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알타크샤사, Artaxerx..고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BC 465~425 재위). 별명은 그리스어로 마크로케이르('긴 손')였고, 라틴어로는 롱기마누스였다. 그는 크세르크세스 1세와 아메스트리스의 둘째아들로 태어났지만, 크세르크세스를 죽인 근위대장 아르타바누스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다. 몇 개월 뒤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아르타바누...
- 출생 :
- 미상
- 사망 :
- BC 425, 엘람 왕국 수사
- 국적 :
- 페르시아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관련어 아르타크세르크세스1세) A..왕족 정보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의 샤한샤(재위 기원전 464년- 기원전 424년)이다. 선대의 왕 크세르크세스 1세의 셋째 아들이자, 차기 세대의 왕 크세르크세스 2세의 아버지이다. 고대 페르시아어 원형은 아르타크사샤 아르타크세르크세스의 출생은 아마도 할아버지 다리우스 1세 황...도서 위키백과
-
-
이집트 후기 왕조시대미쳤다(마라톤 전투). BC 486년에 다리우스 1세가 죽자, 나일 삼각주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그러자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는 이집트를 페르시아 속주의 지위로 떨어뜨렸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BC 465~424년 파라오로 재위)와 다리우스 2세(BC 424~404년 파라오로 재위) 때 이집트의 국내 상황은 불안정했다. BC...
-
-
아케메네스 왕조시대버렸다. BC 465년 후궁들간의 음모로 크세르크세스가 암살당한 후 후궁의 병폐는 점차 힘을 소모시키게 되었다. 크세르크세스의 사후 아케메네스의 왕위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BC 464~425), 크세르크세스 2세(BC 425~424) 및 다리우스 2세(BC 423~404)로 계승되었다. 이들의 통치기간에는 반란과 내분이 끊이지...
-
동서양 문명의 첫 충돌, 페르시아 전쟁계속 공세를 펼쳤던 것이다. 델로스 동맹국들의 공격은 대부분 성공했고, 기원전 448년경에는 아테네를 비롯한 동맹국들과 페르시아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들) 사이에 전쟁을 마감하는 협정이 맺어졌다. 전쟁 후 페르시아와 그리스의 변화 페르시아 전쟁은 지중해에 세력을 넓히려던 페르시아...
- 발생 :
- 기원전 492년
- 종결 :
- 기원전 47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