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도세자의 대리청정과 나주괘서사건등 탕평을 통한 정국 안정의 결과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는 와중인 영조 25년(1749)부터는 후일의 사도세자인 왕세자가 영조를 대신해서 대리청정하였다. 영조는 처음 1749년 1월 22일 승정원에 세자에게 선위한다는 글을 내렸다. 그러자 이를 받은 조정은 그 순간부터 급박하게 돌아갔다. 글을 받은...
-
정유독대와 대리청정 노론과의 정치타협모였다고 한다. 그야말로 세자를 바꾸겠다는 의지로 이이명과 정치적 타협을 이루어낸 것이었다. 독대가 있은 후 여러 대신들을 불러놓고 왕세자에게 대리청정하라는 명이 내려졌다. “5년 동안 병마에 시달려온 끝에 안질(眼疾)이 더욱 고통스러워서 물체를 보아도 더욱 희미해 수응(酬應)하기가 점차 어렵게 되었으니...
-
신정왕후 조선 익종의 비지방에서는 탐관오리들의 가렴주구로 인해 민생이 도탄에 빠졌다. 그로 인해 왕권이 땅에 떨어지자 순조는 정사에 염증을 느끼고 맏아들 효명세자에게 대리청정을 명했다.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국정을 위임받은 효명세자는 조만영과 조인영 등 풍양 조씨 인사들의 조력을 받아 탐관오리의 징치, 과거제도의 정비 등...
- 출생 :
- 1808(순조 8)
- 사망 :
- 1890(고종 27)
- 본관 :
- 풍양(豊壤,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 시호 :
- 효유헌성선경정인자혜홍덕순화문광원성숙렬명수협천융목수령희강현정휘안흠륜홍경태운창복희상의모예헌돈장계지경훈철범신정왕후
-
융릉 장조와 현경왕후의 능의 원본이 되기도 했다. 『한중록』에 따르면 세자는 늘 군복을 입고 다녔다. 사도세자의 비극은 영조 25년(1749) 15세 때 영조를 대신해 국사를 대리청정할 때부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제는 영조의 처신이었다. 그는 사도세자가 대리청정을 하면서도 글 읽는 것보다 무예를 중요시하는 데 불만이 있었다. 조선...
-
순조의 마지막 희망, 효명세자 익종군사권을 강화하기도 하였고, 자신을 지지해 줄 정치세력을 육성하고자 하였으나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자 그는 마지막 희망으로 효명세자에게 대리청정을 하도록 하였다. 효명세자의 처가가 풍양 조씨인 점을 주목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외척인 풍양 조씨로 하여금 또 다른 외척인 안동 김씨를 견제하려고...
-
건저대리 建儲代理延礽君, 영조)을 왕위계승자인 세제(世弟)로 추대하고, 왕권을 대행하는 섭정권을 주고자 국왕을 압박한 일련의 정치적 사건을 말한다. 노론의 연잉군(영조) 세제 책봉은 성공하였으나, 대리청정은 무리하게 추진하다가 실패하였고, 소론의 역공을 받아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는 빌미가 되었다. 역사적 배경 1694...
- 시대 :
- 조선후기
- 발생 :
- 1721년(경종 1) 8월
- 성격 :
- 사건, 당쟁, 왕위계승
- 유형 :
- 사건
- 종결 :
- 1721년(경종 1) 10월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경종, 영조, 인원왕후(仁元王后), 노론, 소론, 이정소(李廷熽), 조성복(趙聖復), 유봉휘(柳鳳輝), 최석항(崔錫恒), 김창집(金昌集), 조태구(趙泰耈)
- 관련 장소 :
- 서울 창덕궁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왕세자청정절목 王世子聽政節目왕세자청정절목」 이전의 대리청정은 조선 중기에 이르기까지는 세종대의 첨사원(詹事院) 설치에 대한 논란을 제외하고는 그 방법과 형식과 권한 등에 대하여 일정 규정 없이 그때그때 임시방편으로 시행해 왔다. 그러다가 1717년 병에 걸려 몸이 약해진 숙종을 대신하여 경종이 대리청정할 때부터 조목조목 규범화한...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예조(禮曹)
- 창작/발표시기 :
- 1717년
- 성격 :
- 문서, 조목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9개 항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수렴청정 수렴동청정(垂簾同聽政), 垂簾聽政결국 안동 김씨가 외척세도를 확대하는 기반이 되었고, 이로 인한 폐단을 가져오게 되었다. 풍양 조씨 출신의 신정왕후는 남편인 효명세자(孝明世子)가 대리청정 중 승하하게 되자 왕비가 되지 못하였다가 아들 헌종(憲宗)의 즉위 후 효명세자가 익종으로 추숭되자 왕대비가 되었다. 아들이 즉위했음에도 대왕대비 순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