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시가루 Ashigaru, 足軽
    분리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을 침략하기 위해서 아시가루를 징병 한계점에 도달할 정도로 과도하게 징병했다. 하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를 한 이후 징병을 폐지했으며, 과도한 아시가루의 숫자를 최소한만 남기고 제대 시켰다. 에도 시대에 접어들면서 일본에서는 아시가루의 지위...
    도서 위키백과
  • 혼다 마사노부 (1538년) Honda Masanobu, 本多正信
    4년)의 마에다 도시나가(前田利長)의 모반 혐의의 모략 등 이 시기의 이에야스가 행한 모략의 대부분을 마사노부가 획책하였다고 한다. 1600년(게이초 5년)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에서 도쿠가와 히데타다(徳川秀忠)의 막료로 종군하였는데 마사노부는 시나노의 우에다 성에서 사나다 마사유키(真田昌幸)의 선전...
    도서 위키백과
  • 오타 가즈요시 太田一吉
    대립하였다. 가즈요시는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감시역을 맡아 제1차 진주성 전투, 남원성 전투, 울산성 전투 등에 참전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때 조카 마사나리는 동군에, 아들 가즈나리는 서군에 참여시키고 자신은 병을 핑계로 거성에 틀어박혔다. 전투의 결과...
    도서 위키백과
  • 아리마 하루노부 Arima Harunobu, 有馬晴信
    임진왜란에서는 같은 기리시탄 다이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군에 속해 종군하였고, 7년간 조선에서 싸웠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 있어서는 서군 측에 가담했지만, 세키가하라에서 서군이 패배하였다는 소식을 들은 후, 동군 측에 가담해 고니시 유키나가의 우토 성을 공격한다. 이 공적으로 자신의 소령을...
    도서 위키백과
  • 에도 막부 Tokugawa shogunate, 江戸幕府
    무로마치 막부에 이어 세 번째이자 최후 막부로, 1603년에서 1868년까지 지속하였다. 에도 막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무로마치 막부의 통치력이 붕괴된 이래 벌어진 센고쿠 시대를 종결시킨 이래 성립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전투에서 승리한 직후 쇼군으로 떠올랐고, 도쿠가와 가문은 에도...
    도서 위키백과
  • 시마즈 요시히로 Shimazu Yoshihiro, 島津義弘
    공으로 가장 으뜸되는 공훈을 인정받아 봉읍 4만석을 하사받았다. 게이초 5년(1600년), 귀국한지 2년이 채 안된 시점에서 히데요시의 후계자리를 놓고 세키가하라 전투가 발발하자,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에 대항해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와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의 서군에 가담했다. 그러나 이시다 미쓰...
    도서 위키백과
  • 구루메번 Kurume Domain, 久留米藩
    히데카네는 구루메 성을 개수해 성을 세웠다. 히데카네는 ‘하시바 구루메 시종’이라고 불리며 임진왜란의 전공으로 13만석까지 더 받게 된다. 그러나 세키가하라 전투 때 서군에 가담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으로 교체된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지쿠고 일국 32만 5000석은 다나카 요시마사의 영지가 되었다(야나가와...
    도서 위키백과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Azuchi–Momoyama period, 安土桃山時代
    도요토미 정권내의 실권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장악하였고, 이에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한 반이에야스 세력과 이에야스 세력간의 세키가하라 전투가 벌어진다. 이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승리하였고, 도요토미 가문은 점차 쇠퇴하였다. 1614년 오사카 성마저 함락당하자 도요토미 일가는 완전히 몰락...
    도서 위키백과
  • 기요스성 Kiyosu Castle, 清洲城
    히데요시의 영지 교환 조건을 거절하여 영지가 몰수된 후, 1595년 히데요시의 가신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성주로 부임하게 된다. 에도 시대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무렵 기요스 성은 동군의 후방거점으로 사용되었고, 전후, 기요스 성주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아키국으로 전봉된다. 이를 대신해 도쿠가와 이에야스 4남...
    도서 위키백과
  • 사카이 이에쓰구 酒井家次, 酒井家次
    덴쇼 18년(1590년)의 오다와라 정벌 후, 간토로 이봉된 이에야스로부터는 시모사 우스이히메에게 3만 7,000석이 주어졌다. 게이초 5년(1600년)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에 따라 나가시노를 행군했기 때문에 본선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게이초 9년(1604년)에 우에노 다카사키 5만 석에 이봉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시즈쿠번 志筑藩, 志筑藩
    혼도씨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후예를 자칭했고, 센고쿠 시대 후기에는 데와국 혼도성 (아키타현 미사토쵸)를 중심으로 세력을 가진 소영주였다. 세키가하라 전투 때, 혼도 시게치카는 데와국의 지배를 맡아, 오노데라 요시미치와 싸워 공을 세웠다. 세키가하라 전투 후인 게이초 7년 (1602년), 히타치국 국주 사타케...
    도서 위키백과
  • 후쿠오카번 Fukuoka Domain, 福岡藩
    번으로도 불리며, 번주가 도자마 다이묘인 구로다 가문이었기 때문에 구로다 번이라는 속칭도 있다. 번청은 후쿠오카성에 두었다. 1600년 게이초 5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치쿠젠 일부를 영유하고 있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비젠국 오카야마번으로 전출되어 봉해졌다. 대신 부젠국 나카쓰번 번주였던 구로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세키가하라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