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금이론
    임금의 결정을 설명하는 임금이론에는 임금생존비설·임금기금설·노동가치설·한계생산력설 등이 있다. 임금생존비설은 임금철칙설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17세기 중상주의를 배경으로 나온 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노동자는 임금으로 자기 및 가족의 생활유지에 필요한 생존자료를 획득하는 것이므로 결국 임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임금이론 賃金理論, wage theory
    노동에 대한 보수의 결정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경제이론.|임금생존비설은 데이비드 리카도와 여러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이 발전시킨 이론으로 맬서스의 인구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노동의 시장가격은 항상 생존에 필요한 최저 수준으로 내려가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노동의 공급이 늘어나면 임금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효율 임금 이론 (동의어 임금이론) Efficiency Wage Th..
    어떤 노동자의 효율성이 그의 임금을 결정하는게 아니라 노동자가 받는 임금이 그의 효율성을 결정한다고 보는 경제학 이론이다. 직장에서 좋은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면 그만큼 직장에 대한 애정과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자부심이 생겨 일을 열심히 하게 되지만 임금을 적게 받는 사람은 자신이 형편없는 대우를...
  • 임금 (관련어 임금이론) 賃金, wage
    노동 서비스의 대가.|보통 생산직 근로자에 대한 임금과 사무직 노동자 등에 대한 봉급으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임금은 주로 시간당 임금 또는 임금률이 정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성과급과 같이 일정한 성과에 대해 일정임금률이 정해져 있기도 하고 일당 등과 같이 하루를 기준으로 지불되기도 한다. 후자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교육팽창이론
    중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이 이론은 오늘날 학교가 학습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한 장소가 되지 못한다고 지적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 임금경쟁이론 산업사회에서 교육받은 인력은 노동생산성을 높여주고, 이는 결국 높은 임금을 보장해준다. 따라서 개인들은 임금경쟁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차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소득주도성장 소주성, income-led growth
    소득분배율은 1980년대 이래 전 세계적으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동 비율의 하락이 총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성장을 제약할 수 있다는 주장이 이론적 ・ 실증적인 연구에 의해 힘을 얻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포스트케인지안들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가 경제성장과 정(+)의 관계를 가지면 임금주도경제(wage...
  • 교육팽창 敎育膨脹
    유사한 개념으로 고학력화, 학력사회, 학력 인플레이션, 과잉교육 등이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교육기회의 확대를 통해 국가발전과 사회의 평등을 실현하려는 국가적·사회적 요구와 교육을 통한 사회적·경제적 지위향상을 추구하는 개인적 욕구의 증대로 교육부분이 폭발적으로 팽창했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교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소득 주도 성장론 임금주도성장론
    가계소득 증대를 통해 소비와 투자를 촉진시켜 경제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경제성장이론이다. 임금 주도 성장론이라 고도 한다. 임금을 낮추고 기업의 이윤을 높임으로써 투자와 수출을 촉진해 경제성장을 하자는 수출·대기업 중심의 성장론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임금을 중심으로 가계소득을 늘리면...
  • 소득 주도 성장 소주성
    Stockhammer)가 2012년 국제노동기구(ILO) 보고서에서 주장한 임금 주도 성장론에서 문재인 정부가 자영업자가 많은 우리나라의 여건을 감안하여 임금을 소득으로 대체한 이론이다. 라부아와 스톡해머는 세계적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노동 소득 분배율로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발상의 전환이 필요...
  • 노동과 임금의 분배
    부담하는 연금이나 의료보험 형태의 임금보조금은 물론 유급휴가·휴일·병가·특별수당 등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임금생존비설 임금결정이론과 국민총생산 가운데 노동자가 차지하는 분배몫에 관한 이론은 시대와 경제적 환경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되어왔다. 애덤 스미스는 명확한 임금이론을 제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임금 賃金
    위한 경제적인 방법이라는 것과 또한 학력이 근로자의 잠재적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것이다. 그리고 동일업종·동일산업·동일연령계층이면서도 학력별 임금격차를 보이는 이른바 학력별 순임금격차의 발생원인은 인적자본이론(人的資本理論)의 입장에서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하다. 즉, 교육을 통하여 인적자본을...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분배이론 分配理論, distribution theory
    전통적으로 경제학자들은 토지·노동·자본 등의 생산요소에 투입되는 비용과 지대·임금·이윤 등의 형태로 얻어지는 수익의 크기가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연구과제로 삼아왔다. 분배이론은 국민소득을 사람을 기준으로 분배할 것인가 아니면 생산요소를 기준으로 분배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개인간의 분배와 분배 몫'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