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제연합군 UN군, United Nations Peacekeep..
    국제평화에 대한 위협·침해 및 침략행위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제연합(UN) 회원국들의 병력으로 조직되는 군대.|'유엔군'이라고도 한다. 국제연합헌장에 따르면 국제평화와 안전유지의 책임은 안전보장이사회에 있으며 헌장에 의거하여 안전보장이사회가 내리는 결정은 법적으로 가맹국들을 구속한다. 평화위협에 대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사회
  • 국제 연합군 國際聯合軍, United Nations Forces
    국제 연합 회원국들의 군 병력으로 편성한 군대. 안전보장이사회의 요구에 따라 국가 간의 침략을 방지하고 진압할 목적으로 조직됐다. 1950년 6 ・ 25 전쟁 때 처음으로 출병하였다.
  • 유엔군 사령부 유엔사, UN軍 司令部
    내용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은 즉시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유엔 안보리) 소집을 요구해 6월 27일 결의 제1511호(유엔의 대북한 군사제재 결의)를 이끌어내 북한을 침략자로 규정하고 적절한 군사적 조치를 취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어 7월 7일에는 유엔 안보리결의 제1588호(유엔군 통합사령부...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현대사
  • 주한국제연합군 駐韓國際聯合軍
    1950년 6·25전쟁 발발 직후인 7월 7일 제3차 UN 안전보장이사회에서 ① 모든 회원국이 군대를 제공하고 미국의 책임 아래 통합사령부를 설치하고, ② 미국에 통합사령관 임명권을 부여하고, ③ 이 사령부는 UN기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지닌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미국은 7월 8일 더글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인천상륙작전 仁川上陸作戰
    역사적 배경 1950년 6월 29일 서울이 함락되고 북한군의 진격이 가속화되자 한강 방어선을 시찰한 맥아더(Douglas MacArthur) 원수는 북한군이 남진을 계속할 경우 장차 인천으로의 상륙작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인천상륙작전은 맥아더 장군이 한강전선을 시찰하고 복귀한 직후인 1950년 7월 첫주에 그의...
    시대 :
    현대
    발생 :
    1950년 9월 15일
    성격 :
    상륙작전
    유형 :
    사건
    종결 :
    1950년 9월 15일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유엔군 (관련어 국제연합군) 国連軍, 联合国军 (消歧义)
    유엔군 또는 국제연합군은 다음의 의미를 나타낸다. 유엔사령부 : 1948년에 설립되어 세계의 분쟁 지역에 파견되는 유엔의 평화유지활동.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유엔군사령부 United Nations Command, 国連軍 (朝鮮半島)
    군대 정보 유엔군사령부 혹은 국제연합군 사령부는 6.25 전쟁 시기와 그 이후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다국적 군사 조직이다. 이는 역사상 최초의 국제 통합 사령부이며, 유엔 헌장에 따른 집단안보의 첫 번째 시도였다. 유엔군사령부는 1950년 7월 24일 설립되었으며, 이는 같은 해 7월 7일 유엔 안전보장...
    도서 위키백과
  • 인류 역사상 가장 참혹했던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7일에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을 하였다. 이로써 유럽에서의 공식적인 전쟁은 막을 내렸다. 독일이 항복한 후에도 미국은 일본과의 전쟁을 남겨 두고 있었다. 미국은 사이판·필리핀·이오지마·오키나와 등을 차례로 점령한 뒤, 일본 본토를 폭격하기 시작했다. 1945년 3월 9일, 미국은 일본 도쿄에 야간 공습을 감행했다...
  • 유럽에서의 전황
    쪽으로 기울게 되었다. 이런 가운데 1918년 윌슨 대통령은 종전 후의 국제 관계의 기본 형태를 천명하였다. ‘14개 조항’이라고 일컬어지는 윌슨 대통령의 구상...등이었다. 독일의 패배가 명백해지자 독일군 사령관 루덴도르프는 연합군이 독일 영토를 전쟁터로 만들기 이전에 휴전하기를 원하였다. 만일 그렇게...
  • 국제연합한국위원회 UNCOK, 國際聯合韓國委員會
    연합총회 이후 또 다시 국제연합으로 이관되었다. 결과 1968년 제23차 국제연합총회 이후 소련·동유럽 여러 나라로부터 제기되었던 UNCURK의 해체 및 주한 국제연합군의 철수를 촉구하는 결의안이 미국 등 자유진영의 반대에 부딪쳐 매년 부결되었다. 1971년의 제26차 국제연합총회에서는 국제연합에 있어서 중화민국...
    시대 :
    현대
    설립 :
    1948년 12월
    성격 :
    국제기구
    유형 :
    단체
    해체 :
    1973년 12월 28일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제국주의의 팽창이 빚어낸 큰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WWI
    기관총 등 각종 신무기들로 인해 전사자만 9백만 명이 넘었다. 전쟁 후 연합군 측은 파리 강화 회의를 열어 참전국들의 이해관계를 정리하였다. 이때 미국의...관한 14개 조항을 주장했다. 그 결과 1920년 1월에 평화유지를 위한 국제연맹이 창설되었다. 전쟁에 패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모든 해외 식민지를...
    발생 :
    1914년
    종결 :
    1918년
  • 아프리카 연합 African Union
    아프리카 국가들의 통일과 결속을 촉진하고, 경제발전을 고무하며, 국제협력을 진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조직의 본부는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에 있다. 1963년 5월 25일에 창설된 OAU는 외교와 국경 분쟁, 지역 분쟁 및 내전의 중재, 경제 및 정보통신에 관한 연구에 활동의 초점을 맞추었다. 외교 부문에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기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