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뒷전 마당굿
    중부지방의 굿에서 잡귀를 돌려 보내는 마지막굿거리.|내용 중요한 신이 아닌 잡귀들을 한꺼번에 풀어서 먹이는 제차이다. 중요한 신들에 대한 굿은 대체로 성대한 상을 차려놓고 집안에서 행하여지지만, 뒷전은 마당에서 나물·떡·밥·술 등의 음식으로 간소하게 상을 차려놓고 행한다. 이 굿은 생전에 한을 품고 죽...
    성격 :
    굿거리
    유형 :
    의식행사
    장소 :
    중부지방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뒷전 마당굿
    마지막 굿거리.|무당이 뒷전 노는 일을 '뒷전거리·뒷전풀이'라고 한다. 굿에 청했던 잡귀들을 풀어 먹이는 절차로, 전은 '존' 곧 '후존'의 뜻이며 뒷전은 굿을 끝내는 종결 제차이다. 지역에 따라 황해도에서는 마당굿, 평안도에서 뜰덩굿, 동해안에서 거리굿, 전라도에서 중천맥이, 제주도에서 도진으로도 부른다. ...
  • 뒷전 TE, Trailing Edge
    에어포일(날개)의 뒷부분의 끝. 방향타 ・ 승강타 ・ 플랩(flap) 등의 총칭.
    분야 :
    항공
  • 공부는 뒷전이고 놀려고만 들어요
    비로소 성적에 신경을 쓰고 공부를 하려고 마음을 먹습니다. 공부하는 재미를 느끼기 시작하는 것도 이 시기입니다. 하지만 고학년이 되어서도 여전히 공부가 뒷전이라면 심리적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정불화가 있거나 부모와 사이가 좋지 않은 아이들은 반항심의 표현으로 공부를 안 할...
  • 뒷전에 앉다
    뒷전’이라 함은 무당들이 벌이는 열두 굿거리 가운데 마지막 거리로서, 이때는 굿을 시작할 때 불러들인 잡귀들에게 밥과 술을 대접하여 물러가게 하는 마지막 절차가 남아 있다. 인간에게 해를 끼친다는 잡귀들은 정식 무속의 신으로 대접받지 못하여 이렇게 맨 나중에 음식을 대접받는 것으로 만족하고 물러가게...
  • 뒷전 소용돌이 trailing vortex, あとひき渦
    대형 제트기가 비행한 후 일어나는 소용돌이 모양의 난기류.
  • 지노귀굿 지노鬼굿
    내용이 첨가된다. 즉, 부정(不淨) · 청배(請陪) · 가망 · 말명 · 상산(上山)마누라 · 별상 · 영실 · 대감(大監) · 제석(帝釋) · 창부(倡夫) · 뒷전 등이 먼저 행해지는데, 이는 영실만 제외하고는 재수굿과 대동소이한 것이다. 영실은 무당에게 망인의 넋이 실려 넋두리하면서 가족과 친지들을 만나보는 굿...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장님굿
    내용 일명 ‘맹인거리’라고도 하며, 놀이화되어 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부이북지방의 뒷전이나 남부지방의 거리굿에서 행해지고, 황해도 지방의 무당굿에서는 ‘도산말명 방아찜’(도산말명방아놀이)이란 거리에 장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님은 우리 사회에서 보호받기보다는 조롱의 대상이 되어 이를 반영하는...
    성격 :
    굿거리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하탈
    억울하고도 비참하게 죽은 귀신인 영산과 연결되어 영산의 하위개념으로서의 하탈영산이란 종류를 형성하였다. 하탈은 전국의 어느 굿에서나 부정거리와 뒷전에 언급되거나 모셔진다. 부정거리에서는 “낳구 가구 배고 가든 하탈영산”이라 하여 영산의 한 종류로서 쳐들어졌다가 다른 잡귀잡신 종류들과 함께 굿판 밖...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수광대 首廣大
    내용 중부지역 굿의 뒷전에서 모셔 놀아진다. 수광대라는 용어는 광대패에서 널리 쓰이던 것이 아니다. 전통놀이패 가운데 풍물패의 상쇠를 수광대라 부르기도 하고 포장굿패라 불리는 유랑 인형극패의 우두머리를 또 수광대라 하는 등 두 놀이패에서만 이 용어가 쓰였다. 이 수광대들의 넋과 제가집 조상 가운데 광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못 나온다면 그 탈은 이미 예사스러운 것이 아니다. 그런 탈이, 그 구체적인 뜻은 불분명하나 애탈·지탈·넋탈 등으로 개념화된다. 굿의 부정거리나 뒷전에는 탈이 잡귀잡신의 한 종류로 잡혀진다. 하탈이 그것이다. 제가(諸家)집 부녀 가운데 아이 배고 죽었거나 아이 낳다가 죽거나 아이 놓고 죽은 귀신을 가리키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서울 천신굿 서울 天神굿
    마당에는 불사마지상 · 본향가망상 · 산바래기상 · 불사가망상 · 불사말명상 등이 차려진다. 그 밖에도 성주상 · 대감상 · 제석상 · 터주대감상 · 뒷전상 등이 있다. 제상에는 신격의 성격과 기호에 따라 다양한 음식이 준비되는데, 떡 · 돼지고기 · 소고기 · 전 · 과일 · 나물 · 과자류 · 북어...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건

뒷전굿 / 도당굿
강화 외포리 곶창굿 / 뒷전
무당성주기도도 / 뒷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