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권득인(權得仁, 1805년 ~ 1839년 5월 24일(음력 4월 1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베드로(Petrus)이다. 권득인은 1805년에 서울의 한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적에 부친을 여의였다.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던 그의 모친은 그가 16세...
도리(Pierre-Henri Dorie, 1839년 9월 23일 ~ 1866년 3월 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베드로(Petrus), 한국 성은 김(金)이다. 피에르앙리 도리는 1839년 9월 3일 프랑스 뤼숑 교구의 생탈레르드탈몽 (Saint-Hilaire de Taimont)의 한 농가에서 8남매...
성인 정보 이명서(李--, 1821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베드로(Petrus)이다. 이명서는 1820년에 충청도에 있는 대대로 천주교를 믿는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여러 곳을 떠돌다가 전라도 전주 부근의 성지동 교우촌에 정착했다...
성인 정보 정원지(鄭--, 1846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베드로(Petrus)이다. 정원지는 충청도 진잠에 있는 한 독실한 천주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전라도 전주 부근의 수널마루에서 살다가 금구 지방으로 이사했다. 1866년...
1814년 ~ 1866년 3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베드로(Petrus)이다. 최형은 1814년에 충청도 공주에서 태어나서 한양의 남문 밖에서 살았다. 그의 아버지는 20세에 천주교 세례를 받았고, 세 명의 아들을 두었다. 최형은 14 때에 부모의 권유로 형제...
국회부의장 재직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였다가 실명이 공개되기도 했다. 종교는 천주교이다. 아호는 동헌이며, 별명은 '작은 거인', 천주교 세례명은 베드로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학사 학위하였고 공직에 투신하여 충청북도지사를 지냈다. 충청북도지사 재직 중 1980년 수해를 만나 수해재난 복구에...
성인 정보 손선지(孫善智, 1820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베드로(Petrus)이다. 손선지는 1820년에 충청도 임천의 괴인돌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태어났을 때, 그의 아버지가 천주교 예비 신자였지만, 모태 신자는 아니었다...
성인 정보 최창흡(崔昌洽, 1786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베드로(Petrus)이다. 그는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복자 최창현 요한의 이복 동생이며 1839년의 기해박해로 인해 1840년에 순교한 성녀 손소벽 막달레나의 남편이며...
성인 정보 홍병주(洪秉周, 1798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베드로(Petrus)이다. 그의 동생 홍영주 바오로 역시 순교자이다. 그들은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홍낙민 루카의 손자들이며, 1839년 말에 순교한 홍재영 프로타시오의...
가톨릭 성직자 정보 이기헌(李基憲, 1947년 12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다. 세례명은 베드로이며, 제2대 천주교 의정부교구의 교구장 주교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선교사목주교위원회 위원장과 문화위원회 위원장직을 지냈다. 1947년 평양에서 출생했으며, 1975년 사제품을 받은 뒤 서울...
1836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요셉(Iosephus) 또는 베드로(Petrus)이다. 한재권은 1836년에 충청도 진잠에서 천주교 태중 교우로 태어나서 열심이 신앙생활을 하였으며, 박해를 피해 전라도 전주의 대성동 교우촌(현재 완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