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예수회

다른 표기 언어 Society of Jesus

요약 이 수도회는 이냐시오의 활동에서 생겨나 1539년 수도회 조직에 대한 최초의 윤곽을 잡아서 제출했고, 교황 바오로 3세는 1540년 승인되었다.
1773년 프랑스·스페인·포르투갈 정부의 압박에 못이겨 예수회를 폐지하는 법령을 공포해 예수회 단체는 러시아에만 남게 되었다. 1814년 재건한 후 예수회는 가장 큰 남자 수도회로 성장했다.
예수회는 종교생활형식에 혁신을 도입했고 기동성을 강조해 세계 곳곳에서 매우 다양한 사역에 참여하면서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고 부흥시키는 반 종교개혁의 중요한 역할을 해내면서 교회를 현대화시키는 주도적인 세력이 되었다.

예수회

ⓒ Alexandre Rotenberg/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수회는 교육·선교·박애 활동으로 유명하며, 한때는 반(反)종교개혁을 수행하는 주도적인 단체로, 후에는 교회를 현대화시키는 주도적인 세력으로 간주되었다.

예수회는 언제나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단체였다. 그것은 어떤 이들에게는 예수회가 공포와 정죄의 대상으로 보이고, 또 어떤 이들에게는 가톨릭 교회에서 가장 존경할 만한 대상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이 수도회는 이냐시오의 활동에서 생겨났다. 스페인 군인이었던 그는 전투중에 입은 부상에서 회복되는 동안에 신앙을 갖게 되었다.

얼마 동안 전심으로 기도하는 시간을 가진 후에 〈영신수련 Spiritual Exercises〉이라는 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마음과 생각이 그리스도를 더욱 가까이 닮을 수 있도록 하는 지침서였다. 1534년 8월 15일 파리대학교에서 이냐시오를 만나 그의 책 〈영신수련〉이 가르치는 바대로 피정(避靜) 기간을 가졌던 6명의 젊은이들이 그와 함께 청빈과 순결의 생활을 하고 예루살렘 순례를 떠날 것을 맹세했다.

이 마지막 맹세를 지킬 수 없게 될 경우, 그들은 교황이 요구하는 어떤 사도적 사역이라도 감당하겠다고 맹세했다. 1539년 이냐시오는 수도회 조직에 대한 최초의 윤곽을 잡아서 제출했고, 교황 바오로 3세는 1540년 9월 27일 이를 승인했다.

예수회는 종교생활형식에 몇 가지 혁신을 도입했다.

그 가운데에는 기동성과 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중세의 관행 중 많은 것, 즉 모든 사람들이 의무적으로 정기적인 고해성사나 금식을 하는 것, 똑같은 제복을 입는 것, 전례의식 때 함께 낭송하는 것을 폐지했다. 그외의 개혁으로는 수도원장이 평생 동안 재임하는 것,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권력 형태를 갖는 것, 최종적인 서약을 하기 전에 몇 년 동안 수련 기간을 거치는 것, 수도회 수사들간에 등급을 두는 것, 수녀회를 별도로 두지 않는 것 등이다. 예수회는 교황에 대한 특별한 복종을 비롯해 복종의 미덕을 특히 강조한다.

기동성도 예수회가 강조하는 점이다. 이로 인해 예수회는 세계 곳곳에서 매우 다양한 사역에 참여하게 되었다(선교). 예수회는 빠르게 성장하여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고 부흥시키는 반 종교개혁의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 교육과 장학사업은 거의 초기부터 예수회의 주요사역이었다. 초기의 예수회는 설교가와 교리문답 교사들을 배출하기도 했는데, 이들은 어린아이들·병자·죄수·창녀·군인들을 돌보는 일에 헌신했다. 또한 이들은 유럽의 왕족들과 통치자들에게 고해신부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초청받는 경우도 많았다.

이 임무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설립된 지 몇 개월이 안 되어 이냐시오는 자기의 동료 중 가장 재능 있는 사람이었던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그외 3명을 동양으로 보냄으로써 예수회의 해외선교활동을 시작했다. 예수회 수사들은 교육을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활동보다도 선교 사역에 점점 더 많이 참여했다. 1556년 이냐시오가 죽었을 때는 약 1,000명의 예수회 수사들이 이미 유럽·아시아·아프리카·신대륙 전역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1626년경 예수회 수사들의 수는 1만 5,544명이었고, 1749년에는 전체회원이 2만 2,589명에 달했다.

수도회 가운데서 예수회가 차지한 탁월한 위치와 교황에 대한 옹호로 인해 그들은 많은 반대를 받았다. 18세기 중엽에는 평신도와 성직자를 막론하고 여러 반대자들이 예수회를 없애려고 시도했다. 이렇게 반대를 받은 이유로 몇 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 가장 주된 것은 그 시대의 반(反)성직자, 반교황 정신일 것이다.

1773년 교황 클레멘스 14세는 특히 프랑스·스페인·포르투갈 정부의 압박에 못이겨 예수회를 폐지하는 법령을 공포했다. 예수회 단체는 러시아에만 남게 되었는데, 러시아의 정치적 조건들, 그중에서도 특히 예카테리나 2세의 반대로 인해 예수회 활동을 금지시키려는 교회법이 시행되지 못했다. 예수회가 특히 교육과 선교 영역에서 수행하던 일을 다시 맡아야 한다는 요구가 끈질기게 계속되자 1814년 교황 비오 7세는 예수회를 재건했다.

재건된 뒤 예수회는 가장 큰 남자 수도회로 성장했다. 수사들은 다른 어떤 활동보다도 교육활동의 전영역에 더 많이 참여했다. 또한 선교지에서 활동하는 수사들,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활동하는 수사들의 수는 다른 수도회를 능가했다. 이들은 폭넓고 복잡한 여러 가지 활동에도 참여했다. 예를 들면 커뮤니케이션 분야, 사회사업, 에큐메니컬 운동단체, 심지어 정치에도 참여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예수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