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1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무정 현대 한국 서사 문학의 시작이광수는 현대 한국 서사 문학의 발원지이며, 후손에게 우성 유전 인자와 열성 유전 인자를 동시에 물려준 인물이다. 그는 흔쾌하게 용납되지도 않으며, 그렇다고 쉽게 부정할 수도 없는 존재다. 그의 서사 문학에 대한 평가는 경멸과 존경, 무시와 찬탄이라는 양가 감정을 받아먹으며 부피가 늘어왔다. 우리 문학사를 ...
- 시기 :
- 1917년
-
무정 無情폭발적 인기와 논란을 불러일으킨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이자 연애 소설 연애를 둘러싼 ‘사랑’과 ‘욕망’, ‘질투’를 솔직하게 드러낸 당대의 문제작 다 같은 사람으로 부하면 얼마나 더 부하며, 귀하다면 얼마나 더 귀하랴. 조그마한 돌 위에 올라서서 다른 사람들을 내려다보며 “이놈들, 나는 너희보다 높...
- 원제 :
- 無情
- 발행일 :
- 2010년 7월 2일
- 지은이 :
- 이광수
- 책임 편집 :
- 정영훈
- 출판사 :
- 민음사
- ISBN :
- 978-89-374-6250-4
- 페이지 수 :
- 568쪽
- 시리즈 번호 :
- 세계문학전집 250
-
-
무정 無情이광수(李光洙)의 가 지은 장편소설. 내용 작자의 첫 장편소설로, 1917년 1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126회에 걸쳐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되었고, 1918년 광익서관(廣益書館)에서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근대문학사상 최초의 장편소설로 간주되며 이광수의 작가적 명성을 굳히게 한 작품이기도 하다. 이 작품...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광수
- 창작/발표시기 :
- 1917년 1월 1일(연재 시작), 1917년 6월 14일(연재 종료)
- 성격 :
- 장편소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무정 無情이광수(李光洙) 원작, 박기채(朴基菜) 각색·감독의 영화. 내용 족항일기인 1939년에 제작, 공개된 영화이다. 원작은 이광수의 초기 대표작으로 알려진 장편소설이고, 박기채는 1935년 「춘풍(春風)」으로 데뷔한 인물이다. 이 영화는 한말 개화기 무렵에 항일애국지사로서 옥사한 박진사(朴進士)의 딸 영채(한은진 분...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광수
- 창작/발표시기 :
- 1939년
- 성격 :
- 영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
무정이광수가 1917년 <매일 신보>에 연재한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 소설 근대 문명에 대한 동경, 신교육 사상, 자유연애의 찬양 등이 주제를 이루며, 민족주의적 이상과 계몽주의적 정열이 잘 나타났다. 우리나라 현대문학의 출발을 알리는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 받는다.
-
무정 無情이광수(李光洙)는 평북 정주 출생으로 호는 춘원(春園)이다. 한국 현대사의 굴곡을 온몸으로 체현한 문인이었다. 「文學의 價値」, 「文學이란 何오」 등을 통해 신문학의 이상을 내세우고 소설 『무정』이나 『개척자』 등으로 이를 직접 실천한 계몽주의 작가면서, 2 ・ 8 독립선언 이후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광수(1892~미상)
- 크기 :
- 12.5×18.7(cm)
- 간행/발행 :
- 신문관 ・ 동양서원, 1918.
- 면수/쪽수 :
- 6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