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맞배지붕
    지붕의 완각이 수직으로 잘려진 지붕.|지붕형식은 가장 간결한 구성으로 人자형·八자형이며, 박공을 달아 장식한다. 맞배지붕은 보는 각도에 따라, 정면에서 보면 직사각형의 지붕면이고 측면에서는 지붕 물매가 보인다. 주로 기와가 사용되며 초가·너와도 쓰인다. 맞배지붕의 주택은 고급집에서는 행랑채에, 서민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맞배지붕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내용 일자형 홑집 평면에 알맞는 지붕으로 이러한 지붕의 집을 뱃집이라 부르기도 한다. 집의 앞뒤로 평면에 따라 길쭉하게 지붕 물매가 구성되어 가늘고 긴 지붕이 된다. 좌우 마구리는 ㅅ자형의 구성인 채로 두는데, 박공을 달아 장식한다.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맞배지붕 Gable roof, 切妻屋根
    맞배지붕(gable roof)은 는 추녀가 없고 지붕이 두 개의 사면으로 이루어져 마치 책을 엎어놓은 듯한 모습인 지붕이다. 벽과 용마루가 만나는 삼각형의 공간이 박공이 된다. 동양에서는 박공이 있는 쪽이 건물의 양 측면이 되지만 서양에서는 박공이 있는 쪽이 건물의 입면이 된다.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의 지붕
    書〉에 의하면 불교가 전래된 372년 이후의 고구려 민가는 초가지붕이고, 궁궐·관아·절 등은 기와지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쌍영총과 동수묘의 벽화에 맞배지붕을 한 건물이 그려져 있고, 안성동 대총 전실의 누각도(樓閣圖)에 우진각지붕의 건물이 그려져 있어 이 시기의 지붕 형태를 알 수 있다. 백제의 지붕은 산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빗천장 사천장, ─天障
    개설 ‘사천장(斜天障)’·‘합장천장(合掌天障)’이라고도 하며, ‘맞배천장’으로 부르는 견해도 있다. ‘맞배’란 용어는 목조건물의 지붕이 八자형으로 된 형식을 가리키며 이런 지붕맞배지붕으로 부르고 있다. 이는 외형으로만 보면 지붕·축부(軸部)·기단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건물 내부에서는...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용어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중국건축의 지붕형태
    두 방향으로 비탈진 가장 간단한 형식이고, 우진각 지붕은 사방으로 비탈진 형식이다. 팔작 지붕이란 맞배 지붕 아래쪽에 사방으로 차양을 이어댄 형태라고 생각해도 좋고, 우진각 지붕 위쪽을 잘라 그 위에 맞배 지붕을 얹었다고 생각해도 좋다. 중국건축에서는 이 3종류의 지붕 밑에 따로 차양을 이어달아 2층 또는 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까치박공
    한국 건축의 지붕은 크게 맞배지붕·우진각지붕·팔작지붕으로 분류되며, 이 3가지 형식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 가지 복합형식의 지붕이 나타난다. 팔작지붕지붕면이 우진각지붕과 같이 사면이며 전후좌우로 물매를 갖고 있으나 측면 지붕 위 용마루 옆면에 3각형의 벽으로 꾸민 합각면(까치박공)이 있어 우진각지붕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박공지붕 gable roof
    건물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데, 박공벽보다 지붕이 더 돌출되어 있으며 박공선이 우아한 곡선을 띠고 있는 한국의 전통 지붕 양식 가운데 하나인 맞배지붕도 이에 해당된다. 박공벽이 지붕보다 높은 경우들은 크고 기념비적인 석조 건축물, 특히 고딕 양식의 건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견된다. 서양의 건축물에서 박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지붕
    그 형태를 달리한다. 같은 형의 평면이라면 경제적인 여건과 집주인의 식견에 따라 지붕모습이 결정된다. 형태에 따라 맞배지붕 · 팔작지붕 · 우진각지붕 · 사모지붕 · 육모지붕 · 팔모지붕 · 갖은모지붕 · 丁자지붕 · 십자지붕 · 고패지붕 · ㄷ자지붕 · ㅁ자지붕 · 솟을지붕 · 까치구멍지붕 등으로 구분...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주생활
  • 우진각지붕
    본다면 이는 획기적인 변모라고 할 수 있는데, 시류에 따른 변형으로 해석되고 있다. 삼국시대 이래로 지붕형태가 어떤 형태로 구성되고 어떤 유형이 주류를 이루었던가의 학설은 분분하나, 고구려 지붕맞배지붕과 우진각지붕이 보편적이었고, 당나라와의 교류 이후로 팔작지붕이 크게 보급되었다고 추측된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백양사 사천왕문 白羊寺 四天王門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건물. 1974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사천왕문은 일주문(一柱門)과 불이문(不二門)의 중간에 위치하는데, 백양사 사천왕문은 정면 가운데 칸은 사찰의 통문(通門) 역할을 하고 좌우 협칸에는 사천왕상을 안치하였다. 장대석 기단 위로 막돌 초석을 놓고...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처마
    구성요소는 서까래 · 부연(浮椽, 婦椽) · 평고대 · 추녀 · 사래 · 박공 등이다. 처마는 넓은 의미에서 서까래가 이루는 부분을 통칭하고 있어서 맞배지붕의 경우는 합각부분까지 포함한다. 서까래가 이루는 부분 중에서 주심도리 안쪽을 천장이라 부르고, 천장에서 이어지는 주심도리 바깥쪽을 처마라 한다. 처마는...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주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건

맞배지붕
맞배지붕
맞배지붕
수덕사의 대웅전(국보 제49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정측면
창녕 관룡사 약사전 동측면
예천 용문사 대장전 측면
예산 수덕사 대웅전 측면
창녕 관룡사 약사전 측면
창녕 관룡사 약사전
무위사 극락보전
영주 부석사 조사당 맞배지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