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녕 가야군(伽倻郡), 金寧내용 김수로왕이 건국한 가야의 땅으로 532년(법흥왕 19) 신라의 땅이 되면서 가야군(伽倻郡, 또는 金官郡)으로 하였다. 680년(문무왕 20) 금관소경(金官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김해소경으로 바꾸어 양주(良州)에 예속시켰다. 940년(태조 23) 김해부로 하였고, 뒤에 임해현(臨海縣)으로 낮추었다가 다시 군...
- 시대 :
- 고려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수로왕 首露王이 알에서 남아가 차례로 태어났는데, 그 중 제일 먼저 나왔기 때문에 이름을 수로라 하였다. 주민들은 수로를 가락국의 왕으로 모셨고, 다른 남아들은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 이때가 42년(후한 건무 18)이었다고 한다. 수로는 즉위 후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해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천신의 명을...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출생 :
- 미상
- 사망 :
- 199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昌寧 校洞과 松峴洞 古墳群개설 사적 제514호. 창녕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은 해발 757m 화왕산의 정상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려오다 목마산성이 입지한 해발 463m 목마산 산록일대에 만들어진 삼국시대 무덤군이다. 송현동고분군은 목마산의 남서쪽 구릉 말단부와 남동사면 일대에 50여 기가 분포되어 있으며, 교동고분군은 목마산성의 북서쪽에서...
- 문화재 지정 :
- 사적 제514호
- 건립시기 :
- 삼국시대, 5-6세기
- 성격 :
- 무덤군
- 유형 :
- 유적
- 면적 :
- 460,011㎡
- 소재지 :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동, 송현동 일대
- 분야 :
- 역사/고대사
-
-
상주증촌리고분 고령가야왕비릉, 尙州曾村里古墳陵(고령국태조가야왕릉)’이라고 음각되어 있는 묘비가 발견되어 당시 관찰사 김수(金睟)와 함창현감 이국필(李國弼) 등에 의하여 확인된 뒤 지금까지 고령가야왕의 능으로 전해오고 있다. 묘비석이 발견된 뒤 자손들이 매년 10월 1일과 3월 15일에 향사를 지내오고 있으며, 조선 숙종 때는 왕명에 의하여 묘비와 석물을...
- 시대 :
- 고대/삼국
- 성격 :
- 고분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기문 기문(基汶), 己汶백제에 귀속되고 만다. 반파는 경상북도 성주에 비정되기도 하지만, 고령에 존재했던 대가야의 또 다른 이름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문은 6세기 전반 백제가 가야지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지명이므로 당시 백제와 가야의 접경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기문의 위치 비정 문제는 이른바 ‘임나일...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춘양 가야향(加也鄕), 春陽내용 본래 가야향(加也鄕)이었으나 1284년(충렬왕 10) 이곳 출신인 김인궤(金仁軌)의 공으로 향을 현으로 승격할 때 춘양으로 고쳐 안동부(安東府)의 관할 내에 속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지속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봉화군으로 편입되어 춘양면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이 지역이 예안을 사이에...
- 시대 :
- 고려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경상북도 봉화군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정견모주 가야 산신, 正見母主에 인용된 「석이정전」과 「석순응전」의 간략한 기록밖에 없어 정견모주에 대해 세부적으로 알기 어렵다. 활동 및 특징 「석이정전」에 따르면 정견모주는 가야 산신이며 천신 이비가 혹은 이비가지에게 감응되어 대가야와 금관국 시조를 낳았다고 한다. 「석순응전」에는 대가야의 월광태자(月光太子)가 정견(正見)의 10대손...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인물/가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