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예극장 민족극예술극장(民族劇藝術劇場), 民藝劇場판소리·인형극·굿놀이 등의 민속적 예능을 전수하면서 우리 나라의 토속적 정서와 리듬을 살린 창작극을 주로 공연하였다. 1979년 서울 신촌에 ‘민예소극장’을 개관하여 민속예술을 현대극에 창조적으로 도입한 한국적 연극을 일관되게 공연하였으며, 방학중 워크숍을 열어 대학생 및 일반인에게도 전통예술을 교습...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130-47 마로니에극장內
- 설립 :
- 1973년 12월
- 성격 :
- 연극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허규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예술의전당 藝術─殿堂즐길 수 있는 예술공원 개념으로 설계되었다. 기능과 역할 ① 오페라하우스: 연건평 1만 3162평으로 2,340석의 오페라극장, 675석의 토월극장, 400석의 자유소극장이 있다. 오페라극장은 자주색과 금색이 주를 이룬 화려한 실내, 고전식 말굽형 극장과 현대식 오디토리엄이 조화된 객석을 갖추고 있다. 주무대 외에...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서초동 700)
- 설립 :
- 1988년 2월 15일
- 성격 :
- 복합 예술센터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스위치 (2023년 영화) Switch (2023 film), 大明星多重宇宙서강솔 : 쌍둥이(로희) 역 서해솔 : 쌍둥이(로하) 역 김현진 : 소극장 관객들 역 허유나 : 소극장 관객들 역 이희원 : 소극장 관객들 역 김지운 : 소극장 관객들 역 서탄 : 소극장 관객들 역 박민 : 소극장 관객들 역 안병우 : 소극장 관객들 역 전지온 : 소극장 관객들 역 이현지 : 사극 분장팀 역 김진우 : 동백 대역...도서 위키백과
-
신극 新劇위치에 서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여기에서 배출된 유치진·서항석(徐恒錫) 등 연극인이 광복 후 극계의 주류를 형성하였을 뿐 아니라 학생극과 소극장운동을 포함하여 우리 나라 신극체질에 극예술연구회적 성격이 뿌리 깊게 스며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우리 나라 신극사의 맥락에서 크게 보아 8·15광복...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국립극단 국립중앙극단, 國立劇團그리고 공연작품 선정의 무계획성·비일관성 등으로 인하여 점차 관객들로부터 외면을 당했다. 그러다가 1970년대 후반부터 창작극의 선택을 폭 넓게 하고 소극장 중심으로 한 공연체제로 바꾸는 동시에 오태석 등 중견작가의 신작과 외국의 현대물들을 무대에 올려 관객의 호응을 받기 시작했다. 국립극단은 일반 극단...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길 158번지 국립극장 내
- 설립 :
- 1950년 4월 29일
- 성격 :
- 연극전문극장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유치진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국립극장 중앙국립극장, 國立劇場장충동 일대에 종합 민족문화센터로서의 국립극장 건립을 착수하여 1973년 7월에 완공하였다. 신축 국립극장은 최첨단 설비와 1,494석의 대극장과 344석의 소극장을 갖추었다. 신축 대극장의 무대 크기만 해도 400평이어서 50평이었던 구 극장에 비해 8배나 컸으며, 무대와 객석의 넓이가 비슷했다. 무대 내에는 지름...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