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르디우스의 매듭 Gordian knot
    대담하게 행동할 때만 풀 수 있는 문제를 일컫는 속담.|프리기아의 수도 고르디움을 세운 고르디우스의 전차에는 끝을 찾을 수 없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매듭으로 끌채에 멍에를 묶어놓았는데 아시아를 정복하는 사람만이 그 매듭을 풀 수 있다고 전해지고 있었다. 그런데 BC 33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나톨리아 지...
  • 고르디우스의 매듭 (관련어 고르디우스의매듭) Gordian Knot, ..
    출처 필요 고르디우스의 매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칼로 잘랐다고 하는 전설 속의 매듭이다. '대담한 방법을 써야만 풀 수 있는 문제'라는 뜻의 속담으로 쓰이고 있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문제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프리기아의 수도 고르디움에는 고르디우스의 전차가 있었고, 그 전차에는 매우 복잡하게 얽히고 ...
    도서 위키백과
  • Gordian Knot 고르디우스의 매듭, ゴルディアスの結び目
    The Gordian Knot is a legend of Phrygian Gordium associated with Alexander the Great. It is often used as a metaphor for an intractable problem (disentangling an "impossible" knot) solved easily by loophole or "thinking outside the box" ("cutting the Gordian knot"): "Turn him to any cause of poli...
  • 세계 대제국의 꿈,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쟁
    있는 것을 보았다. 그 매듭은 옛날 미다스 왕국의 사위였던 고르디우스가 왕위에 오른 뒤, 신전에 전차를 바치면서 매어 놓은 것이었다. 그 당시 고르디우스 왕은 “매듭을 푸는 자가 이 전차를 타고 세계의 왕이 될 것이다.”라는 예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 예언을 믿고 수많은 사람들이 도전했으나 그 매듭을 풀지...
  • 세잎매듭 Trefoil knot, 三葉結び目
    그냥 원형의 매듭)이 아닌 매듭 중 가장 단순한 매듭이다. 딱 세 번만 겹친다. 왼쪽 세잎매듭과 오른쪽 세잎매듭, 두 종류가 있다. 즉, 세잎매듭은 뫼비우스의 띠와 마찬가지로 키랄성(Chirality; 실제상과 거울상이 겹치지 않은 구조의 성질, 즉 회전반사대칭이 없는 구조의 입체적 성질)을 가진다. 고르디우스의 매듭
    도서 위키백과
  • 알렉산드로스 3세의 소아시아 정복과 이수스 전투
    주변의 아첨꾼들은 신의 은총을 나타내는 표시로 해석했다. 프리지아의 고르디움에서 그는 아시아를 통치할 사람만이 풀 수 있다고 하는 고르디우스 왕의 매듭을 칼로 끊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 전설은 가공적이거나 적어도 왜곡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즈음에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 함대의 유능한 그리스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고르디움 Gordium
    발굴되었으나, BC 9~8세기 프리지아의 번화한 수도로 큰 명성을 얻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 도시는 나중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풀었다는 매듭을 묶어놓은 농부 고르디우스가 세웠다고 한다. 고르디움은 BC 7세기 시메리아인들이 도시를 불태우고 아나톨리아에서 프리지아의 세력을 완전히 무너뜨리기 전까지 프리지아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가톨릭 군주 Catholic Monarchs of Spain, カトリック両王
    죽은 후 헨리 8세와 결혼했다. 두 사람의 좌우명은 "Tanto monta, monta tanto, Isabel como Fernando"였으며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가 만들었으며 고르디우스의 매듭에 비유한 것으로 "하나이자 같으며, 잘려있으나 묶여있지 않은"이라는 설명(Tanto monta, monta tanto, cortar como desatar) 두 군주의 동등함 (Tanto...
    도서 위키백과
  • 코바야시 마루 Kobayashi Maru, コバヤシマル
    제임스 T. 커크는 코바야시 마루 시뮬레이션을 극복한 유일한 생도가 되었다. "코바야시 마루"라는 문구는 승리할 수 없는 시나리오에 대한 언급으로 인기 어휘집에 포함되었다. 이 용어는 때때로 "테스트 조건을 변경"하려는 커크의 결정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반장 (상징) 고르디우스의 매듭 광차 문제
    도서 위키백과
  • 양유성
    이야기심리학: 개인적 신화의 탐색과 재구성, Dan P. McAdams, 학지사, 2015. 기독교 상담신학, Virginia Todd Holeman,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고르디우스의 매듭, Arthur T. Pierson, 아이디프린팅, 2010. 우리가 죄에 거하겠는가?, Arthur T. Pierson, 보이스사, 2007. “아더 피어선의 미래 이야기에 관한 목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고르디우스의 매듭(Gordian kno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