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디에스 이레 Dies Irae
    지금은 보통 당시 익명의 프란치스코회 회원이 쓴 작품으로 여겨진다. 이 성가는 스바 1,14 -16에 근거하며 최후 심판에 대해 다소 침울한 모습을 그린다. 한때는 매우 성행하였으며 그레고리오 성가에서 가장 유명한 선율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개정된 「로마 미사 전례서」에는 이 딸림노래가 나오지 않는다.
  • 아르보 패르트 Arvo Pärt, アルヴォ・ペルト
    12음렬 기법과 음렬주의를 쓰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패르트는 소비에트 연방에 염증과 음악적 한계를 느꼈다. 패르트는 오히려 과거로 돌아가 그레고리오 성가와 르네상스 시대의 폴리포니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러시아 정교회를 믿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서는 그가 현실에 받은 충격이 음악적인 것만은...
    도서 위키백과
  • 연송 Tract (liturgy)
    그 가사를 구성하였다. 가사는 앞 뒤의 후렴의 배치 및 중간에 응답(화답)을 위한 중단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선율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연송은 그레고리오 성가 가운데에서도 성가대나 선창자에게 유보된 멜리스마 창법의 노래이다. 연송의 작곡에는 그레고리오 8선법 가운데 2가지 선율(제2선법과 제8선법)만을...
    도서 위키백과
  • 이상근 李相根
    고등 음악 교과서』 78~82[규문각, 1978]·『고등 음악 교과서』 85~89[화학사, 1983]가 있다. 논문으로는 「우리 가곡 시론」[자비출판, 1956.10]·「그레고리오 성가와 현대 음악」[부산교대학보, 1962. 1]·「은영성 기보에 관한 시론」[『부산대 논문집』, 1974. 12]·「우연성(불확실성) 기보의 연구」 등이 있다...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 20세기 음악, 포스트모더니즘 음악의 퓨전
    어느 동시대 작곡가이자 문화 해설자는 다음과 같이 썼다. “멀티-트랙, 멀티-레이어 경험은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라비 샹카, 존 케이지, 비틀즈, 그레고리오 성가, 전자 음악, 르네상스 마드리갈과 모테트, 밥 딜런, 독일 가곡, 소울, J. S. 바흐, 재즈, 아이브스, 발리의 가믈란, 불레즈, 아프리카 드러밍, 말러...
  • 일곱 봉인의 책 The Book with Seven Seals, 7つの封印の書
    장려하게 노래는 마무리한다. 종장 남성 합창이 '지금 계시고, 전에 계시고, 전능자이신 하느님이시여, 그대께 감사하오며...' 하느님에 대한 감사를 그레고리오 성가풍으로 나지막이 부른다. 그리고 서두의 음악이 회귀한다. 요한이 서두와 똑같은 노래를 부른다. 한 숨 쉬고 요한이 '아멘!'을 부르면 합창이 '아멘!'을...
    도서 위키백과
  • 시편 기도 詩篇 祈禱, Psalmody
    화려하게 노래하며 성무일도를 바치는 주요한 부분이 되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일반적 형태는 성가대가 둘로 나누어 한 구절씩 교대로 노래하는 것이다[그레고리오 성가(~聖歌 Gregorian Chant), 스콜라 깐또룸(Schola Cantorum), 시편(詩篇 Psalms) 참조]. (2) Psalmody란 용어는 시편 모음, 예를 들어 시간전례에서...
  • 브루크너 Bruckner, Anton
    Bruckner, Anton(1824-1896).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그레고리오 성가와 같은 옛날 교회음악과 새로운 관현악법(管絃樂法)을 조화시켜 심오(深奧)하고 경건한 그리스도교 음악을 창작하였다. 린츠 근처에서 교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1855년 린츠 대성당의 오르간 연주가가 되어, 즉흥 연주가로서 인정을 받았다. 그는...
  • 네우마 Neume, ネウマ譜
    네우마(neuma, neume, neum)는 5행 오선보가 발명되기 이전의 서양과 동양의 악보 체계의 기본 요소이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음표이며, 오랜 것과 새로운 것으로 크게 나눈다. 오랜 네우마는 근대나 현대에 와서는 전혀 쓰이지 않고 있다. 새로운 네우마는 로마 4각음표를 가리킨다. 네우마는 1음 또는 2음 이상의 음의...
    도서 위키백과
  • 삼중 기보 미사 성가집
    삼중 기보 미사 성가집, 또는 그라두알레 트리플렉스는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라틴 전례의 미사에서 사용하는 고유문 그레고리오 성가의 본문(가사)과 선율을 네우마와 함께 모아 놓은 전례서인 미사 성가집(Graduale)의 한 종류이다. 솔렘 수도원에 의하여 1979년 초판이 발행되었고, 계속해서 재발행되고 있다. 1974년...
    도서 위키백과
  • 회중의 가창 會衆~ 歌唱, Congregational Singing
    전통을 따르는 그리스도교의 특징이다. 교회 안에서 회중의 가창이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능력 있는 성가대가 많은 부분을 노래하는 경우가 많다. 그레고리오 성가에 초점을 두며 라틴어를 보존하게 되면 회중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어렵다.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은 전례 행사에서 그런 노래를 기술적으로 육성...
  • 모테트 Motet
    반주 없이 둘 이상의 화음이 사용된다. 모테트는 비전례적인 것으로 여겨져 미사나 아침 기도에는 적당치 않다. 그렇지만 모테트는 미사에 사용되는 그레고리오 성가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때로는 봉헌송을 읽은 뒤에 모테트를 부르는 수도 있다. 때로는 미사의 고유 부분을 모테트라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올바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그레고리오 성가 악보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 ‘진노의 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