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리아 테레지아 Maria Theresia
    마리아 테레지아는 18세기 유럽의 세력 각축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녀는 이질적인 나라들이 모여 있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어느 정도의 통일성을 부여했다. 매력적인 자연스러움을 가진 왕녀로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통치자들 가운데 가장 유능한 인물 중 하나였고 어떤 역사가에 따르면 \"합스부르크 왕가에...
    출생 :
    1717. 5. 13, 빈
    사망 :
    1780. 11. 29, 빈
    국적 :
    신성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마리아 테레지아 (관련어 마리아테레지아) Maria Theresa, マ..
    다른 사람왕족 정보 마리아 테레지아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유일한 여성 통치자이자, 합스부르크 왕가의 마지막 군주였다. 그녀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보헤미아, 만토바, 밀라노, 갈리치아와 로도메리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와 파르마 등의 통치자였다. 결혼을 하면서 로렌 공작 부인이 되었으며, 후에...
    도서 위키백과
  • 인스부르크 2 (관련어 마리아 테레지아) 1769년 12월 19일
    12월 19일 가는 눈발이 내리는 아침 일찍 모차르트 부자는 마리아-테레지엔-슈트라세가 레오폴트슈트라세로 이름이 바뀌는 곳에 있는 웅장한 개선문을 지나갔다. 모차르트가 레오폴트에게 물었다. “아빠, 저것이 무엇이에요?” 레오폴트가 의미심장하게 말했다. “앞으로 우리가 피렌체에서 만날 토스카나 대공 레오폴...
  • 교향곡 48번 ‘마리아 테레지아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Symphony No.48 in C Major “Maria Theresia” Hob.I:-48
    마리아 테레지아를 위한 팡파르 1773년, 오스트리아의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가 에스테르하지 후작 가문을 방문했다. 여제를 환영하기 위해 에스테르하지 가문에서는 9월 1일부터 사흘간 오페라와 음악회를 비롯해 가장무도회와 헝가리의 전통 춤을 선보이는 축제와 화려한 불꽃놀이 등 성대한 축하 행사가 이어졌다. 이...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관현악곡 > 교향곡
    제작시기 :
    1768년~1769년 사이
    작곡가 :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
    편성 :
    오보에 2, 호른 2(또는 트럼펫 2, 팀파니), 바이올린 2부, 비올라, 베이스
  • 제베르 마리아 테레지아 카롤리나 페니 제베르, Marie Gevers
    그녀가 쓴 대부분의 작품은, 일생의 대부분을 지낸 안트웨르펜 근처의 시골 켐펜란트에 있는 가족소유의 저택 미셈보우르흐에 관한 것이다. 초기 작품들은 주로 평온한 자신의 삶에 일어나는 일상적인 사건을 바탕으로 한 서정시였으며, 어머니로서의 기쁨을 노래한 것이 많았다. 시집으로는 〈나무와 바람 Les Arbres...
    출생 :
    1883. 12. 30, 벨기에 에데헴
    사망 :
    1975. 3. 9, 에데헴
    국적 :
    벨기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인스부르크 개선문 마리아 테레지아 가족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탑, Triumphpforte
    마리아 테레지아 거리 남쪽 끝에 자리하고 있는 개선문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아들인 대공 레오폴드와 스페인 공주였던 루이자 데 보르본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1765년 세워졌다. 개선문의 한 면은 아들의 결혼을 축하하는 ‘생과 행복’이, 다른 한 면은 같은 해 세상을 떠난 남편 프란츠 슈테판 1세의 죽음을 추모...
    위치 :
    마리아 테리지아 거리 남쪽 끝 / 인스부르크 중앙역에서 도보 6분
    좌표 :
    위도: 47.2627078(47° 15′ 45.75″ N) / 경도: 11.3948871(11° 23′ 41.59″ E)
    도서 ENJOY 동유럽 | 태그 유럽 , 해외여행
  •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 Maria Theresa thaler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는 지금형 은화로, 1741년에 처음으로 발행되기 시작한 뒤로 국제 무역에서 널리 쓰였다. 이름은 1740년부터 1780년까지 오스트리아의 군주이자 헝가리의 군주, 보헤미아의 군주였던 마리아 테레지아로부터 유래됐다. 1780년부터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는 모두 1780년에 발행된 것으로 표기됐다...
    도서 위키백과
  • 마리아 테레지아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여대공 (1801년) M..
    왕족 정보 마리아 테레사 다스부르고토스카나는 사르데냐 왕국의 군주인 카를로 알베르토의 왕비이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페르디난도 3세 디 토스카나 대공의 딸로 태어났으며 양시칠리아 왕국의 페르디난도 1세 국왕의 외손녀이자 스페인의 카를로스 3세 국왕의 외증손녀이기도 하다. 1817년 카리냐노 대공 카를로...
    도서 위키백과
  • 프랑스의 마리테레즈 Marie Thérèse of France, マリー・テレーズ・シャルロ..
    to the State; you shall be mine, and have all my care; you shall share in my happiness and soften my sorrows)" 공주의 이름은 대부모 인 외조모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와 스페인 왕 카를로스 3세의 이름을 따와 마리 테레즈 샤를로트(Marie-Thérèse-Charlotte)로 확정되었다. 또한 공식적인 칭호로는 왕의 장녀...
    도서 위키백과
  • 마리아 테레지아 광장 Maria-Theresien-Platz, ..
    마리아 테레지아 광장은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광장이다. 링슈트라세와 무제움스크바르티어를 연결한다. 광장의 양쪽에는 빈 자연사 박물관과 빈 미술사 박물관이 있다.Brook 2012, p. 126–27. 두 건물은 정면의 조각상을 제외하고는 거의 똑같다.
    도서 위키백과
  • 마리아 테레지아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여대공
    마리아 테레지아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여대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마리아 테레지아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여대공 (1801년) 마리아 테레지아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여대공 (1862년)
    도서 위키백과
  • 마리아 테레사 디 나폴리에시칠리아 왕녀 Maria Theresa of Nap..
    이름을 이탈리아어식으로 본따서 지어졌다. 1790년 그녀는 사촌 프란츠 대공과 결혼했고 2년 뒤인 1792년 그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그녀 또한 신성로마황후가 되었다. 열정적이고 활달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마리아 테레지아는 무도회와 카니발을 무척 좋아했고, 남편과의 사이에서도 많은 자식을 두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3건

마리아 테레지아
마리아 테레지아
마리아 테레지아
마리아 테레지아(1762)
마리아 테레지아 파라디스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
오스트리아 함부르크의 마리아 테레지아
오스트리아의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
유년시절의 마리아 테레지아
춤을 추는 어린 마리아 테레지아
인스부르크의 중심가인 마리아 테레지아 거리
비엔나 영웅광장에 있는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의 동상 밑부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불씨가 된 마리아 테레지아. 오른쪽은 그녀의 남편 프란츠 스테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