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프레이밍은 부정행위일까볼 때 프레이밍 기술은 부정행위일까. 만약 속이려는 의도가 있다면 부정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 부당한 이득을 취하면 페어플레이 정신에서 벗어난다. 사인 훔치기나 공에 이물질을 묻히고 상처를 내서 던지는 건 확실한 부정행위다. 프레이밍은 규칙을 깨는 건 아니지만, 도덕적인 잣대를 들이대면 문제의 여지는...
-
-
부정행위 [미국] 不正当行为, inequitable conduct미국 특허법상 형평의 원리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을 말함. 부정행위를 할 경우에 법원은 유효한 특허의 권리행사를 제한 할 수 있음. 예를 들어 특허권자가 정보공개의무(IDS)를 위반하는 것은 부정행위에 속하며 하나의 청구항에 대해서만 부정행위를 하더라도 특허전체가 무효가 될 수 있음.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위조상품 및 부정경쟁행위 제보센터 假冒品和不正当竞争行为提供信息中..특허청이 위조상품의 유통 및 부정경쟁행위 방지를 위해 설치한 인터넷 사이트. 위조상품의 유통, 제조, 판매뿐만 아니라 부정경쟁행위에 관련된 제보를 접수하며, 제보내용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해서 침해 행위자에 대한 조사 실시, 시정권고, 검찰 송치 등을 수행함. 온라인상 위조상품 판매행위에 대한 제보도 접수...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부정경쟁행위 不正当竞争行为, act of unfair compe..시장에서 거래를 함에 있어서 공정한 거래관행에 반하는 행위. 구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약칭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는 부정경쟁행위의 유형을 한정적으로 열거하고 있었으나, 2013년 개정 법률에 보충적 일반 조항을 신설하였고, 2018년부터는 ‘아이디어 부정사용 행위’도 부정경쟁행위에...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부정유용행위 私吞, misappropriation타인의 재물을 불법적으로 횡령, 부정하게 유용하는 행위. 특히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한 수단에 의하여 영업비밀이나 거래관계 중에 기술적 ・ 영업상 아이디어를 취득한 행위 또는 부정취득 된 것을 알거나 알 수 있었던 자가 영업비밀을 개시하거나 사용하는 행위.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 사건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 사건은 2004년 11월 17일 실시된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적으로 수많은 수험생들이 시험성적을 올리기 위해 부정행위를 하다 적발된 사건이다. 부정행위는 크게 휴대전화를 이용해 답안을 전송하는 방식과 대리시험을 치르는 방식으로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다...도서 위키백과
-
부정취득행위 不正当取得行为, act of improper acq..절취, 기망, 협박 기타 부정한 수단으로 영업비밀을 취득하는 행위(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3호 가목).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
부정행위 신고서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시행 2015.1.1] [고용노동부령 제117호, 2014.12.31, 타법개정]에 의한 [서식 17의3] 부정행위 신고서 양식입니다. - 서식명 : 부정행위 신고서 - 소관부처 : 고용노동부 - 법령명 :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 별지서식 : [서식 17의3] - 법령종류 : 고용노동부령 - 공포번호 : 제117...
- 분류 :
- 법률서식 > 민원/행정서식
- 원문 :
- https://www.yesform.com/dic/yesform_document/view/54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