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필자 전체항목
정주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이론전공 졸업 및 동대학원에서 음악학 석사와 경영학 석사를 졸업하고 음악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그라모폰 코리아〉, 〈피아노 음악〉 기자, 한국교육방송 〈서양음악기행〉 작가를 역임하고, 국립오페라단 교실 속 오페라 여행 대본, 키즈 오페라 〈울려라 소리나무〉의 대본을 집필하였다. 현재는 KBS 클래식 FM 〈장일범의 가정음악〉 작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경희대 사회교육원과 영남대학교에 출강 중이다. 저서로는 《독재자의 노래》(공저, 한울, 2012)가 있다.
최근 업데이트순 표제어 목록
-
루지에로 리치 (Ruggiero Ricci) 미국의 바이올리니스트. 파가니니의 현신이라는 평가에 걸맞게 완벽한 기교를 갖추었으며, 특히 파가니니의 작품을 연주하는 데 있어서는 당대 타의..
-
레이첼 포저 (Rachel Podger) 영국 출신의 바로크바이올리니스트. 원전연주에 관심을 갖고 고음악 앙상블을 결성해 활동하기도 했으며, 트레버 피녹의 잉글리시 콘서트 악장으로 ..
-
안젤라 게오르규 (Angela Gheorghiu) 루마니아 출신의 소프라노. 1992년 푸치니 오페라 〈라 보엠〉의 미미 역할로 데뷔한 이래 전 세계 오페라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영국에..
-
교향곡 55번 ‘교장 선생님’ (Symphony No.55 in E♭Major “The schoolmaster” Hob.I-55) 하이든의 〈교향곡 55번〉은 엄격하고 까다로운 교장 선생님의 모습을 연상시킨다고 해서 ‘교장 선생님’이라는 재미있는 부제가 붙은 곡이다. 1..
-
막심 벤게로프 (Maxim Vengerov) 러시아의 바이올리니스트. 16세이던 1990년 칼 플레시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어깨 부상으로 바이올린을 잠시 놓..
-
레오니드 코간 (Leonid Kogan) 구소련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1961년 퀸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후 전 세계 무대에서 활약했으며, 모스크바음악원..
-
알렉상드르 타로 (Alexandre Tharaud) 프랑스의 피아니스트. 전 세계의 다양한 콘서트 무대에서 활약하며, 그의 독창적인 피아니즘을 드러내는 음반들을 다수 발매했다. 1968년 12..
-
에머슨 4중주단 (Emerson String Quartet) 미국의 현악 4중주단. 철학자이자 시인이었던 랄프 왈도 에머슨의 성을 따라 악단의 명칭을 정했다. 제1바이올린과 제2바이올린 주자를 정하지 ..
-
레온 플라이셔 (Leon Fleisher) 미국의 피아니스트. 오른손 마비라는 역경을 겪기도 했으나 꾸준한 재활치료와 테크닉 훈련을 통해 이를 극복해냈다. 후학을 양성하며 지휘자로도 ..
-
힐러리 한 (Hilary Hahn) 미국의 바이올리니스트. 독주 리사이틀,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등 다양한 무대를 통해 전 세계의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SNS를 통한 팬과의 소..
-
파블로 카잘스 (Pablo Casals) 스페인 태생의 첼리스트. 20세기를 대표하는 첼로의 전설이다. 파우 카잘스 오케스트라를 설립했으며, 자크 티보, 알프레드 코르토와 함께 트리..
-
이브리 기틀리스 (Ivry Gitlis) 이스라엘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런던 필하모닉, 뉴욕 필하모닉,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 정상의 오케스트라와 협연을 했다. 유네스코 친선대사..
-
이언 보스트리지 (Ian Bostridge) 영국 런던 출신 테너. 슈베르트를 비롯한 가곡 연주에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학구적인 성악가로 알려져 있다. 1964년 크리스마스에 태..
-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Christmas Oratorio BWV248)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부활절 오라토리오〉, 〈승천절(昇天節) 오라토리오〉와 더불어 바흐의 3대 오라토리오 중 하나이다. 1734년 라..
-
하르모니 미사 (Harmoniemesse Hob.XXII:14) 1796년부터 1802년 사이에 완성된 하이든의 후기 미사 여섯 편 가운데 가장 마지막 작품으로, 1802년에 작곡되었다. ‘하르모니’라는 ..
-
인벤션과 신포니아 (Inventionen und Sinfonien BWV772~801) 바흐의 〈인벤션과 신포니아〉는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과 더불어 바흐가 교육적인 목적으로 작곡한 건반 악기 독주곡이다. 1720년에서 172..
-
이탈리아 협주곡 (Italian Concerto in F Major, BWV 971) 1735년에 출판된 〈이탈리아 협주곡〉은 두 단의 손건반을 가진 쳄발로를 위한 독주곡으로 작곡되었다. 한 대의 악기로도 이탈리아 풍의 협주곡..
-
자작 주제에 의한 32개의 변주곡 (32 Variations in C minor, WoO 80) 베토벤의 독자적인 성격 변주 세계를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1806년에 작곡되어 1807년에 출판되었다. 피아노가 가진 다양한 기교의 가능성을 ..
-
음악의 헌정 (Musikalisches Opfer, BWV1079) 〈음악의 헌정〉은 〈푸가의 기법〉과 더불어 바흐가 작곡한 말년의 대작이다. 푸가 형식을 집약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이 작품은 두 곡의 리체르카..
-
음악 썰매타기 (Die musikalische schlittenfahrt)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음악 썰매타기〉는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의 사육제를 위해 작곡된 곡으로, 겨울철 썰매 타는 모습과 흥겨운 축제와 무도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