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베이트슨 William Bateson
    베이트슨은 유전학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고 그 기초를 마련했으며, 실험을 통해 유전에 관한 기본적인 증거를 제공했다. <변이 연구를 위한 재료>(1894)에서 그는 식물 또는 동물에서 뚜렷한 특징들이 갑자기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것이 자주 발견되기 때문에 종의 연속적인 변이를 통해 진화가 일어날 수 없다고...
    출생 :
    1861. 8. 8, 잉글랜드 요크셔 휫비
    사망 :
    1926. 2. 8,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윌리엄 베이트슨 (관련어 베이트슨) William Bateson, ウィリアム・ベイトソン
    인물 정보 윌리엄 베이트슨(William Bateson ; 1861년 ~ 1926년)은 영국의 동물학자 및 유전학자이다. 미국의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공부를 하여 진화론을 연구하였다. 1886년 중앙 아프리카 서부의 함수호(물이 짠 호수)에서 사는 동물들을 관찰하여 후에 《변이 연구 자료》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다윈의 학설을 비판...
    도서 위키백과
  • 베이트슨 프로젝트 Bateson Project
    베이트슨 프로젝트(Bateson Project,1953-1963)는 그레고리 베이트슨(Gregory Bateson)이 조직한 획기적인 협업의 이름으로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의사 소통과 심리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논문과 혁신을 이끌었다. 다른 멤버로는 도널드 드아빌라 잭슨(Donald deAvila Jackson), 제이 헤일리(Jay Haley), 존...
    도서 위키백과
  • 그레고리 베이트슨 Gregory Bateson, グレゴリー・ベイトソン
    네티션이며 이들 외에도 다른 많은 분야에 걸치는 작업을 수행한 학자이다. 대표작으로 『마음의 생태학』 (1972)과 『마음과 자연』 (1979) 등이 있다. 베이트슨의 업적으로는 캘리포니아의 팰로앨토에서 동료들과 함께 조현병에 대한 이중 구속 이론을 발전시킨 것을 꼽을 수 있다. 이에 더해, 시스템 이론에 대한...
    도서 위키백과
  • William Bateson 윌리엄 베이트슨, ウィリアム・ベイトソン
    William Bateson (8 August 1861 – 8 February 1926) was an English biologist who was the first person to use the term genetics to describe the study of heredity, and the chief populariser of the ideas of Gregor Mendel following their rediscovery in 1900 by Hugo de Vries and Carl Correns. Bateson...
  • 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가?, 메타 커뮤니케이션 meta communic..
    meta-communication은 1951년 영국 인류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Gregory Bateson, 1904~1980)이 ‘communication about communication’이란 뜻으로 만든 용어로 알려져 있는데, 정작 베이트슨은 그 저작권자는 미국 언어학자 벤저민 리 워프(Benjamin Lee Whorf, 1897~1941)라고 밝혔다. 베이트슨은 대화에서 표현...
  • 달링턴 Cyril Dean Darlington
    베이포드버리로 옮겨갔다. 1953년 옥스퍼드대학교의 셜라드좌(座) 식물학교수로 임명되었다. 1920년대 이네스 연구소에서 윌리엄 베이트슨의 지도하에 유전학 연구를 시작했으나 베이트슨과 달리 염색체가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유전정보를 전달해주는 세포 내의 중요한 구성요소라는 학설을 고수했다. 감수분열에...
    출생 :
    1903. 12. 19, 잉글랜드 랭커셔 코레이
    사망 :
    1981. 3. 26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마거릿 미드 Margaret Mead
    and Temperament in Three Primitive Societies〉(1935)·〈발리인의 특성 Balinese Character:A Photographic Analysis〉(1942, 당시의 남편 그레고리 베이트슨 공저)·〈문화적 진화의 연속성 Continuities in Cultural Evolution〉(1964)·〈인종에 대하여 A Rap on Race〉(1971, 제임스 볼드윈 공저)·〈남성과...
    출생 :
    1901. 12. 16, 미국 필라델피아
    사망 :
    1978. 11. 15, 뉴욕 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바빌로프 Nikolay Ivanovich Vavilov
    이러한 연구는 그 당시 소련 생물학의 정부 대변인이었던 리센코의 적개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영국의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유전학의 창시자인 윌리엄 베이트슨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했고 런던에 있는 존 인네스 원예연구원에서 연구활동을 했다(1913~14). 러시아로 돌아온 뒤 사라토프대학교에서 식물학교수로...
    출생 :
    1887. 11. 25(구력 11. 13), 모스크바
    사망 :
    1943. 1. 26, 러시아 연방 사라토프
    국적 :
    소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베일 John Bale
    1548)와 이를 개정 확대한 〈영국의 저명한 저술가 목록 Scriptorum illustrium majoris Britanniae catalogus〉(1557~59), 1902년 R. L. 풀과 M. 베이트슨이 처음으로 출판한 그의 자필 노트 〈존 베일이 작성한 영국 작가 색인 Index Britanniae Scriptorum Quos Collegit J. Baleus〉이 있다. 부정확한 면도 있지만...
    출생 :
    1495. 11. 21, 잉글랜드 서퍽 코브
    사망 :
    1563. 11, 켄트 캔터베리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카머러 Paul Kammerer
    1923년 그는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그리고 런던의 린네 학회에서 자신의 증거들을 가르치고 제시했다. 그를 비판했던 사람들 가운데 주된 인물인 윌리엄 베이트슨은 그의 실험을 믿지 않았다. 그러던 중 1926년 G. K. 노블과 H. 프리치브람은 보존된 카머러의 도롱뇽을 관찰하게 되었는데, 육지가 인위적으로 인디아...
    출생 :
    1880. 8. 17, 빈
    사망 :
    1926. 9. 23, 독일 슈네베르크
    국적 :
    오스트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생명운동 生命運動
    카프라·프리고진·베이트슨 등의 생태운동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이들의 사상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 양자 물리학,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등을 우리의 동학사상 및 동양사상의 공동적 핵심논리(陰陽論, 緣起說)와 연결시킨 운동이다. 이 운동의 이념인 생명사상은 다음과 같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윌리엄 베이트슨(William Bates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