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기

다른 표기 언어 李芑
요약 테이블
출생 1476(성종 7)
사망 1552(명종 7)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 자는 문중, 호는 경재. 아버지는 사간 의무이다.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했으나, 장인인 김진(金震)이 장리였던 까닭에 청요직을 거치지 못하고 종성부사·경원부사 등 외직을 전전했다. 1522년(중종 17) 공조참의를 거쳐 함경도병마절도사·동지중추부사를 지내고 1527년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상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1533년 김안로(金安老)에 의해 유배되었다가, 1537년 김안로가 제거되자 풀려나와 이듬해 예조참판이 되고, 순변사로서 도원수가 되어 북방 야인의 침입을 막았다. 그뒤 중종의 신임과 이언적(李彦迪)의 추천으로 형조판서·병조판서를 지내고 우찬성·좌찬성을 거쳐 우의정이 되었다.

그러나 인종이 즉위한 뒤 윤임(尹任) 등 대윤의 탄핵을 받아 그들에게 불만을 품고 있던 중 명종이 즉위하자 소윤 윤원형(尹元衡)과 결탁하여 을사사화를 일으키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이 공으로 보익공신 1등으로 풍성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좌의정을 거쳐 1549년(명종 4) 영의정을 지내면서 윤원형과 함께 사림파를 비롯한 반대파를 숙청했다.

죽은 뒤 문경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나, 을사사화의 원흉이라 하여 선조 때 모든 관직이 삭탈되고 묘비까지 제거되었다.→ 을사사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