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속음악
    민속음악은 구전되는 것으로서 제한된 사회구성원 안에서 보급되며 고전음악이나 대중음악과는 관계없이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민속음악을 배워서 연주하고 노래하는 공연자들을 통해 끊임없이 재창작된다. 나라마다 독특한 가락이 있는데 이 가락은 민족적·문화적 경계선에 따라 바뀐다. 주요 민속악기는 4부류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민속음악 民俗音樂
    민중의 기층사회에서 형성되고 애호된 음악.|내용 과거 상층사회에서 형성되고 애호되었던 정악(正樂)에 대한 대칭적인 개념의 전통음악이다. 민중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민요나 민속예능을 위한 음악은 물론, 직업 음악가에 의하여 전승된 고도의 예술음악이라도 민중이 즐겨온 음악이면 다 포함된다. 민속음악...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민속 음악 民俗 音樂, Native Music
    특별히 백성이 고유한 음악 전통을 가지고 있는 선교 지역에서 백성의 경배와 종교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타고난 재능에 맞추어 민속 음악을 올바로 적응해야 한다. 많은 문화와 민족 특유의 유산들이 매우 풍부한 미국에서조차 이런 문화에 맞추어 새로운 전례 음악을 장려하고 교회의 음악 ...
  • 민요 (관련어 민속 음악) Traditional folk music, 民俗音楽
    민요(民謠)는 민족적인 감정이나 기호를 자연발생적으로 멜로디로써 나타낸 것이다. 음악을 직업으로 하지 않는 서민이 만들어내는 것이므로 최초의 멜로디는 목소리에 의존하며, 악기로 연주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락의 원형은 악보에 기재돼 있지 않으며, 기보는 뒤에 음악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 기보한 것이다. ...
    도서 위키백과
  • Folk music 민속 음악, フォークソング
    Folk music includes both traditional music and the genre that evolved from it during the 20th century folk revival. The term originated in the 19th century but is often applied to music that is older than that. Some types of folk music are also called world music.Traditional folk music has been d...
  •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개요 부채를 든 1명의 창자(唱者)가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소리)·아니리(사설)·발림(몸짓)을 섞어가며 이야기를 엮어가는 극적 음악이다. 본래는 〈춘향가〉·〈심청가〉·〈수궁가〉·〈흥보가〉·〈적벽가〉·〈변강쇠타령〉·〈배비장타령〉·〈옹고집타령〉·〈강릉매화타령〉·〈무숙이타령〉(왈자타령...
    문화재 지정 :
    1964.12.24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 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 池瑛熙民俗音樂硏究資料集
    활약했던 지영희가 작곡한 민속음악 악보, 장단보와 해설 원고, 각종 악기 교본 등 친필 악보와 원고들을 합쳐서 영인한 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은 지영희 타계 6년 후인 1986년이었다. 지영희의 부인이자 가야금산조의 명인인 성금련(成錦鳶, 1923∼1983)과 그녀...
    시대 :
    현대
    저작자 :
    지영희(저자), 성금련(편자)
    창작/발표시기 :
    2000년
    성격 :
    악서, 자료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민족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산조 散調
    곡으로, 과거의 연주가들의 대부분이 이 지역에서 출생했다. 따라서 산조 역시 이 지역에서 발생했다고 추정된다. 이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이 지역의 무속음악과 관련이 있는 시나위 혹은 심방곡(心房曲, 神房曲)과 그 밖에 봉장취 같은 기악합주곡이 연주되었다. 기악합주곡들이 독주악기로 연주되면서 기교가 확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파두 Fado
    부르는 달콤한 사랑의 세레나데 '코임브라 파두'의 2가지가 있다. 서민생활의 애환이 묻어 있는 리스본 파두가 백미라는 평을 받고 있는데, 파두를 세계적인 음악으로 끌어올린 포르투갈 출신의 여가수 아말리아 로드리게스가 리스본 파두의 대표적인 가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포르투갈 여가수 베빈다의 노래가 광고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음악 , 음악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북한(North Korea) 또는 조선이라고 통칭한다. 수도는 평양시이다. 이른바 주체사상을 통치이념으로 하여 프롤레타리아 계급독재를 실시하고 있으며, 모든 권력은 유일 지배정당인 조선노동당에 집중되어 있다. 경·위도상 동경 124°10′47″(평북 신도군)~130°41′32″(함북 선봉군 우암리), 북위 37°41′(황남 강령...
    위치 :
    아시아 한반도
    인구 :
    26,244,582명 (2024)
    면적 :
    120,540㎢
    공식명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기후 :
    대륙한랭성기후
    민족 구성 :
    한민족
    언어 :
    한국어
    정부/의회형태 :
    중앙집권공화제 / 일당제&단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국방위원회 위원장 / 국방위원회 위원장
    화폐 :
    북한 원 (W)
    대륙 :
    아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발라드 ballad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발라드는 음악과 문학 형식으로 지속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민속 발라드는 사실성과 투박함을 통해 대담하고 자극적인 효과를 얻고 있는 양식으로, 간결한 이야기를 서술한다. 발라드는 이야기 전개에서 엄격한 정형 원칙에 지배를 받지만 결정적인 긴장의 순간을 풀어나가고 정서적 분위기를 강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루마니아 춤곡 벨라 바르토크, Romanian Folk Dances Sz.56 BB68
    민속음악에 대한 관심의 결실 바르토크가 1915년에 완성한 6개의 〈루마니아 민속춤곡〉은 민속음악에 대한 그의 지대한 관심과 연구의 결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그는 졸탄 코다이와 함께 헝가리와 루마니아 각지의 민속음악을 수집하고 연구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그의 음악세계 역시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15년
    작곡가 :
    벨라 바르토크(Béla Bartók, 1881~1945)
    출판 :
    1918년
    구성 :
    1곡 ‘막대기의 춤’ 2곡 ‘장식띠의 춤’ 3곡 ‘제자리걸음의 춤’ 4곡 ‘뿔피리의 춤’ 5곡 ‘루마니아풍 폴카’ 6곡 ‘빠른 춤’
    편성 :
    피아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가야금산조및병창 / 가야금산조
진주 삼천포농악 / 설장고춤
영산재 / 범패(짓소리)
서도소리 / 소리북
판소리 연창
아르메니아 민속음악 연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