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스파 문자 팔사파문자, 八思巴 文字
    원나라 라마승 파스파(Phags-pa, 八思巴)가 티베트 문자에 기초하여 원나라의 말을 나타내기 위하여 네모꼴로 만든 음소문자. 팔사파문자·팍바문자·몽고신자·몽고국자.|개설 1265년(至元 2)에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이 국사(國師)인 라마승 파스파에게 명하여 만들어 1269년(至元 6)에 반포한 것으로, 티베트 ...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파스파 문자 몽골 문자, 八思巴文字
    창제한 해에 공용문자로 채택·공포했다. 티베트 문자를 기초로 하여 그것을 방형화하고, 왼쪽부터 세로로 몽골어를 적었다. 처음에는 자음 33자, 모음 10자, 기호 9개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자음 31자, 모음 8자로 모두 39개의 자모로 개량되었다. 이 문자는 원의 세력 안에 들어 있는 모든 언어(몽골어·한어·티베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파스파 문자 (관련어 파스파문자) ʼPhags-pa script, パス..
    팔사파어(八思巴語)는 1265년 몽골 원나라(元) 국사(國師)인 파스파(八思巴, 'phags-pa)가 쿠빌라이 칸(세조 世祖)의 명을 받아 몽골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든 문자로서, 몽골신자·방형몽골문자라고도 하는데, 파스파의 백부(伯父) 사펜이 처음 고안한 것을 파스파가 개량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몽골어뿐 아니라 중국·...
    도서 위키백과
  • 몽골 문자 탄생
    쿠빌라이 칸이 새로운 몽골 문자(파스파 문자)를 만들었다. 거란족, 여진족 등 중국을 지배한 북방민족이 압도적인 중국 문화에 흡수될 것을 우려해 고유문자를 만든 전통을 이은 것이다. 북방 민족은 중국인에 비해 훨씬 수가 적었으므로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강하게 결속해야 했고, 결속을 위해서는 문화적 정체성...
    시대 :
    1269년
    국가/대륙 :
    아시아
  • 한글
    경우에는 원나라의 파스파 글자까지 결부시켜,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파스파 글자를 참고하되 고전 글자와 비슷하게 생긴 파스파 글자와 마찬가지로 훈민정음도...여기에 상형설을 결부시킨 것을 말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음소 문자인 훈민정음은 글자의 성격으로 보아서는 몽골 글자나 파스파 글자와 같고...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훈민정음의 창제
    홀소리로 구분하여 끝소리에 초성을 다시 썼다. (종성부용초성 終聲復用初聲) 한글 낱자는 발음 기관을 상형해서 만들었다. 섬네일|240px| (위) ’파스파 문자 ꡂ ꡊ ꡎ ꡛ ꡙ ㄷ ㅂ ㅈ ㄹ IPA. (아래) 중국어를 표현하기 위한 파스파 문자 ꡯ w, ꡤ v, ꡰ f의 파생과 그의 변형 문자 ꡜ IPA (왼쪽) 밑에 기호를 덧붙인 ꡧ ㅸ v...
    도서 위키백과
  •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 順天 松廣寺 Tibet文 法旨
    만민이 그 인(仁)에 귀의하였다. 귀국할 즈음, 금란가사(金襴袈裟), 벽수장삼(碧繡長衫), 백불(白拂) 한 쌍을 세조로부터 받았다. 이 문서의 글자가 파스파문자이며 티벳 밀교와 관련된 것이거나 아니면 귀국하는 국사의 신분을 보장하기 위한 여행증이라는 것이 종래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이 문서에 대한 기록은 옛...
    유형 :
    유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범자 梵字
    티베트 문자(Tibet, 西藏文字)와 파스파(Paspa, 八思巴)문자를 차례로 낳았다. 티베트문자는 범자를 바탕으로 티베트어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파스파문자는 원(元)나라 세조(世祖)가 승려 파스파(정확히는 ○P^ca_gs-pa)에게 명하여 티베트문자를 바탕으로 새로 만들게 한 이른바 몽고신자(蒙古新字)인데, 이들...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문자 발명가 목록 List of creators of writing syst..
    않음 1250년 다완 투리 바랑 크슈트리 문자 호어 사용 중 1250년 모웅바리 아종(티베트의 왕) 동파 문자 성립에 기여 나시어 사용 중 1269년 파스파(티베트의 승려) 파스파 문자 몽골어 사용되지 않음 1283년 람캄행 대왕(태국의 군주) 타이 문자 제정 태국어 중간 개정을 거쳐 사용 중 1300년 성 샤흐잘랄(벵갈인...
    도서 위키백과
  • 브라흐미계 문자 Brahmic scripts, ブラーフミー系文字
    문자, 5세기 샤라다 문자, 8세기 란다 문자, 10세기 구르무키 문자, 14세기 호키 문자, 16세기 싯담 문자, 7세기 아삼 문자, 13세기 벵골 문자, 11세기 티베트 문자, 7세기 파스파 문자, 13세기 나가리 문자, 8세기 오리야 문자, 10세기 데바나가리 문자, 13세기 구자라트 문자, 16세기 카이티 문자, 실레티 문자, 16...
    도서 위키백과
  • 몽골어의 문자 체계 Mongolian writing systems, 蒙古語文字
    몽골어의 문자 체계는 역사적으로 네 종류가 있다. 파스파 문자는 13세기에 몽골어 등 원나라의 각종 언어 표기에 이용하기 위해 제정된 표음 문자로, 위에서 아래로 세로로 쓴다.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전통 몽골 문자는 12세기에서 13세기 사이쯤에 위구르 문자에서 온 문자이다. 이는 세로쓰기를 하는 현존 문자...
    도서 위키백과
  • 다중문자사용 Digraphia, ダイグラフィア
    표기되어온 경우는 매우 많다. 한국어는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에 한자차자표기인 이두, 향찰, 입겿등으로 쓰여졌는데, 오늘날에는 이들 표기법이 쓰이지 않는다. 몽골어는 위구르 문자를 개량한 몽골 문자와 원나라 때 만들어진 파스파 문자로 쓰였으며, 오늘날에는 러시아에서 도입된 키릴 문자를 쓴다. 공용문자 양층언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파스파 문자
파스파 문자
파스파 문자('Phags-p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