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속예술 民俗藝術, folk art
    산업화되지 않은 사회에서 대체로 도시와 멀리 떨어져 살고 있는 농부와 목동·뱃사람·기능공 및 상인들에 의해 형성된 예술양식.|민속예술은 문화적으로, 그리고 대개는 지리적으로 외따로 떨어져 생활함으로써 옛날의 특징을 보존하고 있는 사회적 소외계층이나 소수민족의 예술일 수도 있다. 때로는 도시인들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민속 예술 (관련어 민속예술) Folk art, フォークアート
    포크 아트(folk art)는 민속예술, 전통예술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주로 대중 또는 서민이 이용하는 모든 형태의 소박한 시각 예술이다. 포크아트는 서양권의 민속예술을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용어로 16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유럽의 서민계층에서 가구나 일상용품을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포크아트...
    도서 위키백과
  • 한국민속예술축제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韓國民俗藝術祝祭
    연원 및 변천 본래 이 행사의 명칭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였는데 1999년 지금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1958년 8월 대한민국수립 10주년 기념행사의 하나로 개최하여, 1959년과 1960년 두 해를 거른 뒤 1961년부터 공보부(현재의 문화관광부) 주최로 오늘날과 같은 대회의 성격을 띠고 매년 개최하게 되었다. 그 뒤...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한국민속예술축제 韓國民俗藝術祝祭
    1958년 정부수립 10주년 기념 축하행사를 겸해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1959, 1960년 두 해를 거른 뒤에 1961년부터 공보부(지금의 국정홍보처) 주최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1999년부터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 공동 주최하며 대회 이름도 한국민속예술축제로 바뀌었다. 1966년...
  • Folk art 민속 예술, フォークアート
    Folk art encompasses art produced from an indigenous culture or by peasants or other laboring tradespeople. In contrast to fine art, folk art is primarily utilitarian and decorative rather than purely aesthetic.West, Shearer (general editor), The Bullfinch Guide to Art History, page 440, Bloomsbu...
  •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全國民俗藝術競演大會
    개설 사라져가는 전통민속예술을 보존 · 전승하기 위하여 각 시 · 도의 대표로 참가하여 경연을 벌였던 대회이다. 연원 및 변천 1958년 정부수립 10주년을 축하하기 위한 행사로 시작했다. 1961년부터 공보부(지금의 국정홍보처) 주최로 매년 개최되었다. 1966년까지는 서울에서 개최되었으나 1967년부터 전국의...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남도문화제 전남 민속예술 축제, 南道文化祭
    개최되었다. 그러나 남도문화제가 민속을 경연(競演)한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지역 축제적 성격을 강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강조되자 2009년에 전남 민속예술 축제로 명칭을 바꾸고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문화제를 개최하고 있다. 2019년 제45회 전남 민속예술 축제는 전남 영광 스포티움 국민 체육 센터에서 개막하였다...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제1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기념 안동 차전놀이
    금년으로 제10회를 맞이하는 민속예술경연대회가 10월 3일부터 3일간 경북 대구시 종합 경기장에서 개최된다. 본 경연대회는 종전부터 개최하던 농악(農樂), 가면극(假面劇), 민속놀이 외에 금년부터 민요(民謠), 민속무용(民俗舞踊)을 추가한 5개 부문에 걸쳐서 각 도에서 예선을 거쳐 선발된 팀이 참가하여 최종 결선...
    발행일 :
    1969.10.3
    발행량 :
    10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7원
    디자인 :
    안동 차전놀이
    우표번호 :
    650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10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디자이너 :
    전희한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말라카 민속 예술 갤러리 말레이시아 예술가들의 작품 감상, Me..
    말레이 유스 박물관 길 건너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말레이 명칭은 갤러리 스니 라캿(Galeri Seni Rakyat)이다. 갤러리에서 말레이시아 작가들의 회화, 조각 등의 작품을 볼 수 있는데 열대 특유의 강렬한 색채감이 인상적이다. 참고
    소재지 :
    74 Jalan Laksamana, Melaka(전화: 06-283-6538)
    가격 :
    무료
    가는 법 :
    더치 광장에서 잘란 락사마나(Jalan Laksamana) 이용, 도보 3분
    이용 시간 :
    화~목 · 토~일: 09:00~17:30 / 금요일: 09:00~12:15, 14:45~17:30 / 월요일 휴관
  • 부산 민속 예술 축제 釜山 民俗 藝術 祝祭
    [연원 및 개최 경위] 1958년 8월 대한민국 수립 10주년 기념행사의 하나로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가 개최된 이후, 지방 중소 도시에서 자체적으로 해당 지역의 민속 예술 경연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 부산에서는 1972년 부산의 민속 예술을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해 제1회 부산 민속 예술 경연 대회를 개최하였다...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 수영 전통 민속 예술 축제 水營 傳統 民俗 藝術 祝祭
    [연원 및 개최 경위] 부산시 지정 무형 문화재 보전 단체인 수영고적민속예술보전협회는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전통문화를 사랑하며 지키는 시민들의 마음을 불러일으키고자 1971년 수영 전통 민속제를 개최하였다. 전문 예술 단체의 상호 교류는 물론 한자리에서 다양한 무형 문화재를 관람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 씨름
    대표적인 민속놀이이므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그에 대한 관심과 열의는 대단하였다. 위로는 임금을 비롯하여 아래로는 서민에 이르기까지 씨름의 구경꾼은 국민 모두라고 할 수 있다. 구경꾼 중에는 우승한 장사가 맨 샅바가 득남에 효험이 있다는 속설을 믿고 이것을 구하려고 온 사람과 우람한 체격의 장사들을 훔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체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1996년)
말라카 민속 예술 갤러리(Melaka Forks Art Gallery)
제1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기념 - 낱장
제1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기념 - 전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