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토마스 아퀴나스 Saint Thomas Aquinas
    1323년 성인으로 추증됨. 그리스도교 철학자. (이). San Tommaso d'Aquino. 별칭은 Doctor Angelicus.|인성·창조·섭리를 다룬 형이상학 분야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전제들로부터 그 나름의 결론을 이끌어냈다. 〈신학대전 Summa Theologiae〉·〈대이교도대전 Summa contra gentiles〉이라는 2편의 걸작을 써서 라틴...
    출생 :
    1224/25, 로마
    사망 :
    1274. 3. 7, 파사노바 시토 수도원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철학가
  • 토마스 아퀴나스 (관련어 토마스아퀴나스) Thomas Aquinas, トマス・アクィナス
    현재 로마가톨릭교회는 그를 신학자요 박사로 존경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의 이름을 딴 학교나 연구소 등이 많이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탈리아의 나폴리 근교 로카세카 성(Roccaseca)에서 아퀴노(Aquino) 지방 영주 중 하나인 란돌포의 9남매 중 일곱 번째 아들(아들 넷 중에서는 막내)로 태어났다. 토마스 아퀴...
    도서 위키백과
  • 신의 창조 안에서 정치의 자율성을 옹호한 사상가,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
    토마스의 생애와 시대 배경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1224년 말 또는 1225년 초에 이탈리아 중부의 아퀴노 지방에 있는 로카세카라는 성에서 그 지방의 군주인 란둘프(Landulf) 백작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퀴나스’라는 그의 이름은 아버지의 영지 ‘아퀴노’에서 비롯했다. 그를 ‘토마스’라고도 부르고 ...
    출생 :
    1224/1225년
    사망 :
    1274년
    대표작 :
    《신학대전( Summa Theologiae)》
  •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성인. 사제. 교회학자. 축일은 1월 28일이다. 1. 생애 :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탈리아 나폴리에 가까운 로카세카(Roccasecca) 성에서 1224년말이나 1225년초에 태어났고 부친은 아퀴노의 백작이었다. 다섯 살 때 몬테 카시노(Monte Cassino)의 성 베네딕토 수도원 학생으로 그의 학문을 시작하였다. 1239년 14세에 나폴리...
  • 스콜라 철학 (관련어 토마스 아퀴나스) Scholasticism
    스콜라 철학은 중세학문을 대표하는 철학이자 신학이다. '스콜라'라는 명칭은, 교회 부속학교인 스콜라에서 처음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스콜라 철학의 토대는 로마 시대의 교부 철학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이지만, 12세기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받아들여 더욱 발전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스...
  • 토마스 아퀴나스 시장경제의 디딤돌을 놓다
    부자가 천국에 가는 것은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만큼이나 어렵다'는 인식은 어떻게 깨졌을까. 신앙과 이성을 분리한 성(聖)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가 그 시발점이다. 경제사에서 그는 시장경제의 디딤돌을 놓은 인물로 평가된다. 아퀴나스는 중세를 대표하는 종교철학자. 1225년 나폴리 부근...
  •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황청시절과 파리 복귀
    방이 등장한 뒤 1266년부터 파리대학교의 교양학부 학생들은 우수한 아베로에스의 주석서와 이성적 경향을 띠고 있던 그의 사상에 매료되기 시작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동료 교수들인 아베로에스와 시제르에 반대했으나, 양편은 모두 상대방을 높이 평가했다. 이탈리아에서 돌아오자마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시제르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철학가
  • 토마스주의 Thomism
    개요 토마스주의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리체계뿐만 아니라 그 추종자들이 발전시킨 교리 체계와 해석까지도 포함한다. 아퀴나스의 입장 토마스 아퀴나스는 존경하는 마음으로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주의자들, 아우구스티노와 교부들의 사상을 활용했지만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입장을 발전시켰다. 다음과 같은 예들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토마스 아퀴나스의 말년
    형상은 어떤 사물을 현재의 상태로 존재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물을 구성하고 있는 형상과 질료는 모든 사물을 구성하는 2가지 내적인 원인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육체는 인간의 질료이고, 영혼은 인간의 형상이다. 그러나 그당시 많은 학자들은 토마스가 정신의 초월성(영혼이 육체의 죽음 뒤에도 살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집필
    이탈리아의 스콜라 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가 『신학대전』을 썼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크리스트교 신학을 결합해 신앙과 이성을 조화시키려 했다. 아퀴나스가 활약한 시기는 대학의 확산과 이슬람 세계에서 들어온 그리스 로마 고전들 덕분에 유럽에 새로운 지적 활기가 돌 때였다. 아퀴나스는 생애의 대부분...
    시대 :
    1273년
    국가/대륙 :
    유럽
  • 토마스 아퀴나스의 파리 유학 시절
    복음주의로부터, 또다른 한편으로는 도미니코 수도회를 설립한 성 도미니코의 학문적 열정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탁발 종교인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토마스 아퀴나스가 파리대학교에 왔을 때는 아라비아-아리스토텔레스 과학이 유입되어 신자들이 이에 대해 날카로운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교회 당국은 이 철학에서 비롯...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토마스 아퀴나스의 평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전기는 극히 단순하다. 대학교 생활에만 헌신했던 공직활동 기간중 파리, 로마 교황청, 다시 파리, 나폴리로 여행한 것을 제외하면 연대를 표시할 만한 활동조차 거의 없다. 그러나 그의 생애가 그당시의 사회적·정치적 문제들과 무관한 조용한 교수생활이었다고 판단한다면 그것은 잘못이다. 그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0건

토마스 아슬란
토마스 맬서스
토마스 탈리스
샹탈 토마스
토마스 모렐
토마스 퍼시
토마스 모렐
토마스 영
토마스(William Thomas)
발데리즈, 토마스 에스테반
토마스 고스, 메를로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토마스 고스, 쉬라즈
토마스 헨리 헉슬리
토마스 앨바 에디슨
 토마스 아퀴나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