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평강공주 平岡公主
    고구려 평원왕의 딸(→ 〈온달설화〉).|남편은 온달이다. 〈삼국사기〉 온달전에 따르면, 어려서 잘 울어 그때마다 왕이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다고 했다. 16세가 되어 왕이 상부(上部:고구려 왕도 5부의 하나) 고씨(高氏)에게 시집보내려고 하자 이를 거역하여 궁궐에서 쫓겨났다. 공주는 온달의 집에 찾아가 그...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고구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인물 , , 고대
  • 평강공주 (동의어 평강 공주) 平岡公主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25대 평원왕의 첫째 딸인 공주.|개설 평원왕의 딸이며, 남편은 장군 온달(溫達)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삼국사기』온달전에 의하면, 공주는 어릴 때에 잘 울어서, 왕이 희롱하여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다고 말하였다. 그 뒤, 커서 시집갈 나이가 되어 왕이 명문귀족 집안에 시집보내려했지만 ...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공주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평강공주 (관련어 평강 공주) Princess Pyeonggang, 平..
    왕족 정보 평강공주(平岡公主, 생몰년 미상)는 고구려 평원왕(平原王)의 딸이다. ‘평강’(平崗)은 평원왕(平原王)의 이칭인 평강상호왕(平崗上好王)에서 따온 것으로 원래 이름은 알 수 없다. 남편(男便) 온달(溫達)과의 설화(說話)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수록되어 있다. 어려서 자주 울어 그때마다 평원왕이 바...
    도서 위키백과
  • 온달 고구려의 영웅이 된 평민
    우기는 바람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구려 역사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더불어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그리고 온달에 대한 관심도 부쩍 높아졌다. 사실 평강공주와 온달설화는 어린 시절 동화책이나 만화를 통해 자주 접한 이야기이지만 역사인물 온달(溫達, ?~590)은 우리에게 낯선 편이다. 그래서 지금부터 온달의...
    출생 :
    미상
    사망 :
    590년
  • 온달설화 溫達說話
    마음은 명랑한 바보 온달이라는 거지가 있었는데 집안이 가난하여 거리를 돌아다니며 구걸해서 눈 먼 어머니를 봉양했다. 당시 평원왕에게 울보인 딸(평강공주)이 있어서 늘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다고 놀렸다. 공주가 자라서 상부 고씨에게 출가하라는 부왕의 명을 어릴 때의 농담을 들어 거역하자 왕은 공주를 궁궐...
  • 바보 온달과 평강 공주
    영화 정보 바보 온달과 평강 공주는 1961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신영균 김지미 김승호 이예춘 박노식 황정순 김희갑 전계현 주증녀 유계선 김신재 이용 박상익 최삼 양훈 정철 이업동 이해룡 김효진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도서 위키백과
  • 공주 公主
    예로 고려 충렬왕(忠烈王)부터 우리나라 왕에게 시집온 7명의 원(元)나라 공주를 들 수 있다. 〈삼국유사〉에 고구려 호동왕자와 낙랑의 공주, 온달에게 시집간 평강공주(平岡公主), 그리고 〈서동요 薯童謠〉에 무왕과 선화공주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공주의 칭호를 쓴 것 같다. 이 호칭은 고려 문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 일반
  • 평강뜰애
    체험하고 시골의 향과 맛을 담아갈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전통장 체험 외에도 다식만들기 체험, 천연염색 체험, 순두부만들기 체험 등이 가능하다. 평강뜰애는 국도 36호선에서 가느실길을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 대천IC와 서천공주고속도로 서부여IC가 가깝다. 주변에는 청천저수지 외에...
    위치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가느실길 106
    문화재 지정 :
    충남교육청지정 우수체험농장 지정(2011년)
  • 평강
    평강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평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의 행정 구역이다. 평강공주(平岡公主)는 고구려의 인물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낙랑공주 Princess of Nangnang (1st century), 楽..
    재사 시사촌 : 태조왕 시외숙부 : 갈사부여의 도두왕 《자명고》'에서 따온 이름으로 '평강왕'은 그녀의 아버지인 평원왕의 다른 이름으로 쓰였으니 즉 평원왕의 딸이라는 의미로 평강공주라 기록된 것이다. 평강공주 역시 낙랑공주와 마찬가지로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낙랑 낙랑군 한사군 호동 민담 설화 전설 두피디아
    도서 위키백과
  • 누가 온달을 바보로 만들었을까
    악처의 반대말, 양처의 대명사로 불리는 평강공주의 남편 이야기입니다. ‘온달’이라고 하면 곧바로 따라붙는 말이 두 개 있습니다. ‘바보’와 ‘아내 덕에 출세한 남자’입니다. 온달은 정말 바보이고 아내 덕에 출세한 남자일까요? 충북 단양 남한강가에는 해발 427미터 산 정상에 돌을 쌓아 세운 온달산성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평강공주(平岡公主)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