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동단결선언 大同團結宣言한진교 등의 소장인사가 국민주권설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지금까지의 망명정부 계획을 전환하여 임시정부의 수립을 제창하였던 것이다. 의의와 평가 대동단결선언은 주권불멸론과 융희황제의 주권포기론을 근거로 국민주권설을 정립함으로써 독립운동의 이념을 확립하였을 뿐 아니라, 정부적 통할체제(政府的統轄體制...
- 시대 :
- 근대
- 창작/발표시기 :
- 1917년
- 성격 :
- 선언문
- 유형 :
- 작품
- 분야 :
- 역사/근대사
-
191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대동 단결 선언오늘에 이르러 주변 정세의 흐름과 한 조각 붉은 마음의 격발로, 참으려 해도 참을 수 없고 주저할 여유가 없어 이에 주권 상속의 대의와 대동 단결의 문제를 들어올려 먼저 각계의 밝으신 여러분의 찬동을 구하며 이어 일반 국민의 놀라 깨어남을 재촉하며 겉으로는 세계의 공론을 불러일으키고자 하노니 일치 단결은...
- 시기 :
- 1917년
-
대동단결선언을 발표 국민주권과 공화정 이념을 내세우다7월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박용만 등 독립운동가 14명이 중국 상하이에서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대동단결선언문에서 1910년 한 ・ 일병합 당시 순종 황제가 주권을 포기했고 이것은 주권을 국민에게 넘겨준 것을 뜻한다며 국민주권설을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국민주권설에 따른 공화정 이념을 바탕으로...
- 시대 :
- 1917년 7월
- 국가/대륙 :
- 한국
-
세계 팔레스타인 민족 연대의 날 세계 팔레스타인 민족단결의 날, International..정의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을 높이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한 평화적인 해결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된 날. 매년 11월 29일이다. 제정 목적 '세계 팔레스타인 민족 연대의 날'은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대중을 교육하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
- 분류 :
- 기념일, 비공휴일
- 시행일 :
- 1977년 12월 2일
- 날짜 :
- 매년 11월 29일
- 제정처 :
- 국제연합
-
동녕단결유적 단결유적, 東寧團結遺蹟江省文物考古工作隊)와 길림대학 역사계에서 구성한 동녕고고대(東寧考古隊)에 의해서 발굴조사되었다. 당시 동녕현 대성자무덤도 함께 조사가 이루어졌다. 단결유적은 크게 두 시기의 문화층으로 구분된다. 이른 시기의 문화층은 한대(漢代) 옥저시기의 것이고, 늦은 시기의 문화층은 발해시기의 것인데, 발해시대...
- 시대 :
- 고대/남북국/발해
- 건립시기 :
- 발해시대
- 성격 :
- 주거 유적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중국 흑룡강성 동녕현 단결촌
- 분야 :
- 역사/고대사
-
임시정부의 주춧돌이 된 동제사, 김갑 ・ 한흥교 ・ 민제호 金甲 ・ 韓興敎 ・ 閔濟鎬신아동제사를 결성하였다. 이처럼 1910년대 상하이 지역 독립운동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동제사의 회원들은 1915년 신한혁명당 창당, 1917년 <대동단결선언> 선포, 1918년 신한청년당 결성, 1919년 4월 상해임시의정원에서 커다란 역할을 수행하였다. 회원들은 주권이 인민에게 있음을 명확히 하고 이를 대외적...
- 출생 :
- 김갑 1889년, 부산한흥교 1885년, 부산민제호 1890년, 서울
- 사망 :
- 김갑 1933년한흥교 1967년민제호 1932년
- 포상훈격 :
- 김갑 1986년 건국훈장 독립장한흥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민제호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단결한 민중은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 El pueblo unido jamás ..단결한 민중은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는 칠레의 음악가이자 피아노 연주자인 세르히오 오르테가가 작곡한 노래이다. 노래의 제목은 콜롬비아의 정치인 호르헤 가이탄 (Jorge Gaitán)이 주창한 어구에서 따왔다. 세르히오 오르테가는 언젠가 다가올지 모르는 군사 쿠데타를 예감하고 이 노래를 작곡했으며, 1973...도서 위키백과
-
아프리카 단결 기구 Organisation of African Unity, ..아프리카 단결 기구는 1963년 5월 25일 설립된 국제 기구이다. 아프리카 통일 기구라고도 한다. 2002년 7월 9일 해체를 선언하고 아프리카 연합으로 대체되었다. 1963년 5월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독립국 정상 회의에서 30개국이 아프리카 통일 기구 헌장에 조인, 1963년 10월 조인국 2/3...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