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염주도봉리유적 누에머리, 鹽州道峰里遺蹟
    평안북도 용천군 내중면 도봉동(현재 북한의 염주군 도봉리)에 있는 선사시대의 유물산포지.|내용 도봉리와 용북리 사이에 ‘누에머리’라고 불리는 해발 30m 정도의 낮은 야산이 있는데, 이 야산이 바로 유적으로서 동쪽과 남쪽 경사면에서 주로 토기편이 수집되고 있다. 채집된 토기편을 보면 황갈색을 띠고 있고, ...
    시대 :
    선사/석기
    건립시기 :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성격 :
    유물산포지
    유형 :
    유적
    소재지 :
    평안북도 용천군 내중면 도봉동(지금의 북한 염주군 도봉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누에머리 눈머리
    송파구 방이동・오금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마을 뒤에 있는 산의 모양이 마치 누에머리와 같아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눈머리, 한자명으로 잠두라고도 불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누에머리 도봉구
    도봉구 도봉동 상마답 옆에 있던 골짜기로서, 모양이 누에머리 같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유형 :
    자연물
  • 잠두 누에머리, 蠶頭
    중구,용산구에 걸쳐있는 남산의 서쪽 봉우리를 일컫는 이름이다. 바위로 된 봉우리가 누에머리 모양인 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누에머리라고도 하였다. 사월 초파일 밤이 되면 사람들이 이곳에 많이 올라와서 종로의 등몰이를 구경하였으므로 남산팔영의 하나인 척헌관등으로 유명하였다.
    유형 :
    자연물
  • 땅과 관련된 우리말, 노루막이 ・ 누에머리
    뜻과 해설 기본 뜻 노루막이:막다른 산마루. 누에머리:산봉우리의 한쪽이 누에머리 모양으로 쑥 솟은 산꼭대기. 노루는 겁이 많아서 제 방귀소리에도 놀라 도망을 친답니다. 대신 뜀박질을 잘해요. 힘센 짐승이 쫓아오면 산비탈을 거슬러 도망을 치지요. 하지만 노루에게 산꼭대기는 막다른 곳입니다. 내리막길을 ...
  • 누에
    三幼), 27일 된 것을 잠로(蠶老), 늙은 것을 홍잠(紅蠶), 번데기를 용(蛹), 성체를 아(蛾), 고치를 견(繭), 누에똥을 잠사(蠶砂)라 하였다. 누에는 몸통이 원통형이며, 머리·가슴·배의 세 부분으로 구별된다. 몸은 배자(胚子:동물이 태나 알에서 발생하여 아직 밖으로 나오지 않은 상태)시에는 14마디로 되어 있으나...
    분류 :
    누에나방과
    성격 :
    동물, 유충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양잠 養蠶, sericulture
    가지뽕치기로 바뀌고 있는데, 이 방법은 뽕을 뽕밭에서 가지뽕채로 수확해서 누에에게 그대로 줌으로써 뽕을 관리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누에는 5령이 되어 7~9일가량 지나면 뽕을 먹지 않고 가슴이 투명해지면서 몸이 짧고 굵어지며, 머리와 가슴을 들어 고치를 지을 장소를 찾게 된다. 이와 같은 누에를 익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반달누에나방과 Endromidae
    수염은 짧다. 앞날개의 M2도 중실의 중앙 근처나 M3에 가깝게 나온다. 유럽에서 극동아시아까지 널리 분포하며 유럽에는 1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는 반달누에나방 1종이 기록되고 있다. 생활사 : 유충의 몸은 넓지만 머리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쉴 때는 몸 앞부분을 위로 쳐 든다. 배의 8번째마디에는 짧은 뿔모양...
    분류 :
    나비목>누에나방상과
  • 누에 (일본 요괴) Nue, 鵺
    누에는 일본에서 전승되는 요괴다. 『헤이케모노가타리』 등에 등장한다. 얼굴은 원숭이, 몸통은 너구리, 손발은 호랑이이며 꼬리는 뱀이다. 문헌에 따라 몸통이...겐페이 성쇠기』에서는 등이 호랑이, 발이 너구리, 꼬리는 여우라고 한다. 또 머리가 고양이, 몸통이 닭이라는 문헌도 있다. 여러 짐승의 모습이 섞여서...
    도서 위키백과
  • 누에나방 Bombyx mori, カイコ
    고치를 뚫고 나오기 때문에 상품 가치가 없다. 보통 누에는 잠사업이라고 하여, 실을 얻기 위해서 사람의 손에서 자란다. 야생 누에나방인 산누에나방이 번데기...먹고 자라며 튼튼한 고치를 만들어 번데기가 된다. 몸통은 원통형이며, 머리·가슴·배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직사광선을 싫어하고 몸은 젖빛을 띠며...
    도서 위키백과
  • 선유도의 절경에 부는 피바람
    頭)라고 불렀다. 이름에서 짐작하듯 바로 천주교 박해로 수많은 사람의 머리가 잘려나간 그곳이다. 절두산의 원래 이름은 잠두봉(蠶頭峯)이었다. 잠두는 누에머리를 뜻한다. 잠두봉에서 절두산이라니 아무리 그래도 너무 머리를 갖다 붙인 것은 아닌가 싶지만, 그만큼 천주교가 잔인하게 박해받았음을 증명한다. 1866년...
    관련 장소 :
    양화나루
  • 절두산 순교성지 서울의 산티아고, 절두산 성지순례
    순례의 차등을 어찌 따질까만 무명의 설움과 희생은 성 야고보의 순례보다 한층 숭고해보인다. 그래서 성지는 절두산의 새로운 이름이다. 절두산은 원래 누에머리를 닮았다 해 잠두봉(蠶頭峰)이라 불렸다. 용두봉(龍頭峰), 가을두(加乙頭)라고도 했다. 한강을 향한 봉이라 지명에 ‘머리’(頭)가 빠지지 않는다...
    소재지 :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96-1
    휴관일 :
    매주 월요일 휴관
    가는 법 :
    지하철 2·6호선 합정역 7번 출구. 왼쪽 양화진길 도보 10 분. 간선버스 602, 603, 604, 706번, 지선버스 5712, 5714, 6712, 6716, 7013A, 7013B, 7612번 합정역 하차. 마을버스 마포07번 종점(절두산 순교성지) 하차
    사이트 :
    http://www.jeoldusan.or.kr
    이용 시간 :
    오전 9시 30분~오후 5시. 매일 오전 10시, 오후 3시(월요일 제외) 미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