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농노 農奴, serf
    중세 유럽의 농노 대부분은 지주의 땅에서 농사를 지어 생계를 꾸려나갔다. 이 점은 농노의 주요특징으로 토지와 상관없이 사고 팔 수 있었던 노예와 구별되었다. 농노는 노동을 통해 스스로 음식과 의복을 얻었으며 소작지에서 나는 곡물 중 상당 부분을 영주에게 바쳐야 했다. 농노의 또다른 주요특징은 자유민이 가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사회
  • 러시아와 소련의 역사 History of Russia and the Soviet Union
    선사시대부터 몇몇 민족들이 살아 온 옛 소련 지역에 나타난 최초의 정치단위는 볼가 강 유역을 통치한 루시의 카간 국이다. 이후 크이우 루시 공국으로 이어지며 정치와 문화가 발전하게 되었다. 크이우가 쇠퇴하면서 루시는 각 공국들로 분열하기 시작했고 13세기 초 몽골의 침입을 받아 지배당하기도 했다. 한편 13...
  • 디지털 농노주의
    방식을 통해 수익을 만드는 셈이다. 이렇듯 자신의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사람들 덕에 동영상 플랫폼과 SNS가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일러 ‘디지털 농노주의’라고 한다. 봉건제 사회에서 봉건 영주의 신분적 지배하에 직접적 생산을 담당했던 피지배계급인 농노에 빗댄 말이다. 디지털 농노주의라는 말을 만든...
  • 농노해방령 Emancipation Manifesto
    '농노종속에서 벗어나는 농민에 관한 법'(Polozheniya o Krestyanakh Vykhodyashchikh iz Krepostnoy Zavisimosty)이라고 부르는 17개 법령과 함께 공포되었다(→ 농노제). 크림 전쟁 때 제위에 오른 알렉산드르는 전쟁에 패한 뒤 여론이 나빠지고 격렬한 농민반란이 날로 잦아지자 케케묵은 러시아 사회구조를 철저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러시아에서 농노 해방령이 내려지다
    크림전쟁(1853년~1856년)에서 서유럽 국가들과의 국력 차이를 확인한 러시아의 황제 알렉산드르 2세가 러시아의 근대화를 추진하기 위해 농노 해방령을 내렸다. 동유럽에서는 당시까지도 인구의 상당수(러시아는 인구의 40퍼센트 가량)가 지주의 토지에 농노로 묶여 있어 산업화를 가로막고 있었다. 이에 지식인과 농민...
    시대 :
    1861년
    국가/대륙 :
    유럽
  • 알렉산드르 2세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 Aleksandr II
    자유주의적 교육을 받은 그는 러시아의 후진성을 여실히 드러낸 크림 전쟁의 결과에 고민하던 끝에 방대한 내정 개혁안을 마련했는데, 여기에는 중요한 농노해방(1861)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1866년부터 억압정책을 채택해 결국 혁명적 테러리즘의 부활과 알렉산드르 자신의 암살을 초래했다. 알렉산드르는...
    출생 :
    1818. 4. 29(구력 4. 17), 모스크바
    사망 :
    1881. 3. 13(구력 3. 1),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
    러시아
  • 나폴레옹 전쟁의 영향
    관료·군인·법률가 등이 개혁 주체가 되어 권력이 한곳에 집중되는 중앙집권국가적 통제 체제를 갖추었고, 군사 개혁·관료제도 개혁·사법 개혁·농노 해방을 실시했다. 1819년, 프로이센은 헌법을 만들기 위해 준비 작업을 완료했다. 헌법을 만드는 과정에서 훔볼트는 1819년 내각에 발탁되어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
  • 농노란 무엇인가?
    농노(serfs)란 장원이나 봉토 안에 거주하는 소작 농민을 일컫는다. 그들은 노동을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그들이 거주하고 일하는 영주의 소유지, 즉 장원이나 봉토 안에 갇혀 지내야 했다. 농노의 신분은 자유인과 노예의 중간쯤 된다. 비록 농노라는 단어 'serf'가 노예(slave)를 의미하는 라틴어 'servus'에서 유래...
    시대 :
    500년 ~ 1350년
  • 농노제 (관련어 농노) Serfdom, 農奴制
    농노제(農奴制, serfdom)는 일반적으로 봉건주의(feudalism)부터 탄생했던 유럽 등지의 통치 제도이다. 농노(serf, villein)는 신분제적으로는 평민에 속했으나, 영주를 포함한 무사 계급에게 경제적(채무-채권 관계 등)으로 예속당하여 사실상 영주가 운영하는 토지에 예속된 상태에 속했다. 이들은 영주가 통제하는 사...
    도서 위키백과
  • 중세의 부역 제도
    또 짐승이나 식물에서 채취한 지방질을 등불로 사용했는데, 이 기름을 작은 그릇에 담아서 불을 피워 빛을 냈다. 교회나 수도원에서는 램프를 사용했다. 한편 농노들이나 자유인이 영주지에 제공하는 부역으로 맥주와 포도주를 제조하거나 의류와 신발, 가구를 제작하는 것도 있었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철 수선, 금...
    시대 :
    중세
  • 농노해방령 Emancipation reform of 1861, 農奴解放令
    농노해방령은 1861년 3월 3일에 알렉산드르 2세가 공표한 농노해방에 관한 법령이다. 황제 즉위 6주년을 기념하는 형식으로 발표하였다. 크림 전쟁의 패배로 러시아는 기술적으로 , 경제적으로 뒤쳐졌다는 것을 인식했다. 농노제를 유지시킨다면 농업에서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가로막게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농노해방령...
    도서 위키백과
  • Emancipation reform of 1861 농노해방령, 農奴解放令
    The Emancipation Reform of 1861 in Russia (literally: "the Peasant Reform of 1861") was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of liberal reforms effected during the reign (1855-1881) of Emperor Alexander II of Russia. The reform effectively abolished serfdom throughout the Russian Empire.The 1861...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콘스탄티누스(Constantinus)
농노 해방
러시아의 농노
농노의 삶
중세 영국의 농노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