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문 문체의 하나.|실마리를 풀어내듯 사물의 이치를 조리 있게 서술하는 글이다. '서문'(序文) 또는 ''(敍)라고도 한다. '인'(引)이나 '제사'(題詞)도 같은 성격의 글이다. 고대에는 대개 책 끝에 위치했으나 소통(蕭統)의 〈문선 文選〉에 이르러 책의 첫머리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책 뒤에 붙는 글은 '발'이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전문학
  •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이나 친구 사이에 주고받는 한문문체.|내용 후대에 와서는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은 표(表)나 주(奏)라고 하고, 친구 사이에 주고받는 것을 서라 하였다. 그 뒤로는 친구간이나 사제간을 비롯하여 인척간, 그 밖의 사람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서라 하였다. 전국 · 양한 시대 낙생(樂生) ...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한문학
  • 성(姓)의 하나. 문헌상 170여 개의 본관이 전하나, 오늘날 비교적 계통이 자세히 전하는 것은 이천·달성·장성·연산·남평·부여·남양·평당·복흥·의령·황산·염주·군위·가성·봉성·용궁 등 20여 본이다. 씨의 연원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기자의 40세손인 준이 위만의 침입을 피하여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성씨
  • 사물의 발단과 끝맺음을 서술하는 한문문체. 서문·.|내용 『이아(爾雅)』에는 “(序)는 실마리( 緖)이니, 글자를 (敍)로도 쓴다.”고 하였는데, 즉 사리(事理)를 잘 서술하여 차례의 정연함이 마치 실의 오리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에는 서서(書序) · 후서(後序) · 송서(送序) · 증서(贈序) · 수서(壽...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한문학
  • 한문 문체의 하나.|편지글을 말한다. 전국시대 이전에는 임금이나 신하의 편지 모두를 서라고 했다. 후한 이래로 점차 종류가 나뉘어지면서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것은 표·주·상서라는 명칭으로 분류되고, 가까운 사람들끼리 주고받는 글만 서라고 부르게 되었다. 대외교섭이 잦아지고 사신의 왕래가 활발해지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전문학
  • 많다, 중(衆). 벼슬이 없는 사람. 서자(庶子), 서얼(庶孼).|(庶)’의 어원(語源)을 살펴보면, 서는 중(衆)이다. ‘중(衆)’은 땡볕에서 세 사람이 노동을 하고 있는 형상으로, 갑골문이나 금문(金文)에서 은주(殷周)시대 농업 생산에 종사하던 농노(農奴)의 명칭이었다. 중(衆)과 중인(衆人)은 원시(原始)의 흔적(...
    유형 :
    여러 가지 호칭
  • 역사 사, 歷史
    19세기 말 서양의 히스토리(History)라는 용어의 번역어. 사·감·통감··기|개설 근대 이후 한국·일본·중국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용어가 들어오기 전 동양의 역사는 사(史)·감(鑑)·통감(通鑑)·(書)·기(記)라는 용어로 쓰였다. 한편, 사(史)라는 한자의 어원은 객관성을 상징하는 중(中)과 기록...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근대사
  • 책(冊)과 책(策), , 판, 전 冊과 策, 書, 版, 典
    본 뜻 책(冊) - 글씨를 적을 수 있도록 다듬은 나뭇조각, 즉 판(板). 책(策) - 대나무를 엮어 만든 죽간(竹簡). (書) - 문서를 포함한 넓은 개념의 책. 판(版) - 나무로 만든 목판(木版)으로 방(方)이라고도 한다. 전(典) - 오제(五帝)의 글. 곧 법을 나타내고, 법을 담은 책을 가리킨다. 바뀐 뜻 요즘에는 대개 책이...
  • 책. 글, 글자.|서향동취(書香銅臭) : 책 향기와 돈 냄새. 곧 학도(學徒)와 상고(商賈). 서림(書林) : 책 파는 가게. 책방(冊房). 서책(書策) : 책, 서적(書籍). 책(策)은 죽간(竹簡). 서전(書典) : 책, 경전(經典). 총서(叢書) : 같은 제목이나 형식, 체제로 통일하여 편집, 간행한 여러 권의 책.
    유형 :
    책에 관련된 한자
  • 우륵, 鼠
    삼국시대 신라에서 연주된 가야금곡.|내용 ‘쥐’라는 뜻의 이 곡은 진흥왕 때 우륵(于勒)의 제자 이문(尼文, 또는 泥文)이 창작하였다는 세 곡 중의 한 곡이다. 이 가야금곡이 어떤 종류의 악곡인지 분명하지 않으나, 곡명의 뜻대로 쥐소리를 모방한 악곡이 아닐까 한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이문
    창작/발표시기 :
    신라 진흥왕 연간
    성격 :
    가야금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진면(眞綿) 중에서 헌 것이나 조(鉏)한 것을 말한다. 정세한 것은 면이라고 하고 조한 것은 (絮)라고 하였다. 나방이 고치를 뚫고 나온 누에고치에서 얻은 솜 또는 누에고치의 외막(外膜)에서 얻은 것으로 만든 솜이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천천하다. 평온하다.|편안하게 걷는다는 뜻에서, 일의 진행 속도가 완만(緩慢)하고 안정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청풍서래(淸風徐來) : 청풍이 천천히 불어옴.
    유형 :
    속도에 관련된 한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332건

동문선 / 상달가서
등왕각서
서격렬비도 서
서끝섬 서
서갈매기섬 서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 중 서 삼층석탑
광천집 / 서
괴원집 / 서
볼매이덤섬 서
하거복중도 서
각시움통섬 서
내영산도 서
소라배도 서
작은덤섬 서
대성개도 서
대태이도 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