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우가멜라 전투 아르벨라전투, Battle of Gaugamela
    페르시아 왕 다리우스 3세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벌인 전투(BC 331. 10. 1). Battle of Arbela라고도 함.|전투로 페르시아 제국은 멸망했다. 다리우스는 알렉산드로스의 페르시아 침입을 막으려고 지금의 이라크에 있는 모술 근처 가우가멜라 평원에 진을 치고 알렉산드로스의 진격을 기다리며 군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전투
  • 가우가멜라 전투 (관련어 가우가멜라전투) Battle of Gaugam..
    전쟁 정보 가우가멜라 전투는 기원전 331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의 다리우스 3세가 가우가멜라 평원에서 격돌한 대회전으로, 큰 병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마케도니아 군이 대승리를 거두었다. 페르시아를 침공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33년 이수스 전투에서 페르...
    도서 위키백과
  • 세계 대제국의 꿈,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쟁
    그 말을 들은 알렉산드로스는 한참을 고민하다가 칼을 뽑아 들고는 그 매듭을 잘라 버리고, 그 지역의 주인이 되었다. 페르시아 원정의 마지막 싸움, 가우가멜라 전투 기원전 331년 봄, 알렉산드로스의 군대는 페르시아를 향해 출발하였다. 그때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3세는 이수스 전투에서 패전한 것에 대한 복수를...
  • 다리우스 3세 Darius III
    이 제의를 모두 거절하고 메소포타미아로 진격하자 다리우스는 그가 유프라테스·티그리스 강을 건너게 내버려둔 다음 지금의 모술 동쪽에 있는 가우가멜라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크게 패했다(BC 331. 10. 1)(→ 가우가멜라 전투). 그는 싸우고 있는 부하들을 버려둔 채 엑바타나로 달아났고 알렉산드로스가 쫓아오자...
    출생 :
    미상
    사망 :
    BC 330, 박트리아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사상자수 순 전투 목록 List of battles by casualties..
    그라니코스 전투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쟁 15,000 15,000명 이상 !9665 334 BC 이소스 전투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쟁 50,450 50,450명 !9666 333 BC 가우가멜라 전투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쟁 53,500 53,500명Grant, p. 27 !9668 331 BC 히다스페스 전투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쟁 23,310 23,310명 !9673 326 BC...
    도서 위키백과
  • 레우크트라 전투 Battle of Leuctra, レウクトラの戦い
    병종간 연합은 이들이 수많은 전투에서 사용한 전술이다. 필리포스 2세가 일리리아 국가를 상대한 전투나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3세가 그라니코스 전투, 이소스 전투, 가우가멜라 전투, 히다스페스 전투에서 거둔 승리는 테바이가 스파르타를 격파할 때 사용한 전술적 기동에 빚지고 있다. 역사학자 빅터...
    도서 위키백과
  • 전투 코끼리 War elephant, 戦象
    서방으로 전파되면서 서방의 역사에서도 전투 코끼리가 등장하게 되었다. 아케메네스 왕조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군을 상대하기 위해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15마리의 코끼리 부대를 투입하였다. 비록 이 전투에서 페르시아군은 패배하였으나 알렉산드로스는 코끼리에 겁을 먹은 나머지 전투 전날 밤...
    도서 위키백과
  • 이소스 전투 Battle of Issus, イッソスの戦い
    정석을 보여준다. 전투는 페르시아의 기병이 강을 건너 마케도니아의 왼쪽을 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알렉산드로스의 왼쪽 날개는, 2년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전형적으로 보여주었던 것처럼, 전투에서 난제를 맡았는데 그것은 수적으로 우세한 페르시아군을 맞아 최대한 버티면서 오른쪽에서 알렉산드로스의 정예 기병...
    도서 위키백과
  • 301년 이전의 전투 목록 List of battles before 301
    군의 양성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도 전투를 할 수 있는 균형잡히고 능률적인 부대를 이용하여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를 멸망시켰다. 이수스 전투 BC 333 가우가멜라 전투 BC 331 : 평지에서 전차부대를 활용하고자 한 페르시아에 맞서, 그리스는 정면에 중장보병을 배치하고 측면을 기병으로 강화했다. 전투는 백중세...
    도서 위키백과
  • 파르메니오 Parmenio
    알렉산드로스에 반대하는 파벌들을 살해하는 것을 도왔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군대의 부지휘관이 되어 페르시아를 정복했으며 그라니코스 강 전투, 이수스 전투, 가우가멜라 전투에서는 군대의 좌익을 지휘했다. 알렉산드로스가 페르시아 정복 이후에도 계속 동방으로 진출한 뒤부터는 메디아에 남아 연락책 역할을 했다...
    출생 :
    BC 400경
    사망 :
    BC 330, 메디아 엑바타나(지금의 하마단)
    국적 :
    마케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쟁 연표
    3세의 군대 크게 격파→ 페르시아 함대의 근거지인 티루스, 가자 정복 → 이집트로 진격. 알렉산드리아 건설 기원전 331년 다시 페르시아 공격.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또 승리. 페르세폴리스 정복 기원전 330년 페르시아 제국(아케메네스 왕조) 무너뜨린 후 계속 동쪽으로 진군하여 인더스 강 유역까지 장악 기원전 324년...
  • 후제스탄 Khuzestan
    539년 키루스 대왕이 바빌론을 정복하자 페르시아 제국의 총독이 통치하는 주가 되었으며, 수사는 페르시아 3대 도시의 하나가 되었다. BC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 직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수사를 점령당했고, BC 311~148년 후제스탄은 에울라이오스 강 옆에 자리잡은 셀레우키아를 수도로 삼고 있던 셀레우코스 왕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