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50. 6. 24, 아일랜드 케리 리스토얼 근처 |
---|---|
사망 | 1916. 6. 5, 오크니 제도 앞바다 |
국적 | 영국 |
요약
영국의 육군원수·행정관.
Viscount Broome of Broome, Baron Denton of Denton, Baron Kitchener of Khartoum and of Aspall(1898~), Viscount Kitchener of Khartoum, of the Vaal, and of Aspall(1902~)라고도 함.
수단을 정복하고 보어 전쟁(남아프리카 전쟁) 때 영국군 총사령관을 지냈다.
특히 제1차 세계대전 초기에 육군장관으로 있으면서 영국 역사상 유례 없는 대규모의 육군을 조직해 승리를 향한 국민의지의 상징이 되었다.
울리치에 있는 왕립 사관학교를 나와 공병대에 들어 갔고 1874년부터 중동에서 복무했다. 1886년 영국령 홍해 영토의 총독으로 임명되어 수아킨에서 일했고 이어 부관참모로 이집트의 카이로에 배속되었다. 정력적이고 빈틈없는 일처리로 1892년에는 이집트군의 '총사령관'(sirdar)이 되었다.
1898년 9월 2일 잔혹한 옴두르만 전투에서 수단의 정치·종교 분리주의자 세력인 알마디파를 격파하고 근처에 있는 하르툼 시를 점령, 영국-이집트 정부의 수단 지배 중심지로 삼았다. 1898년 9월 18일 장 바티스트 마르샹이 지휘하는 프랑스 원정군이 수단 상부에 프랑스의 지배권을 확보하려 하자 파쇼다(지금의 로도크) 위기가 일어났으나, 확고하고 기민한 솜씨로 사태를 수습함으로써 영국 내에서 더욱 명성을 높였다. 1898년 남작작위를 받았다. 수단 총독으로 1년을 지낸 뒤 1899년 12월 육군원수인 프레더릭 슬레이 로버츠 경의 참모장으로 보어 전쟁에 참전했고, 1900년 11월에는 로버츠 경을 이어 총사령관이 되었다.
전쟁 말기의 18개월 동안 그는 보어인들의 경작지를 불태우고 여성과 어린이들을 집단수용소에 몰아넣는 등의 방법으로 게릴라 전술에 맞섰다.
보어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고 영국으로 돌아와 1902년 7월 키치너 자작작위를 받았고, 인도 총사령관으로 파견되었다. 인도에서 그는 군대를 개편해 이전에 중점을 두었던 내부반란 진압보다는 외침 대비에 주력했다. 또한 인도 부왕(副王)인 조지 커즌 경과 인도군의 지휘권을 놓고 다투었으나 이러한 대립은 영국 내각이 키치너를 지지하고 커즌이 사임함에 따라 끝이 났다.
그는 1909년까지 인도에 머물렀으나 부왕으로 임명되지 않는 데 대해 몹시 실망했다. 1911년 9월 그는 이집트 총독에 임명되었고, 1914년 8월까지 이집트와 수단을 통치했다. 이 기간 동안 농민들이 부채로 토지를 상실하는 사태를 막고, 면화업자들의 이익을 증대시키는 데 주력했다. 한편 자신에 대한 반대를 참지 못하여 그에게 적대적이던 케디브 아바스 2세(아바스 힐미)를 폐위시키려 했다.
영국에 돌아온 그는 1914년 6월 백작작위와 또다른 자작 및 남작작위를 받았고 내키지 않았지만 육군장관이 되었으며, 또한 육군원수로 승진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그는 단기전을 예상하고 있던 대부분의 각료들에게 전쟁이 종료되려면 영국이 100만 명의 병력을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곧 대규모 자원병들을 모집해 이들을 소위 '키치너군'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성격의 직업군인으로 훈련시켰다. 1915년말 그는 징집의 필요성을 확신하게 되었지만, 징집을 아직 정치적으로 현실화시키기 어렵다는 허버트 H. 애스퀴스 총리의 견해를 존중해 공식적으로 그것을 주장하지는 않았다.
키치너는 군대모집·전략수립·산업체 동원 등을 담당했으나 협동작업 및 권한 위임을 싫어하는 자신의 성격과 정부의 정치상황 때문에 자신의 생각대로 일을 추진하지는 못했다. 영국 국민들은 키치너를 적극 지지했으나 각료들은 탐탁하게 여기지 않아 산업체동원과 전략수립 임무에서 그를 배제시켰다. 장관직에서 물러나는 것을 끝까지 거부하던 그는 임무를 띠고 러시아로 항해하던 중 타고 있던 영국 순양함 '햄프셔호'가 독일 잠수함의 공격으로 격침되면서 죽었고, 이로써 그의 활동은 갑자기 막을 내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행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