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봄의 제전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Le Sacre du Printemps
    원시주의적 색채는 발레 안무와 함께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스트라빈스키 발레 음악의 독특한 양식은 이 작품에서 집대성된다. 그간의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러시아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근대의 러시아가 아니라 선사 시대의 러시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선율은 여전히 러시아의 민속적인 것에서 차용을 하되...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11~1913년
    작곡가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
    초연 :
    1913년 5월 29일, 파리 샹젤리제 극장
    출판 :
    1913년
    구성 :
    1부 8곡, 2부 6곡
    편성 :
    피콜로, 플루트 3, 알토 플루트, 오보에 4, 잉글리시 호른, D · E 조 피콜로 클라리넷, A · B 조 클라리넷 3, A · B 조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4, 콘트라바순, 호른 8, 바그너 튜바, 피콜로 트럼펫, 트럼펫 4, 트롬본 3, 튜바 2, 팀파니 2, 트라이앵글, 탬버린, 탐탐, 베이스 드럼, 심벌즈, 현악기
  • 봄의가락 춘조(春調)
    출품한 「봄의 가락」은 추천작가가 된 김인승이 자신의 기량을 최대한 발휘하여 제작한 대표작이다. 당시 조선미술전람회에는 대작(大作) 출품이 유행하고 있었는데, 이 작품은 이 해의 대표적인 대작으로 두 폭의 대형 캔버스에 인물군상을 그린 것이다. 출품 당시에 두 폭은 따로 출품되었다. 두 폭 중 오른쪽은...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김인승(金仁承)
    창작/발표시기 :
    1942년
    성격 :
    유화, 인물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47.2㎝, 가로 207㎝
    권수/책수 :
    1점
    재질 :
    캔버스에 유채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한국은행
  • 오방신장 五方神將
    오방장군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5방은 동의 청제, 서의 백제, 남의 적제, 북의 흑제, 중앙의 황제이다. 5방을 색채로 나타내는 것을 ·여름·가을·겨울의 4계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로 인해 계절·방위·색채는 상호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무당들은 자신의 집에 오방장군의 신상을 모셔두고 제사를 올린다...
  • 성스러운 괴물, 산드로 보티첼리 알레산드로 디 마리아노 디 반니 필리페피(Alessandro..
    대표적이다. 〈〉은 로렌초 일 마니피코의 조카 로렌초 디 피에르프란체스코의 침실 곁방에서 발견된 것으로, 로렌초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그린 것으로 생각된다. 이 그림에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헤르메스, 비너스를 수행하는 삼미신, 비너스, 다산의 여신 플로라, 서풍 제피로스 등이 그려져 있다. 서로...
    출생 :
    1444년경
    사망 :
    1510년 05월 17일
    국적 :
    이탈리아
    대표작 :
    〈비너스의 탄생〉, 〈봄(프리마베라)〉, 〈수태고지〉 등
  • 관현악을 위한 영상(제3집) 클로드 드뷔시, Images pour orchestre
    곡이 진행된다. 이 곡은 명확한 체계가 없이 발전되는 구조로서 마치 선회하는 듯한 움직임을 연상시킨다. 작품의 마지막에는 리듬과 선법이 모두 을 연상시키는 색채로 변형되어, 화려하게 곡을 끝맺는다. ⓒ 음악세계 & 음악사연구회(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음악세계와 음악사연구회가 공동 개발한 것으로, 이를...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09~1912년(제1곡), 1905~1908년(제2곡), 1905~1909년(제3곡)
    작곡가 :
    클로드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초연 :
    1913년 1월 26일(제1곡), 1910년 2월 20일(제2곡), 1910년 3월 2일(제3곡)
    출판 :
    1913년(제1곡), 1910(제2, 3곡)
    헌정 :
    엠마 드뷔시
    구성 :
    3곡으로 된 관현악 작품
    편성 :
    제1곡 지그 - 오케스트라(플루트 2, 피콜로 2, 오보에 2, 오보에 다모레, 잉글리시호른, 클라리넷 3,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3, 콘트라바순, 호른 4, 트럼펫 4, 트롬본 3, 심벌즈, 스네어드럼, 자일로폰, 첼레스타, 하프 2, 현5부) 제2곡 이베리아 - 오케스트라(플루트 3, 피콜로, 오보에 2, 잉글리시호른, 클라리넷 3, 바순 3, 콘트라바순,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탬버린, 캐스터네츠, 스네어드럼, 심벌즈, 하프 2, 현5부) 제3곡 본의 론도 - 오케스트라(플루트 3, 오보에 2, 잉글리시호른, 클라리넷 3, 바순 3, 콘트라바순, 호른 4, 팀파니, 탬버린, 트라이앵글, 심벌즈, 첼레스타, 하프 2, 현5부)
  • 산드로 보티첼리 Sandro Botticelli
    있다. 이 두 그림은 카스텔로에 있는 로렌초 디 피에르프란체스코 데 메디치의 별장을 위하여 그린 것이지만, 지금은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에 있다. 선명한 색채와 사실적인 세부묘사가 특징인 14세기 후반 국제 고딕 양식의 영향이 〈〉에 크게 나타나 있지만, 이 그림에서는 표현이 더욱 부드러워졌고 고대 그리스...
