劉沃祐
    1954년 무안을구 3대 민의원선거에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 당선되어 정치에 입문했다. 1958년 민주당으로 옮겼으며 이후 민중당 무안지구당 위원장, 신민당 당기위원장, 전당대회 의장 등을 역임했고 1971년 신민당 소속으로 동대문을구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81년 이후로 민한당 전국구 의원, 민한당 부총재...
    출생 :
    1914
    사망 :
    1984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196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6·8 부정 선거 무효 선언
    의원 총선거는 ‘올빼미표’ 같은 신조어를 낳으며 전국에 걸쳐 여당의 엄청난 부정 속에서 치러진다. 11개 정당의 후보들이 난립했지만 선거는 공화당과 신민당의 싸움이었다. 실제 선거 결과도 공화 130석, 신민 44석 등 양당을 제외하고는 단 한 명만이 당선된다. 어쨌든 이미 5월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를...
    시기 :
    1967년
  • 이종순 李鍾純, Lee, Jong-soon
    을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민주당내 구파동지회 소속으로 활동했다. 1961년 「반민주행위자 공민권제한법」 부칙에 의해 국회심사위원회가 설치되었을 때에는 신민당 소속으로 의원공권제한 국회심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신민당 충남도당 위원장에 선출되어 활동했다. 1989년 4월 14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자택에서...
    시대 :
    현대
    출생 :
    1908년
    사망 :
    1989년 4월 14일
    경력 :
    국회의원, 의원공권제한국회심사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전주
  • 진의종 陳懿鍾
    사무차관, 1961년 대한교육보험 부사장, 1962년에는 울산비료 전무이사, 1964년 한전부사장 등을 거쳤다. 이후 정계에 입문해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 소속으로 고창에서 출마해 당선했고,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소속으로 재선했다. 1979년 보건사회부장관을 지내다가 1980년 국가보위...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고찬보 高贊輔
    경성특별위원회의 선전부장이 되었다. 같은 달 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대회에 조선독립동맹 대표로 참가했다. 1946년 7월에는 조선독립동맹에서 개편된 남조선신민당 중앙위원회 선전부장이 되었다. 1946년 8월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3당 합동을 지지했다. 1946년 11월 남조선노동당 결성에 참여하고...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1951년
    경력 :
    남조선신민당 중앙위원회 선전부장, 남조선노동당 중앙상무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김현기 金顯基
    되면서부터 정치가의 길을 걸었다. 1967년 비례대표로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이래 제8대 국회의원에 이어 제9대와 제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66년 신민당 감찰위원 및 중앙상임위원, 1973년 정무위원, 1976년 중앙당기위원장 등을 거치면서 제1야당인 신민당의 중진급 인사로서 당 운영을 주도하였다. 또한...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윤길중 청곡(靑谷), 尹吉重
    대한 탄압 과정에서 투옥되어 1968년 4월까지 7년간 복역했다. 출소 후 박정희정권에 맞서 삼선개헌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1970년 신민당에 입당해, 1971년 7월 신민당 소속으로 서울 영등포에서 제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1980.10∼1981.4)이 된 것을 계기로 여당...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현대사
  • 김옥선파동 金玉仙波動
    손상시켰다는 이유로 김옥선 의원 징계안을 법제사법위원회(法制司法委員會)에 회부하여 통과시키는 강경조치를 취했다. 여당측의 강경대응에 대해 야당인 신민당측은 김옥선을 제명할 경우 당소속 의원 전원이 운명을 같이할 것을 결의하는 한편, 김옥선의 발언을 취소시키고 공식사과함으로써 여당측과의 타협을 모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사건/사고
  • 10·26사태 십이륙사태, 十二六事態
    사건과 함평고구마수매사건 등의 생존권 투쟁은 민주화 운동의 수준을 급격히 고양시킨 사건이었다. 그 해 12월 12일의 제10대 국회의원총선거에서 야당인 신민당이 32.8%의 득표율을 올려 여당인 공화당의 득표율 31.7%를 앞지르게 되었는데 이는 민심의 이반(離反: 민심이 떠나서 배반함) 현상이 표출된 사례인 것...
    시대 :
    현대
    발생 :
    1979년 10월 26일 밤 7시 40분 경
    성격 :
    암살사건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관련 인물/단체 :
    김재규, 박정희
  • 남조선노동당 南朝鮮勞動黨
    북조선공산당’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남북한에는 1국 2당의 공산당이 존재하게 되었는데, 북조선공산당은 같은 해 8월 28일∼30일에 조선신민당(朝鮮新民黨)과의 합당대회를 개최, 북조선노동당을 창립하고 서울의 조선공산당과는 독립적 존재로 되고 말았다. 이로써 통일재건조선공산당의 1국 1당적...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민주당 民主黨
    내용 1967년 4월 29일 구민주당계 인사와 신민당조직의 탈락자가 중심이 되어 창당하였다. 1965년의 한일협정비준 및 주요 야당인 신한당과 민중당의 합당을 실질적 통합과 거리가 먼 형식적 통합이라 주장하였다. 그리고 공화당과 신민당 간의 타율적 양당제도는 국민의 정치적 선택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정당이...
    시대 :
    현대
    설립 :
    1967년 4월 29일
    성격 :
    정당
    유형 :
    단체
    해체 :
    1970년 12월 15일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신민당
신민당 의원총회
신민당 창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