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손상 光損傷, optical damage
    강도가 큰 레이저 에 따라 플라스마 생성, 자기 집속 등으로 생기는 고체의 손상. 표면 손상과 내부 손상이 있다. 손상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에너지 밀도를 손상 임계값이라고 한다. 빛이 조사된 부분의 전자 여기로 인하여 생기는 가역적인 굴절률 변화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 피벗 서보 POS, -光-
    백업 테이프 한 단면을 데이터 자기 기록에 사용하고 반대쪽 단면에 데이터 트래킹 정보를 기록하는 기술. 레이저 유도 자기 기록(LGMR) 기술의 핵심으로, 트래킹 서보 시스템이다. 레이저로 테이프 뒷면에 있는 트랙을 읽어 피벗 헤드에 트래킹 정보를 제공한다.
  • 파라메트릭 잡음 光-雜音, optical parametric noise
    비선형 물질을 각 주파수 ω의 강한 펌프파로 여기시킬 때 3광자(光子) 과정에서는 ω=ω₁+ω₂, 4광자 과정에서는 2ω=ω₁+ω₂를 만족하는 ω₁, ω₂의 각 주파수의 영점 에너지가 파라메트릭 증폭되어 생기는 전력. 광파 영역에서의 파라메트릭 증폭의 잡음이 된다.
  • 위상 변환기 光位相變換器, optical phase shifter
    빛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장치. 유리판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두께를 바꾸는 방법과 수직, 수평 편광(polarization of light)에 대해 위상차(광로차)를 발생시키는 파장판(wave length plate)을 3개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 전자기 효과 光電磁氣效果, photo magneto-electric ef..
    반도체 표면에 빛을 쬐고 이것과 직각으로 자계를 가하면 이들과 직각인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광전자(光電磁) 효과, 자기광(磁氣光) 기전력 효과라고도 한다. 기전력의 크기는 투사되는 빛의 세기와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며, 적외선 검출기 등에 이용된다.
  • 과도 현상 탐지기 OTD, 光過渡現象探知機
    번개 발생 시 나타나는 순간 장면을 탐지할 수 있는 전자 소자로 된 고도 장치. 나사(NASA)의 위성 프로젝트로 개발된 것으로, 주야 상태에서 번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기존의 번개 센서보다 더 고도의 탐지 효율성과 공간 결정력을 가지고 있다.
  • 필터 光-, optical filter
    일정한 파장의 대역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투과하지 못하도록 막는 소자. 배경광 등 필요 없는 방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층 증착막을 사용해서 파장 폭이 좁은 스펙트럼만을 통과시키는 간섭 필터와 사진 촬영 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색 필터 등이 있다.
  • 트랜지스터 光-, phototransistor
    pnp형 또는 npn형 트랜지스터의 접합부에 빛을 보내면 빛의 변화에 따라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는 광전 변환 소자의 하나. 종이 테이프의 구멍을 읽어서 그 정보를 펄스로 변환하는 데 이용된다.
  • 영상 전송 장치 OVID, 光映像傳送裝置
    비디오 전송 장치로서 송신단에서 1코어당 영상 신호 1회선과 음성 신호 2회선을 주파수-휘도 변조(FM-IM)하여 광섬유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하는 방식. 수신단에서는 역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이동형(OVT-1)과 고정형(OVT-2)이 있다.
  • 정보 처리 光情報處理, optical information process..
    빛, 주로 레이저 광이 지닌 공간 병렬 처리 기능을 살린 정보 처리. 광학적 패턴 인식, 광학적 정보 검색, 광학적 데이터 처리, 광학적 연산 등이 있다. 이것과는 달리 광학적 시계열 처리로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논리 연산이 있다.
  • 간접 間接光, Incident Light
    광원이 직접 투사되지 않고 광원을 반사경에 반사시켜 간접으로 피사체에 도달하는 빛. 피사체에 직접 투사되는 직사광과 달리 간접 광은 반사되는 빛을 쓰기 때문에 강한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거나 부드러운 색조 화면을 만들 때 사용된다.
  • 판독기 光判讀機, photo reader
    광원 램프와 광전 검출 소자를 설치하여 이곳을 통과하는 천공 구멍의 유무에 따라 정보를 감지하는 광전식 판독기. 이것은 핀 등에 의한 기계식 판독기에 비하여 읽어 들이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대부분의 판독기가 이 방식을 사용한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