    출생 :
    1444년경, 피렌체
    사망 :
    1510년 5월 17일, 피렌체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이탈리아 베네치아 화파의 창시자, 조반니 벨리니 Giovanni Bellini
    미술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의 중심지 자리를 놓고 로마, 피렌체와 경쟁할 만큼 크게 성장했다. 그는 회화사에 있어 ‘만물의 ’이라고 불릴 만큼 부드럽고 감미로운 색채와 빛 표현, 시적 감흥이 풍부한 서정적인 작품을 창조하여 베네치아 미술 최고의 거장으로 불린다. 조반니 벨리니는 1430년경 베네치아의...
    출생 :
    1430년경
    사망 :
    1516년
    국적 :
    이탈리아
    대표작 :
    〈게세마네에서의 고통〉, 〈네 명의 성인과 함께 있는 옥좌의 성모자〉, 〈신들의 향연〉 등
  • 4개의 마지막 노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Vier letzte Lieder für Sopran und Orchester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3, 호른 4, 하프, 현5부 헤세의 초기 작품으로 서정성이 짙게 묻어나는 시이다. 슈트라우스 역시 음악에 시의 서정성을 담아내면서 봄의 기쁨과 행복을 표현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온화한 분위기의 이 작품은 풍부한 관현악 색채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새의 울음소리를 묘사한 목관의 트릴도...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성악곡>예술가곡
    제작시기 :
    1948년
    작곡가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
    초연 :
    1950년 5월 22일, 런던,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지휘, 키르스텐 플라크스타트 독창
    출판 :
    1950년
    편성 :
    소프라노(독창), 오케스트라 [제1곡] 플루트 2,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3, 호른 4, 하프, 현5부 [제2곡] 플루트 3,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2, 호른 4, 트럼펫 2, 하프, 현5부 [제3곡] 피콜로 2, 플루트 2,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2, 호른 4,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첼레스타, 현5부 [제4곡] 플루트 2(피콜로와 겸함),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니세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2, 콘트라바순,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현5부
  • 현악 5중주 1번 요하네스 브람스, String Quintet No. 1 in F Major Op.88
    1882년 ’이라고 적혀있다고 한다. 총보와 파트보는 모두 11월(혹은 12월)에 출판되었으며, 자필 초고는 후에 경매를 통하여 지휘자 푸르트뱅글러의 소유가 되었다가 그의 사후에 헤르초겐베르크 부인에 의해 바덴바덴의 브람스 협회로 옮겨졌다. 정식 초연은 12월 29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잘바우에서 이루어진...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실내악>5중주
    제작시기 :
    1882년
    작곡가 :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
    초연 :
    1882년 12월 29일, 프랑크푸르트
    출판 :
    1882년, 베를린
    구성 :
    3악장
    편성 :
    바이올린2, 비올라2, 첼로
  • 대지의 노래 구스타프 말러, Das Lied von der Erde
    동양의 색채를 짙게 담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 작품은 매우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중국의 시를 가사로 선택했기 때문인지, 그는 5음음계를 중심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푸치니의 〈나비부인〉에서 소개된 일본음계도 사용하였다. 또한 가믈란 음악을 연상시키는 헤테로포니 풍의 불규칙한 유니즌을 제시하고 있으며 텅...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관현악곡>교향곡
    제작시기 :
    1908~1909년
    작곡가 :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1860~1911)
    초연 :
    1911년 11월 20일
    출판 :
    1912년
    구성 :
    6악장
    편성 :
    오케스트라(피콜로, 플루트 3, 오보에 3, 클라리넷 3, E 조 클라리넷, 베이스클라리넷, 바순 3,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트라이앵글, 심벌즈, 글로켄슈필, 탐탐, 베이스드럼, 스네어드럼, 탬버린, 하프 2, 첼레스타, 만돌린, 현5부), 테너, 알토(혹은 바리톤)
  • 나카무라 노보루 中村登, Nakamura Noboru
    이야기다. ‘색채 설계와 카메라움직임이 이미지와 잘 어울어진, 시적인 미장센과 풍부한 아름다움을 자아내는 영화’(도쿄필름엑스), ‘스타일적으로 <화양연화>(花樣年華, 2000)의 왕가위(王家衛)를 연상시키고 최전성기의 더글라스 서크(Douglas Sirk)를 반향하는’(『사이트 앤 사운드』(Sight & Sound)) 영화라는...
    출생 :
    1913년 8월 4일 일본 도쿄
    사망 :
    1981년 5월 20일 일본
    본명 :
    나카무라 노보루(中村登)
    수상 :
    미국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노미네이트(<고도>(古都, 1963), <치에코의 초상>(智恵子抄, 1967)), 베를린영화제 경쟁부문 초청(<석춘>(惜春, 1967))
    데뷔 :
    <삶과 리듬>(生活とリズム, 1941)
  • 191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태서문예신보〉와 그 주역들 전통민요와 근대시의 접목 및 신..
    줄 / 그대의 손에 다쳐 소리 나도다 // 맑은 하늘 꽃이 없는데 / 종달새의 노래 들으면 / 끝없는 졸음에 맘의 표박(瓢泊) / 그대의 나래에 붙어 돌도다 「」에 나타난 시어들은 『소년』이나 『청춘』에 실린 최남선 또는 이광수의 시에서 보게 되는 그것과는 색채가 다르다. 즉, 대중을 계몽하거나 이념을 퍼뜨리는...
    시기 :
    1918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