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골징포 白骨徵布
    조선시대 군정 운영에서 발생하던 폐단의 하나.|원래 백골징포라는 말은 면작농가(棉作農家)에게 면포를 징수하는 과정에서 생긴 말이다. 면작농가에서는 본래의 전부(田賦) 외에 현물세로서 호포 및 신포(身布)를 면포로 거두었다. 가족수에 따라 대호·중호(中戶)·소호(小戶) 및 잔호(殘戶) 등으로 분류하여, 가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백골징포 白骨徵布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군정(軍政)의 폐해.|내용 죽은 사람을 군적(軍籍)에 올려 놓고 강제로 세금을 거둬들인 폐해이다. 군정이란 군사 전반에 걸친 광의적인 면보다 군역(軍役), 즉 병역(兵役)을 주로 한 군적과 군포(軍布)에 관한 행정을 말한다. 국법에는 45년간(15∼60세) 군역에 응하여 만 60세가 되면...
    시대 :
    조선
    성격 :
    사회폐단, 수취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 후기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삼정의 문란 (관련어 백골징포) 三政の紊乱, 三政紊亂
    다른 뜻 넘어옴 삼정의 문란(三政-紊亂)은 조선시대 후기 국가 재정의 세금 수입 가운데 대다수를 차지하는 전정(田政)·군정(軍政)·환곡(還穀)의 운영이 중앙의 통제를 벗어나 지방 관아의 수탈도구로 전락하여 문란해진 일을 말한다.,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 삼정의 문란은 농민의 주된 불만 사항이었고 조선...
    도서 위키백과
  • 이정청 釐整廳
    것이 영조 때에는 50만에 이르게 되었다. 여기에 수령과 아전들의 협잡까지 겹쳐 어린이에게 역을 지우는 황구첨정(黃口簽丁), 죽은 사람에게서 수포하는 백골징포(白骨徵布)가 행해지고, 심지어는 친척과 이웃에게서 대신 거두는 족징(族徵) · 인징(隣徵)까지 행해지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더구나 군포는 그 명색에...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양역변통론 良役變通論
    많거나, 군역제도 자체가 다양하고 무질서하게 편성되어 질서가 없는 등 제도상의 결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조선 후기 군역제는 황구첨정(黃口簽丁)·백골징포(白骨徵布)·인징(隣徵)·족징(族徵) 등 심각한 폐단을 초래했으며, 군포를 감당하지 못하는 가난한 농민들이 대규모로 유망하여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군정 軍政
    불합리한 각종 제도와 사회 경제적 부조리로 인하여 조선 말기의 군정 문란(軍政紊亂)이라는 초미의 왕조 위기를 초래하고 있었다. 종래부터 있어 왔던 백골징포(白骨徵布) · 황구첨정(黃口簽丁) · 족징(族徵) · 인징(隣徵) · 강년채(降年債) · 마감채(磨勘債) · 군정수(軍政修) · 신입례(新入禮) 등 군정의 문란...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홍봉한 조선 후기의 문신
    權貴)로 비난받기도 했다. 정조연간에는 그의 행적에 대한 시비가 시파(時派)·벽파 대립의 한 주제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시무6조(時務六條)의 건의와 백골징포·환곡작폐(還穀作幣)의 금지, 은결(隱結) 재조사 등 백성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노력했다. 저서로는 국정운영에 대한 주장을 정조가 직접 편찬한 〈어정...
    출생 :
    1713(숙종 39)
    사망 :
    1778(정조 2)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자 :
    익여(翼汝)
    호 :
    익익재(翼翼齋)
  • 양역이정청 설치 병역 문제를 처리하는 임시기구
    이중 삼중으로 받는 사례가 늘어났다. 양인 중에서도 양반은 군포를 면제 받고 가난한 농민에게는 부담이 가중됐다. 게다가 죽은 사람에게도 군포를 징수하는 '백골징포', 15세 이하의 어린이에게도 군포를 징수하는 '항구첨정' 등 비리가 들끓었다. 이를 바로 잡고 백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양역이정청을 설치한 것...
    시대 :
    1703년
    국가/대륙 :
    한국
  • 이선 李選
    이원정(李元禎) 등의 탄핵을 받았지만 무사했다. 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함경도관찰사·대사성·대사간 등을 거쳐 강화유수로 재직할 때 백골징포(白骨徵布)와 아약충군(兒蒻充軍)의 폐해 및 사육신·황보인·김종서의 억울함을 논의했다. 1682년 이후 실록청당상·도승지·경기감사·공조참판·개성...
    출생 :
    1632(인조 10)
    사망 :
    1692(숙종 18)
    국적 :
    조선, 한국
  • 군포계 軍布契
    증가했다. 그러나 군현별로 군정 총액은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궐원(闕員)의 수에 관계없이 그에 상당하는 액수를 매년 납부해야 했다. 결국 인징(隣徵)·백골징포(白骨徵布) 같은 각종 편법이 사용되었으나, 피역은 계속 발생하고 잔류양인에게 무한정 이를 전가시킬 수만도 없었다. 이에 신분에 관계없이 향촌민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강년채 降年債
    재정수요 증가로 군액은 늘었으나 신분상승운동과 피역으로 군역부담자인 양인농민의 수는 감소하고 있었다. 이로 인한 부족량을 나머지 농민에게 부담시키려 하자 백골징포·황구첨정·족징·인징과 같은 폐단이 생겨났다. 강년채 역시 군정의 구조적인 모순과 징수담당 이서들의 부정이 개재되어 나타난 불법행위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정청 釐整廳
    이정청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으로 인해 부병제가 무너지고 모병제가 성립되어 군역을 지던 양반에게 군포 2필씩을 바치게 했는데, 여기에 황구첨정·백골징포·족징·인징 등의 폐단이 나타났고, 또 군포도 2필, 3필 등으로 고르지 못했다. 그리하여 이정청을 설치한 다음해인 1704년 1월 각 군문의 군액을 감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