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속단 續斷, Shady Jerusalemsage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아시아가 원신지이며, 산지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1m이다. 식물 전체에 잔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린 순은 나물로 무쳐 먹고, 뿌리는 약재로 사용한다. 꽃말은 ‘재회’, ‘안정’, ‘치유’이다. 개요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꿀풀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Phlomis umbrosa T...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원산지 :
- 아시아
- 서식지 :
- 산지
- 크기 :
- 약 1m
- 학명 :
- Phlomis umbrosa Turcz.
- 꽃말 :
- 재회, 안정, 치유
- 용도 :
- 양조용, 볶음용, 약용 등
-
속단 남초, 續斷잎 마주나고 길이 10~13cm, 나비 8~10cm인 심장 모양의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이고 둔한 톱니가 있다. 뒷면에 잔털이 나 있으며 잎자루는 길다. 꽃 7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붉은색으로 피는데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에 4~5개씩 층층으로 돌려나와 전체가 커다란 원추 꽃차례를 이룬...
- 학명 :
- Phlomis umbros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습지나 숲속
- 번식 :
- 분근·씨
- 약효 부위 :
- 줄기·뿌리
- 생약명 :
- 속단(續斷)
- 키 :
- 1m 정도
- 과 :
- 꿀풀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고 떫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줄기·뿌리 4~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속단 續斷, hasty conclusion분포지역 한국,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m이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상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큰 것은 길이 13cm, 나비 10cm 또는 그 이상되는 것도 있으나 위로 갈면서 작아지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
- 분류 :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속단속
- 꽃색 :
- 붉은색
- 학명 :
- Phlomis umbrosa Turcz.
- 개화기 :
- 7월
-
속단 續斷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학명은 Phlomis umbrosa TURCZ.이다. 한약재의 하나로 본래는 산토끼꽃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인데, 현재 산토끼꽃이 귀하여 꿀풀과에 속하는 속단을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속단이라는 명칭은 골절을 잘 치료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성분은 알칼로이드·정유·비타민E ...
- 분류 :
- 꿀풀과
- 성격 :
- 식물, 풀
- 유형 :
- 동식물
- 학명 :
- Phlomis umbrosa TURCZ.
- 분야 :
- 과학/식물
-
속단생물학적 특징 다년생 초본, 높이 1m 잎은 대생, 심장상 난형, 길이 13㎝, 폭 10㎝, 첨두, 심장저 또는 원저, 둔거치연 꽃은 7월 개화, 원추화서 꽃받침은 통형, 화관은 순형, 우단털이 밀생 열매는 분과 용도 식용 :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약용 : (뿌리, 지상부) 발열, 두통 등에 사용한다. 성분 flavonoid류, amin...
- 분류 :
- 꿀풀과(Labiatae)
- 서식지 :
- 산지
- 학명 :
- Phlomis umbrosa Turcz.
- 본초명 :
- 조소(조蘇)
- 분포지역 :
- 한국(전역), 만주, 중국
-
속단 묏속단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약용식물 속단은 꽃 모양이 아주 특이하다. 윗부분에 솜털이 많이 나 있는 모습이 꼭 털모자처럼 생겼다. 속단(續斷)은 끊어진 것을 잇는다는 뜻으로, 예를 들면 인대가 파열되었을 때나 뼈가 부러진 데 효과가 있어 약재로 이 풀을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
- 분류 :
- 꿀풀과
- 서식지 :
- 습기가 많은 반그늘의 토양이 비옥한 곳
- 꽃색 :
- 붉은색
- 크기 :
- 키는 약 1m 정도
- 학명 :
- Phlomis umbrosa Turcz.
- 용도 :
- 어린잎은 식용, 뿌리는 약용
- 분포지역 :
- 우리나라와 중국, 만주 등지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개화기 :
- 7월
- 결실기 :
- 9~10월경
-
광대수염 (동의어 속단) 백화채(白花菜), 광대鬚髥잎 마주나고 길이 5~10cm, 나비 3~8cm의 달걀꼴인데, 밑은 둥글거나 심장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잎자루가 있다. 앞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드문드문 나 있으며 주름이 지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5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는데 줄기에 마주난 잎겨드랑이에서 5~6개씩 돌려난 것처럼 층층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
- 학명 :
- Lamium album var. barbatum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약간 그늘진 곳, 대나무 숲속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뿌리
- 생약명 :
- 야지마(野芝麻)
- 키 :
- 60cm 정도
- 과 :
- 꿀풀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5~6월(개화기)
- 취급요령 :
-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6~9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긴잎털광대수염·광대나물
-
흰속단꽃받침으로 싸여 익는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며 전체에 잔털이 있다. 뿌리 뿌리에 비대한 덩이뿌리가 4-5개 정도 달린다. 뿌리를 속단(續斷)이라 한다. 번식방법 분근(分根), 종자(種子) 번식에 의한다. 용도 어린 순은 식용,보간신(補肝腎), 활혈(活血). 안태(安胎), 속근골(續筋骨), 요통, 하지...
- 분류 :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속단속
- 꽃색 :
- 백색
- 학명 :
- Phlomis umbrosa f. albiflora Y.N.Lee
- 개화기 :
- 7월
-
송장풀 잠채길이 2.5mm 정도인 거꿀달걀꼴의 골돌과가 달려 검게 익는데 3개의 능각이 있으며 털은 없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대화익모초(大花益母草)·산익모초·개속단·개방아·개방앳잎·주리풀(제주도)이라고도 한다. 식물에서 송장 썩는 듯한 냄새가 난다고 하여 송장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는 곧추서고 둔하게 네모지며...
- 학명 :
- Leonurus macranthu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풀밭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뿌리
- 생약명 :
- 대화익모초(大花益母草)
- 키 :
- 1m 정도
- 과 :
- 꿀풀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8~9월(개화기)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고 떫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4~6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속단·산속단의 뿌리
-
송장풀 개속단, Large-flower motherwort분포지역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가 1m정도에 이른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며 예두 예저이고 길이 6-10cm, 폭 3-6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5cm이다. 잎의 표면은 녹색으로서 복모가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 털이 더...
- 분류 :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익모초속
- 꽃색 :
- 주황색
- 학명 :
- Leonurus macranthus Maxim.
- 개화기 :
- 8월
-
방가지똥 방가지풀, Sow-thistle개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강가나 길가, 빈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30-100cm로 곧게 자라며, 속이 비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일찍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깃꼴로 갈라지고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넓어지면서 줄기를 둘러싼다. 잎 가장자리에는 끝이...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방가지똥속
- 서식지 :
- 강가, 길가, 빈터
- 학명 :
- Sonchus oleraceus L.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유럽(원산), 전 세계(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