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모신 아그디스티스, 大母神
    신들의 위대한 어머니, 고대 동양과 그리스 로마의 여신. 고대부터 소아시아 전역에서 여러 이름으로 숭배되었으며, 이후 그리스로 숭배가 퍼진 뒤에는 그리스의 여신 레아와 동일시되기 시작했다. 그녀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은 모성이며, 이는 신과 인간, 짐승을 가리지 않고 작용한다. 작품에서는 베일을 쓰고 옥좌에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대지모신 (관련어 대모신) Mother goddess, 地母神
    대지모신(大地母神, 생식력, 창조성, 또는 대지의 풍부함을 상징·대표하는 여신이다. 땅 그 자체나 자연 세계와 동일시될 때는 어머니 대지(Mother Earth, Earth Mother)이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대지모 사상(大地母 思想)은 땅(大地)이 곧 어머니(母)라는 생각으로, 과거 농경 사회에서 모든 생산물은 땅에서 얻을 수...
    도서 위키백과
  • 켈미스 Celmis
    대모신과 관련이 있는 정령이다. 대모신은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스, 로마 문학에서는 키벨레 또는 키베베라는 이름으로 널리 쓰였다. 이 여신에 대한 숭배가 처음으로 시작된 곳이 소아시아의 프리지아 지방으로 전해진다. 그리스인들은 자신의 여신은 레아와 동일시했다. 그리스 신화에서 여신...
  • 텔루스 Tellus
    텔루스는 아마도 매우 고대적인 신으로 땅의 생산력에 관여했으며, 나중에는 대모신 키벨레와 동일시되었다. 에스퀼리네 언덕에 있는 텔루스 신전은 BC 268년경에 세워졌다. 특별히 텔루스를 모시는 사제는 없었지만 다산과 풍작을 기리는 포르디키디아 축제와 세멘티바이 축제에서 기려졌다.→ 대모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프리지아 Phrygia
    시작했다고 한다. 웅장하게 조각한 몇몇 돌무덤과 사원을 제2차 세계대전 뒤 미국의 고고학자들이 발견했다. 프리지아 사람들의 여러 종교의식 가운데 대모신(大母神 : Cybele) 숭배가 지배적이었고 그리스 사람에게 전해졌다. 고대 프리지아 사람들이 쓴 부드러운 원추형 머리 장식인 프리지아 모자는 그리스와 로마...
    위치 :
    소아시아의 중부에서 서부에 걸쳐 있던 고대 지역
    대륙 :
    서남아시아
    국가 :
    터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아르테미스 Artemis
    축제에서는 남자의 목을 칼로 그어 떨어지는 피를 바치며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황소의 여신)를 숭배했다. 여러 학자들은 아르테미스가 원래 아시아의 대모신(大母神)과 비슷한 크레타 산맥의 어머니에서 비롯된 모신(母神)이었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예술로 나타난 그녀의 모습을 반드시 원래 모습에 대한 종교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레아 Rhea
    그 기원은 그리스 시대 이전으로 추정되며, 그리스 세계 전역에서 간헐적으로 숭배되었다. 레아는 결실과 관련된 신이라는 점에서 가이아나 대모신과 유사성을 지녔다. 우라노스(하늘)와 가이아의 딸인 그녀는 자신의 오빠 크로노스와 결혼했다. 그런데 크로노스는 자기 자녀들 중의 하나가 자신에게 반역할 운명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밀의종교 mystery religion
    그리스 로마 세계에 두루 퍼져나갔다. 로마 제국에서는 그리스의 밀의종교와 유사한 종교제의가 디오니소스(바코스), 이집트의 여신 이시스, 소아시아의 대모신, 페르시아의 신 미트라, 시리아의 태양신 솔과 그밖의 신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디오니소스, 안다니아 제의, 에우몰포스, 엘레우시스 신비의식, 히에로판테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아스타르테 Astarte
    가티스의 모체가 되었다. 그녀는 가나안뿐 아니라 이집트·우가리트 등지와 히타이트족 사이에서도 아스타르테라는 이름으로 숭배되었고, 아카드족에게서는 이슈타르라고 불렸다. 뒤에 그녀는 이집트 신 이시스·하토르로, 그리스 로마에서는 아프로디테·아르테미스·주노(유노) 등 모든 종류의 대모신들로 흡수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헬레니즘 종교 Hellenistic religion
    종교가 모국(母國)과 모든 디아스포라 중심지(신도들이 소수 집단을 이루고 사는 외국 도시들)에서 발생했다. 예를 들어 이시스(이집트)·바알(시리아)·대모신(大母神:프리기아)·야훼(팔레스타인)·미트라(쿠르디스탄) 등이 본토에서뿐만 아니라 로마와 그외 국제 도시에서 숭배되었다. 많은 경우에는 그리스·로마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갈리 galli
    이들은 긴 머리에 향유를 바르고 여자 옷을 입은 환관들로서 여사제와 함께 요란한 음악과 춤으로 대모신에게 바치는 의식을 거행했다. 이 의식은 자신들을 매질하거나 상처를 내고 기진맥진한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절정에 오르며 때로 사제 지원자들이 스스로를 거세하는 행사로 광희를 더했다. 갈리라는 이름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원시 및 고대문명에서의 독신
    않아야 하며, 가족 부양으로부터 자유로워야 차분히 자신의 일을 할 수 있다고 가르쳤다. 신비주의 독신 사제는 다른 분위기를 자아냈다. 독신은 특별히 대모신 숭배단 사제들의 특징이었는데, 예를 들어 잘 조직된 이시스 종교는 사제의 고요한 의례를 대표했다. 신성한 의례를 거행하는 이들에게는 성적인 금욕이 절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대 , 사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