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뒷전에 앉다‘뒷전’이라 함은 무당들이 벌이는 열두 굿거리 가운데 마지막 거리로서, 이때는 굿을 시작할 때 불러들인 잡귀들에게 밥과 술을 대접하여 물러가게 하는 마지막 절차가 남아 있다. 인간에게 해를 끼친다는 잡귀들은 정식 무속의 신으로 대접받지 못하여 이렇게 맨 나중에 음식을 대접받는 것으로 만족하고 물러가게...
-
왜 의자가 ‘권위’라는 뜻을 갖게 되었는가?, chair오늘날 chair는 ‘의장’의 뜻으로 많이 쓰이며, 이와 관련된 숙어도 많다. in the chair는 “의장석에 앉아, 의장직을 맡고”, take the chair는 “의장석에 앉다, 개회하다, 취임하다”, leave the chair는 “의장석을 떠나, 폐회하다”, support the chair는 “의장을 지지하다”는 뜻이다. chair엔 ‘전기의자’라는...
-
책상머리만 지키다에서처럼 일부 명사와 함께 쓰여 ‘한쪽 끝’, ‘가장자리’를 나타낸다. 즉, ‘책상머리’는 ‘책상의 한쪽 끝’이라는 뜻이다. ‘책상에 앉다’를 ‘책상머리에 앉다’라고 구체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같은 뜻이다. ‘지키다’는 ‘어떤 것을 살피다’, ‘보호하다’라는 뜻에서 ‘그 자리를 떠나지 않고 계속...
-
어간말자음군 겹받침, 語幹末子音群섟 ㄺ: 닭, 삵, 칡, 흙, 까닭, 기슭, 수탉, 암탉 ㄻ: 삶, 앎 ㄼ: 여덟 ㄽ: 곬, 옰, 물곬, 외곬, 통곬 ㅄ: 값 <용언 어간의 받침에 쓰인 자음군과 해당 단어> ㄵ: 앉다, 얹다, 끼얹다, 주저앉다 등 ㄶ: 끊다, 많다, 않다, 괜찮다, 귀찮다, 언짢다, 적잖다, 점잖다, 편찮다, 하찮다, 만만찮다, 시답잖다, 시원찮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말자음중화, 音節 — 規則은 [ㄴ], ‘ㄼ, ㄽ, ㄾ’은 [ㄹ], ‘ㅄ’은 [ㅂ]으로 발음하게 되는데 이것은 모두 겹받침을 이루는 두 자음 중 뒤의 자음이 탈락한 결과이다. '넋[넉]', '앉다[안따]', '여덟[여덜]', '넓다[널따]', '없다[업ː따]'와 같은 경우 들이다. 앞의 자음 탈락 겹받침을 이루는 두 개의 자음 중 앞선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는...
-
내 논설문으로 친구들을 설득할 수 있을까요?서론 : 주장을 펴게 된 문제 상황이 무엇인지 드러나는 부분이에요. 글쓴이가 논설문을 쓰게 된 이유를 알게 해 주지요. [예시] “친하지 않은 친구랑 앉다 보니 싸움이 잦다.” ㆍ본론 :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드는 부분이에요. 이 부분은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해요. 다양한 조사 자료를 구체적인...
- 분야 :
- 쓰기
- 교과단원 :
- 초등 2학년 1학기 〈이렇게 생각해요〉, 초등 3학년 1학기 〈문단의 짜임〉, 초등 4학년 1학기 〈짜임새있는 문단〉, 초등 4학년 1학기 〈의견과 근거〉, 초등 6학년 2학기 〈생각과 논리(읽기)〉, 초등 6학년 1학기 〈다양한 주장(읽기)〉
-
금벽산수화 청록산수, 金碧山水畵발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사기』 권48 솔거조(率居條)의 기록에서 보듯이, 솔거가 황룡사에 그린 노송(老松)은 너무나 훌륭하여 종종 새들이 앉다 떨어지곤 하였다는 이야기는 솔거의 그림이 사실적인 청록산수 계통이었음을 추측하게 한다. 고려시대에도 금벽산수화가 발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받침ㅇ(콩·당기다), ㅈ(낮·꽂다), ㅊ(빛·쫓다), ㅋ(부엌·녘), ㅌ(밭·같다), ㅍ(앞·깊다), ㅎ(낳다·좋다) 등 모두 14개이고, ② 둘받침으로는 ㄳ(삯), ㄵ(앉다), ㄶ(많다), ㄺ(흙·긁다), ㄻ(옮다), ㄼ(밟다), ㄽ(곬), ㄾ(핥다), ㄿ(읊다), ㅀ(뚫다), ㅄ(값,없다) 등 11개이다. ③ 쌍받침으로는 ㄲ(밖·꺾다), ㅆ(있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상 相는 현재완료상이지만 ‘앉아 있었다, 앉아 있겠다’로 바꾸면 과거완료상과 미래완료상이 된다. ‘-어 있다’가 붙어 완료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동사는 ‘앉다·서다·뜨다·마르다’ 등과 같이, 결과성의 의미를 가지는 자동사 또는 일부 형용사이며, 타동사와 ‘-어 있다’는 결코 붙을 수 없다. “헌 옷을 벗어 버리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