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떡판매원
    수행직무 곡물상으로부터 좋은 품질의 곡물을 구매한 후 떡을 직접 만들거나 대형 떡 제조공장에서 떡을 구매한다. 떡의 맛과 첨가물 등을 고객에게 알려주고 구입하게 한다. 떡과 재료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한다. 고객이 구입을 희망하는 양만큼 포장하여 판매한다. 고객으로부터 대금을 받고 영수증을 제시한다. 떡을...
    교육수준 :
    6년 초과 ~ 9년 이하(중졸 정도)
    숙련기간 :
    1개월 초과 ~ 3개월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설득
    직무기능(사물) :
    관련없음
    고용직업분류 :
    [6151]상점 판매원
    표준직업분류 :
    [5212]상점 판매원
    표준산업분류 :
    [G472]음ㆍ식료품 및 담배 소매업
    조사연도 :
    2013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떡메
    떡을 만들 때 떡메나 절구로 쳐서 질기고 오지게 만든다. 떡판에 올린 뒤 떡메로 잘 쳐야 제맛이 난다. 떡메는 떡판과 메로 나뉜다. 떡판은 매우 큰 통나무를 자른 평평하고 널찍한 것으로 대개 마을에는 큰 떡메가 몇 개쯤 있고 집마다 보다 작은 떡메를 준비하고 있다. 일단 찐 떡을 떡판에 올려두고 물을 뿌려가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수단 水團
    유두 절식의 하나이다. 만드는 방법은 멥쌀가루를 물에 담가 곱게 가루로 빻은 다음 흰떡을 칠 때처럼 끓는 물에 버무려서 잘 익게 찐다. 분량이 많을 때에는 떡판에 놓고 치고, 적을 때에는 베보자기에 싸서 떡판에 놓고 주물러서 말랑한 떡덩어리가 되면 손가락처럼 비벼 보통 가래떡보다 가늘게 만든다. 이것을...
    성격 :
    음식
    유형 :
    물품
    재질 :
    쌀가루, 꿀물, 잣
    용도 :
    절식용
    관련 의례 :
    유두절, 정월 보름날
    분야 :
    생활/식생활
  • 떡국
    만든 떡을 넣은 떡국이 있다. 일본에는 찹쌀떡을 넣고 끓인 떡국이 있으며 이를 ‘오조니’라고 한다. 재료 떡국의 기본재료는 가래떡으로, 멥쌀가루를 쪄 떡판 위에 놓고 떡메로 쳐서 끈기 있게 만든 다음 손바닥으로 굴려서 가늘고 길게 만든다. 떡이 어느 정도 굳어서 썰기에 적당해지면 어슷썰기로 썰어 두어 떡국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문화 일반
  • 절편
    떡을 꽃 모양으로 장식한 것을 말한다. 제조법 쌀을 물에 불렸다가 빻아 체로 친 다음 찐다. 찐 것을 안반이나 절구에 놓고 메로 쳐서 차지게 하고 흰떡을 떡판에 놓은 채 굵게 비빈 다음, 도독하게 반을 지은 후 떡살로 문양을 찍어 알맞게 썰고 참기름을 겉에 바른 뒤 나무그릇(되도록 함지박)에 담아내고 꿀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과주
    2. 1의 찹쌀가루를 술로 반죽하여 부슬부슬하게 뜯어 채반에 놓고 찐 다음 모아서 돌절구에 넣고 꽈리가 일도록 매우 친다. 3. 2를 한 덩어리로 뭉쳐 떡판에 놓고 밀어서 얄팍하게 반을 지은 다음 칼로 잘라서 더운 방바닥에 말린다. 이때 바람을 쏘이지 말고 손질을 자주하면서 딱딱하게 말려야 균열이 생기지 않고 잘...
    분류 :
    다과류 > 과정류 > 기타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기름을 이용하여 익히는 음식
  • 개피떡 바람떡
    바짝 잦힌 다음 15~20분간 뜸을 들여 소금을 약간 넣고 더울 때 주걱으로 이겨 놓는다. 이것이 식으면 대추만한 크기로 걀쭉하게 빚어 놓는다. ④ 흰떡을 떡판 위에 놓고 밀대로 두께 1.5~2㎜ 정도로 얄팍하게 민다. ⑤ 빚어 놓은 소를 1개씩 떡 위에 놓고 떡의 한쪽 귀를 들어 싸듯이 맞붙여 놓은 다음 직경 6㎝ 정도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동진수리민속박물관 東津水利民俗博物館
    경작용구로는 따비 · 쟁기 · 괭이 · 고무래 · 가래 · 살포 · 써레 등이 있다. 곡식다루는 기구로는 나무손홀태 · 쇠손홀태, 보리탈곡용인 개상 · 도리깨, 원시적 탈곡기인 매통 · 토매 · 디딜방아 · 연자방아로부터 근대화된 풍구 등 다양하다. 제분기로는 맷돌 · 절구 · 품매 · 떡판 등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떡박물관 떡博物館
    매년 떡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바꾸어 가며 새로운 전시를 선보이고 있다. 유물 떡박물관은 떡을 만드는 도구인 시루, 절구, 체, 떡살, 떡메 · 떡판 등을 비롯하여 전통음식과 관련된 식기와 조리 도구, 소반, 다구, 약선 음식을 보관 · 제조했던 약기 등을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의 풍속 및 의례와 관련된 용구 등...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생활/식생활
  • 떡살
    있다. 대체로 둥근모양의 것은 사기나 자기제품이고, 장방형의 것은 나무제품이다. 문양에는 꽃문양·선문양·길상문양을 많이 쓴다. 절편은 멥쌀가루를 쪄서 떡판이나 절구에 넣고 매우 쳐서 매끄럽게 만든 도병(擣餠)의 하나이다. 계절에 따라서 쑥·송기·수리취 등을 섞어 치기도 하는데, 특히 단오날에는 수리취...
    성격 :
    생활용품, 조리도구
    유형 :
    물품
    재질 :
    나무, 사기, 자기
    용도 :
    조리, 선물
    관련 의례 :
    단오, 잔치
    분야 :
    생활/식생활
  • 기름틀
    세장을 걸어서 짠 머리틀을 지면에서 직각이 되게 세우고 아래 세장에 의지하여 서까래 같은 굵은 나무 둘을 약간 벌려놓으며 그 사이에 홈이 패인 널쪽인 ‘떡판’을 걸쳐둔다. 그리고 이에 기름떡을 올려놓은 뒤에 윗세장에 기름채날을 끼우고 무거운 돌을 실어서 압력을 가한다. 경상남도 진양에서는 팔자(八字)모양...
    성격 :
    생활용품, 틀
    유형 :
    물품
    재질 :
    나무, 돌
    용도 :
    기름추출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구이 안덕 건강힐링체험마을
    대표적인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전통 구들 방식의 한증막으로 한약재를 우려낸 물로 노폐물을 배출할 수 있는 황토 한증막 체험과 전통방식으로 고두밥을 지어 떡판에서 떡메로 직접 찰떡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인절미 만들기, 감자와 고구마, 옥수수 등 계절별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체험 등이 있다. 참고...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구이면 장파길 72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떡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