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석주 (조선귀족) (관련어 장박)
    인물 정보 장석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으로 일제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다. 아명은 장박(張博), 호는 치암(痴菴)이다. 처음 이름인 장박은 성인이 된 뒤에도 일정기간 사용하다가 늦게 개명하였는데, 조선왕조실록 중 고종실록이나 승정원일기, 고종시대사 등에는 장박으로 등장한다. 함경남도 경성...
    도서 위키백과
  • 장석주 장박(張博), 張錫周
    개설 1848년 12월 16일 함경도 경성에서 출생했다.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본명은 장박(張博)이었으나 1909년 3월 장석주(張錫周)로 개명했다. 호는 치암(痴庵)이다. 조선 말기에 박문국 사사(博文局司事), 법부아문 참의(法務衙門參議), 법부대신 등을 역임하였고, 대한제국기에는 궁내부 특진관, 박문과장(博文科長...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48년(헌종 14) 12월 16일
    사망 :
    1921년 9월 2일
    경력 :
    법부대신, 궁내부 특진관, 남작, 중추원 고문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한성순보, 갑오개혁
    직업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인동(仁同)
  • 가야산백운오토캠핑장
    인근 대구에서 오는 가족단위 캠핑객이 많다. 계곡이 험하거나 깊지 않아 아이들이 놀기 적당하다. 주변 편의시설은 다소 아쉽지만 덕분에 온통 초록빛으로 둘러싸여 휴식하기 좋다. 저렴하게 장박이 가능한 캠핑장으로 장박 텐트가 많아 한여름에도 붐비지 않고 조용한 캠핑이 가능하다. 참고문헌 gayacamping.cafe24.com
    위치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2길 51-32
  •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를 이용하다, 아관파천 俄館播遷
    거처하다. 설명 12월 27일에 임금이 경복궁을 나갔다. 이범진과 이윤용 등이 임금을 아라사 공사관으로 옮기고 김홍집과 정병하를 잡아 죽였지만, 유길준, 장박, 조희연 등은 달아났다. 황현이 《매천야록》에 기록한 고종의 아관파천(俄館播遷)은 이렇게 시작된다. 12월 27일은 양력으로 1896년 2월 11일이다. 고종은...
    시대 :
    1896년
  • 유흠 (회양헌왕) 劉欽, 刘钦 (淮阳王)
    회양헌왕 계통의 첫 회양왕이다. 선제와 장첩여(張婕妤)의 아들이다. 원강 3년이 조상의 묘를 지키고자 해 따르지 않았고, 회양헌왕과 장박의 사이는 벌어졌다. 나중에 장박이 큰 빚을 져 도움을 청하자 거절했다. 장박은 아우 장광(張光)을 시켜 왕에게 말하고 또 황제에게 글을 올려 어머니를 위해 사직하려 했다...
    도서 위키백과
  • 한성주보 漢城週報
    1886년 1월 25일 창간되었다. 통리아문의 독판 김윤식이 주동이 되어 박문국 건물을 교동에 다시 짓고 박문국 총재에 김윤식, 부총재에 정헌시, 주필에 장박이 모여 인쇄시설을 다시 갖추고 〈한성순보〉가 폐간된 지 14개월 만에 창간호를 발행했다. 한지책자형의 양절로 인쇄된 이 신문은 4호 활자가 사용되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무릉도원 오미인, 武陵桃源
    〈오미인 五美人〉이라고도 한다. 5명의 미인이 적극적으로 혼인 상대를 찾는 이야기이다. 국문활자본. 1권 1책. 명나라 강서성에 사는 장박은 늦게 아들 정서와 딸 난영을 얻으나, 갖고 있던 진주를 탐낸 친척에게 그만 살해된다. 정서는 백록서원에 공부하러 갔다가 무기를 만나 누이의 장래를 부탁한다. 정서는 과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박문국 博文局
    이듬해 중부 경행방(慶幸坊) 교동의 전 왕실건물로 이전, 『한성주보(漢城周報)』로 복간되었다. 이 때 총재는 김윤식(金允植), 부총재는 정헌시(鄭憲時), 주필은 장박(張博), 회계는 정병하(鄭秉夏), 외국어 번역원에는 일본인 이노우에(井上角五郎)였다. 신문발행경비는 특수한 세수권(稅收權)을 부여받아 충당되었고...
    시대 :
    근대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3년(고종 20) 8월
    폐지일 :
    1888년 7월
    분야 :
    역사/근대사
  • 망이·망소이의 난
    祗候) 채원부(蔡元富), 낭장 박강수(朴剛壽) 등을 보내어 선유(宣諭)했다. 그러나 봉기군은 응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뒤이어 대장군 정황재(丁黃載), 장군 장박인(張博仁) 등이 난을 진압하기 위해 인솔해 온 장사(壯士) 3,000명을 물리칠 정도로 그 규모와 세력이 컸다. 이에 정부는 무력에 의한 토벌을 중지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한성주보 漢城周報
    박문국을 중건하는 방향으로 방침을 바꾸었다. 이에 따라 활자를 비롯하여 일체의 인쇄시설을 일본에서 도입하고 10월 28일≪한성순보≫의 편집을 맡았던 장박(張博)·오용묵(吳容默)·김기준(金基駿) 외 이명륜(李命倫)·진상목(秦尙穆)·이혁의(李赫儀)·권문섭(權文燮)·정만교(鄭萬敎)·이홍래(李鴻來) 등 6...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886년 1월 25일(창간), 1888년 7월 7일(폐간)
    성격 :
    신문, 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박문국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공병우 公炳禹
    인습을 거부했던 그는 자서전 〈나는 내 식대로 살아왔다〉(1989)를 통해 생전에 자신이 죽으면 안구를 기증하고 시신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실에 기증해 줄 것을 유언했다. 대통령상과 외솔문학상, 한국적십자사은장박애상, 국민훈장 석류장, 서재필상, 은관문화훈장 등을 받았고, 사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
    출생 :
    1906. 12. 30, 평북 벽동
    사망 :
    1995. 3. 7,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이주회 李周會
    일본에 망명하자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8월 미우라 고로[三浦梧樓] 일본공사가 일본군과 친일조선인을 포섭하여 일으킨 을미사변에 가담했다. 이 사건 직후 김홍집 친일내각은 일본의 개입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이주회를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책임자로 몰아 고문 끝에 자백을 받아냈다. 윤석우·장박과 함께 처형되었다.
    출생 :
    1843(헌종 9)
    사망 :
    1895(고종 3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