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기념우표 마스코트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진정한 축제가 되기를 기대하며 대회 종목인, 볼링, 스쿼시, 리듬체조, 레슬링, 크리켓과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마스코트를 우표로 소개한다. 마스코트로 소개된 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 제331호로 인천 백령도에 서식하고 있으며 남북한 해역을 자유롭게 오가 남북한 평화의 상징으로 불리고...
    발행일 :
    2014.7.31
    발행량 :
    각 254천장(총 1,524천장)
    종수 :
    6
    액면가격 :
    540원
    디자인 :
    마스코트
    우표번호 :
    2992
    인면 :
    36 × 26mm
    천공 :
    13
    전지구성 :
    6 × 3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6도
    우표크기 :
    36 × 26mm
    디자이너 :
    김소정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기념우표 리듬체조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진정한 축제가 되기를 기대하며 대회 종목인, 볼링, 스쿼시, 리듬체조, 레슬링, 크리켓과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마스코트를 우표로 소개한다. 마스코트로 소개된 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 제331호로 인천 백령도에 서식하고 있으며 남북한 해역을 자유롭게 오가 남북한 평화의 상징으로 불리고...
    발행일 :
    2014.7.31
    발행량 :
    각 254천장(총 1,524천장)
    종수 :
    6
    액면가격 :
    540원
    디자인 :
    리듬체조
    우표번호 :
    2995
    인면 :
    36 × 26mm
    천공 :
    13
    전지구성 :
    6 × 3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6도
    우표크기 :
    36 × 26mm
    디자이너 :
    김소정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기념우표 볼링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진정한 축제가 되기를 기대하며 대회 종목인, 볼링, 스쿼시, 리듬체조, 레슬링, 크리켓과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마스코트를 우표로 소개한다. 마스코트로 소개된 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 제331호로 인천 백령도에 서식하고 있으며 남북한 해역을 자유롭게 오가 남북한 평화의 상징으로 불리고...
    발행일 :
    2014.7.31
    발행량 :
    각 254천장(총 1,524천장)
    종수 :
    6
    액면가격 :
    300원
    디자인 :
    볼링
    우표번호 :
    2993
    인면 :
    36 × 26mm
    천공 :
    13
    전지구성 :
    6 × 3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6도
    우표크기 :
    36 × 26mm
    디자이너 :
    김소정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옹진 백령도 두무진
    유람선 투어와 트레킹이 있다. 두무진 포구에서 유람선을 타면 바닷바람을 가르며 기암괴석의 절경을 만끽할 수 있고 바위 위에서 휴식 중인 점박이물범도 볼 수 있다. 트레킹은 두무진의 풍광을 찬찬히 눈에 담을 수 있는 방법이다. 해안으로 이어진 계단을 내려가면 기암괴석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 두무진...
    위치 :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연화리 1026-9
    문화재 지정 :
    명승 제8호(1997.12.30 지정)
  • 백령도
    맨틀포획암 분포지에서 지구 맨틀을 구성하는 연녹색 감람암 덩어리를 관찰하거나, 심청각에서 심청이가 몸을 던졌다는 인당수를 조망할 수 있다. 잔촌리 북쪽 해안에는 국내 유일의 물범 서식지인 물개 바위가 있다. 참고문헌 백령도 http://www.baengnyeongdo.com 참고문헌 옹진관광문화-백령도 https://www.ongjin.go...
    위치 :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북포리
  • 남극대륙의 자원
    고래를 잡기 시작하였다. 고래의 수효가 격감하여 1970~90년대에는 할당량이 정해져 있었으나, 현재는 상업적 고래잡이가 금지되어 있다. 물개를 포함하여 물범과 고래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이 다시 이용가능한 자원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1970년대부터 바닷고기를 현장에서 가공처리하는 공모선이 등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극
  • 인어 人魚
    불길하다 하여 버린다. 이것은 틀림없이 사도가 본 것과 같은 종류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상광어는 돌고래류가 틀림없지만 옥붕어는 물범인 듯하나 확실하지 않다. 이 두 가지는 포유류인데 옛사람들은 어류로 오인하였다. 우리나라 해역에는 없지만, 바다 소목의 포유동물인 듀공(dugong)이나 바다소...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울진아쿠아리움
    한 동해안 최고의 상어 전문 아쿠아리움이다. 동해바다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울진아쿠아리움은 초대형 수중암초인 왕돌초를 재현했고, 상어와 수달, 물범, 거북이 등 총 150종 여 마리의 다양한 해양생물을 전시하고 있다. 동해안에 서식하는 다양한 수중생물들부터 전 세계 희귀 어종에 이르기까지 풍요로운 바다...
    위치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엑스포로 25
  • 장수향교 長水鄕校
    앞에 꿇어앉아 경서를 외우며 말하기를, “만약 향교에 들어오려거든 먼저 내 목을 베고 들라.”고 하였다. 이에 왜군들도 그의 기개에 감복하여 ‘본성역물범(本聖域勿犯)’이라는 쪽지를 주고 물러가 왜군 후속부대의 피해를 당하지 않았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전라도를 비롯한 열읍의 향교가 거의 소실되었으나 오직...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교육
  • 월미산유리전망대
    산유리전망대는 월미산 108m 정상에 위치한 전망시설이다. 3층 높이(23m)의 유리전망대는 서해의 낙조, 야경과 함께 인천항 주변의 섬, 인천대교 연안 여객선터미널 등을 조망할 수 있다. 월미산 정상까지는 도보로 약 30분 정도 소요되며 셔틀버스(물범카)를 이용하면 15분 정도 소요된다. 참고문헌 itour.incheon.go.kr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1가 125
  • 삶의 터전, 바닷물
    라는 전체 물덩이로 보면 아주 작은 부분일 뿐이다. 실제 전체 물덩이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서 살아가는 주인공들은 바다 물고기들이다. 물론, 이들 물고기들 외에 고래나 바다거북 그리고 물범이나 물개 등 다양한 종류의 바다 동물들이 물덩이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고는 있지만 그래도 바다의 주인은 물고기들이다.
  • 엑스포박람회장(엑스포해양공원)
    위를 미끄러지듯 날아 가슴이 뻥 뚫리는 시원함과 짜릿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세계적인 해양생물을 만날 수 있는 해양생태관에는 벨루가(흰 고래), 바이칼 물범 등 280여 종의 다양한 해양 생물들과 이벤트가 가득한 아쿠아리움이 있으며, 여수의 랜드마크이자 여수세계박람회의 트레이드마크인 빅 오는 세계 최고의...
    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박람회길 1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